기후변화로 인한 날씨충격이 단기적으로 사과, 파 등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품종 개량, 농산물 수입 확대 등의 조치로 기후적응력을 제고하는 동시에 농산물 수입을 확대해 공급처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기상 여건 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을 주제로 현안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최근 과일을 중심으로 신선식품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기후 변화와 기상 악화에 의한 작황 부진이 최근 농산물가격 급등의 주요인이고, 일조량 부족과 여름철의 예상치 못한 잦은 비가 농산물 작황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다.
KDI는기온과 강수량 등의 날씨 충격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물가를 세분화해 분석한 결과, 날씨 충격에 따른 소비자물가 상승은 신선식품가격 상승에 주로 기인하고 근원물가의 반응은 미미하게 나타났다. 선식품가격은 평균 기온이 추세 대비 10℃ 상승하는 경우 최대 0.42%포인트(P) 상승하고, 평균 강수량이 추세 대비 100㎜ 증가하는 경우 최대 0.93%P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등, 날씨 충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날씨 충격들 중에서는 기온에 비해 강수량 충격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여름철 강수량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이승희 KDI 연구위원은 “지구온난화로 여름철 기온이 상승하고 이로 인한 집중호우, 가뭄 등 기상 여건이 빈번하게 변화할 뿐만 아니라 변화의 강도도 확대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면서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단기적인 물가 불안이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지적 날씨 충격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농산물 수입 확대와 같이 공급처를 다변화하는 등의 구조적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해 품종 개량 등을 통해 기후적응력을 높일 필요도 있다”고 제안했다.
한편, 연구결과 신선식품가격 등 식료품 및 에너지 가격 변동에 따른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간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중기적으로는 소비자물가가 근원물가에 회귀하는 경향이 발견됐다.
이 위원은 “이는 일시적인 신선식품가격의 급등이 단기적으로는 소비자물가 상승을 유발하겠으나, 물가의 기조적 흐름에는 별 영향이 없음을 의미한다”면서 “따라서 일시적인 신선식품가격 변동에 통화정책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