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전 세계적인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AI 관련 기업에 대한 보조금을 늘리는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는 산업계의 주장이 나왔다.
하정우 네이버 퓨처AI센터장 겸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은 2일 한국공학한림원이 유튜브 생중계로 진행한 ‘산업·기업 연구개발(R&D) 특별포럼’에 패널로 참석해 “해외 주요 국가 정부들은 AI 기업에 직접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며 “이것(직접 지원)이 힘들면 다른 식으로라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 센터장은 “(AI 개발 및 훈련을 위해서는) 엄청난 규모의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가 필수적인 만큼 정부가 GPU를 대량 구매하고 국내 클라우드서비스기업(CSP)과 데이터센터를 통해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기업들이 AI 기술과 데이터 중심의 R&D 고도화를 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 구축과 인재 확보 등 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 센터장은 “AI R&D를 이끌어가는 것은 기업”이라며 “정부가 기업에 지원을 해야 하는 이유는 AI R&D의 핵심 주인공이 기업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동수 네이버클라우드 이사도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는 엔비디아의 경우 고객사 등 기업 수요에 대한 목소리를 굉장히 많이 듣고 이를 토대로 AI 반도체를 어떻게 개선할지 결정한다. 그런 믿음이 있어서 긴밀하게 협력한다”며 “반면 우리 정부는 이미 3세대 및 4세대 AI 반도체 계획을 정해 놓고 있어서 이에 맞춰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이사는 대만과 중국 정부의 사례를 예로 들면서 “민간기업의 수요를 듣고 이에 맞춰 어떤 반도체가 필요한지 연결하는 식으로 민간을 지원하는 것을 많이 본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참석자들은 최근 정부의 재정 정책 긴축 기조 전환 속에 산업 기술 R&D에 대한 직접 지원이 축소될 수 있다는 데 우려를 표하고 정부·국회의 선제 대응을 주문했다. 기조 발표에 나선 이병헌 광운대 교수는 “미래 대한민국의 먹거리를 책임질 신산업 분야의 R&D가 실패 확률이 높고 도전하기 어려운 분야가 많아 정부가 재정 지원을 확대해 민간의 투자를 견인할 필요가 있다”며 선도형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 R&D 정책 방향으로 선도형·융합형·통합형을 제시했다.
포럼에 참석한 산업계·학계·연구계의 주요 리더들은 “AI 전환과 에너지 전환이 전 산업에 확산되는 상황에서 논리·증거 없는 R&D 예산 축소는 미래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선도형 경제로 진화하기 위해 국가 R&D를 어떻게 지원하는지는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말했다.
김기남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은 “대한민국이 기술 패권 시대에 ‘퍼스트 무버’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리스크가 있지만 성공 시 임팩트가 큰 선도형·융복합 R&D에 민관의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며 “공학한림원은 이를 위해 산업·기업의 목소리를 담아 정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더욱 충실히 노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공학한림원은 포럼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해 구체적인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부 부처와 지속적인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