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우주개발의 패러다임은 재사용 우주발사체(로켓)와 3차원(3D) 프린팅 제작 방식으로 발사와 제작 비용을 낮추는 쪽으로 바뀌었습니다. 한국은 아직 이런 흐름을 쫓아가지 못하는 상황인데 우주항공청이 제역할을 하겠습니다.”
|
윤영빈 우주항공청장 내정자는 2일 서울 종로구 교보생명빌딩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달 27일 개청하는 ‘한국형 미 항공우주국(NASA)’ 우주항공청의 운영방향을 밝혔다. 그는 우선 한국의 우주개발 경쟁력에 대해 “정부 주도의 우주개발은 상당한 수준이지만 기술 하나하나를 민간으로 이전해 민간의 역할을 키우는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 트렌드는 아직 제대로 쫓아가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하며 “우주항공청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민간이 우주개발을 주도하도록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청장 내정자는 이 같은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 이른바 ‘뉴 스페이스’ 시대의 경쟁력이 단순히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넘어 비용을 낮춰 우주경제를 실현하는 데 달렸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 스페이스X의 ‘전매특허’인 재사용 발사체와 제작공정을 단순화하는 3D 프린팅, 또 중대형 인공위성보다 비용 효율적인 소형이나 초소형 인공위성 개발이 뉴 스페이스 시대에 부합하는 기술 트렌드라고 언급하며 우주항공청 역시 이 같은 기술 개발 임무에 중점을 맞출 것을 시사했다. 특히 재사용 발사체 개발은 이미 우주항공청 업무 추진 방향의 하나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
윤 청장 내정자도 “발사체 분야는 우리가 (누리호 시험발사로) 첫 발을 내딛었지만 우주 강대국들과 비교해서는 여전히 격차가 크다”며 “우주항공청이 어떤 민간 주도의 사업을 추진하면서 이 격차를 줄여나갈지 치밀하게 고민하겠다”고 했다. 그는 이어 “민간이 이처럼 상용 우주개발을 주도한다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대학은 위험이 크고 장기적인 미래우주 개발 사업에 집중하는 형태로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우주항공청이 NASA와는 예산 등 규모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에 우선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와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를 롤모델로 삼겠다”며 단계적으로 기관 경쟁력을 키워나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NASA 출신인 존리 임무본부장 내정자는 “미국 우주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경험과 국제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우주항공청 임무본부의 성과를 이뤄내고 협력적 조직 문화를 형성하겠다”며 “임무본부 조직이 ‘목표 지향’, ‘국제표준 지향’, ‘핵심가치 지향’ 등 세 가지 성격을 갖추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인재 영입과 임무 추진계획 전반에 있어서 NASA처럼 구성원들의 팀워크를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는 것이다.
|
윤 청장 내정자는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학사와 석사, 미국 미시간대 항공우주공학과 박사 학위를 받고 약 40년 간 발사체 연구개발(R&D)에 매진한 발사체 전문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차세대우주추진연구센터(ERC) 센터장을 맡아 저비용, 고효율 액체 발사체 엔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존리 임무본부장 내정자는 2021년까지 나사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수석어드바이저로 근무하며 미국 우주프로젝트 운영을 이끌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