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더 내고 더 받는’안…20대女·4050男이 주도했다

서울경제 조회수  

‘더 내고 더 받는’안…20대女·4050男이 주도했다
30일 국회에서 열린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주호영 위원장과 야당 간사인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금 개혁을 위한 숙의 공론화 결과 ‘더 내고 더 받는’ 1안(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이 시민 대표단 56%의 선택을 받은 가운데 20대 여성과 40대·50대 남성이 이같은 결과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 진영에 대한 지지세가 강한 것으로 알려진 연령·세대 집단이 연금 개혁 논의에서 소득보장론으로 분류되는 1안에 몰표를 준 셈이다.

30일 국회 연금개혁 특별위원회에 공론화위원회가 제출한 ‘연금개혁 공론화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시민대표단 492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3차 설문조사에서 40대 남성과 50대 남성이 1안을 선택한 비율은 80%에 육박했다. 40대 남성의 경우 1차 조사에서는 1안을 선호하는 비율이 33%에 불과했으나 2차 조사에서는 53.5%, 3차 조사에서 79.5%로 급증했다. 50대 남성은 1차 조사에서부터 과반(55.9%)이 1안을 택했고 차수를 거듭할수록 비중이 커져 3차 조사에서는 79.2%를 기록했다.

4050 여성 역시 1안을 선호하는 비중이 2안(보험료율 12%, 소득대체율 40%)보다 높았지만 수치는 과반을 조금 넘기는데 그쳤다. 40대 여성은 1차 조사에서 33.5%만 1안을 지지했지만 3차 조사에서는 53.5%가 소득보장안을 원했다. 50대 여성의 경우 1차 조사에서는 28.7%, 3차 조사에서는 53.4%가 1안을 원했다. 50대 여성의 경우 최종 설문조사에서 1안과 2안(46.6%) 사이의 격차가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 이내였다.

4050 세대는 정치권에서는 야권 핵심 지지 세력으로 구분된다. 이들이 소득 보장론에 힘을 실어주면서 전체 수치에서 1안이 과반을 넘길 수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4050 세대가 시민 대표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7.6%에 달한다.

‘더 내고 더 받는’안…20대女·4050男이 주도했다
자료제공=연금공론화위원회

20대의 경우 여성과 남성의 선택이 극명히 갈렸다. 20대 여성 중 1차 조사에서 1안을 선호한 비율은 15.6%에 그쳤지만 2차 조사에서는 43.8%, 3차 조사에서는 69%로 급증했다. 최종 설문에서 1차 조사보다 53.4%포인트가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2안을 택한 비율은 59.6%에서 31%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반면 20대 남성의 경우 3차 조사에서 2안을 선호한 비율이 57.2%로 전체 연령·성별 집단 중 가장 높게 조사됐다. 이들은 1차 조사에서 26.1%가 1안, 42.1%가 2안을 택했다. 이 비율은 3차 조사에서 1안 13.2%포인트, 2안 15.1%포인트 증가했다. 1차 조사에서 잘 모르겠다고 선택한 31.8%가 학습 과정을 거치며 1안과 2안으로 나눠진 결과다. 1안에서 입장을 정하지 못했던 20대 남성도 숙의 결과 2안에 더 많이 몰린 셈이다.

30대에선 남녀 모두 근소한 차이로 2안의 손을 들었다. 30대 남성은 1차 조사에서 1안 42.1%, 2안 37.4%, 2차 조사에서 1안 57.4%, 2안 33.7%로 소득보장론이 우세했으나 3차 조사에서 1안 48%, 2안 52%로 뒤집혔다. 다만 격차는 오차범위 이내다. 30대 여성의 경우 1차 조사에서도 1·2안의 격차가 1.3%포인트에 불과했는데 3차 조사에서도 1안 49.3%, 2안 50.7%로 격차가 1.4%포인트에 그치는 등 양측으로 팽팽히 갈렸다.

인구비중이 가장 높은 60대에서도 남녀가 서로 다른 선택을 했다. 60대 남성의 51.3%는 3차 조사에서 1안을 선택했다. 2안을 택한 비중은 44%였다. 반면 60대 여성의 경우 2안이 54.1%로 1안(45.9%)보다 높게 나타났다.

서울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AI 추천] 공감 뉴스

  • “지금이 구매 적기라는 현대 자동차의 파격 할인 차량은?!”
  • KAMA, '제21회 자동차의 날' 개최…“中 대응 미래차 전환 서두르자”
  • 플랫폼·콘텐츠 고르게 성장한 카카오…'카카오톡'·'AI' 주력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쉐보레 스파크가 돌아왔다!” 전기 SUV로 변모한 스파크의 근황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 “싹 다 밀어버린 준비 끝냈다” 차주들, 범칙금 안 내려면 미리 치워야 한다
  • “이거 들어오면 제네시스도 위험!” 4천만원대 프리미엄 전기 SUV 출시 예정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이런 모습 처음이야…신나는 ‘생일빵’→‘악!’허리잡은 감독→‘할리우드 액션’에 웃음꽃 피어난 캐링턴 훈련장→‘퇴출 3인방’도 동참→긍정적인 신호

    스포츠 

  • 2
    “아들과는…” 박영규가 4혼으로 얻은 딸과 무대 준비하다 울컥한 건 마음을 쿡쿡 찌른다

    연예 

  • 3
    반려동물 옆 가장 가까이 있는 히어로 '수의사'

    연예 

  • 4
    "3월 콘서트 연다" 지드래곤, 태양 앙코르콘서 깜짝 스포 [MD이슈]

    연예 

  • 5
    김유정, 산에 가면 만날 수 있는 미녀…선녀인가요?

    연예 

[AI 추천] 인기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지금 뜨는 뉴스

  • 1
    창원특례시 문화예술인 축제 ‘제38회 대동제’ 개막

    뉴스 

  • 2
    관광 단양의 두얼굴...28일부터 쌓인눈 4일째 그대로

    뉴스 

  • 3
    토트넘 이적 거부 '빅클럽 판독기', 맨유가 영입 도전…바이에른 뮌헨과 이적 협상

    스포츠 

  • 4
    “영원히…” 김연아가 ‘워싱턴DC 여객기 희생자’ 피겨 선수단을 추모했고 슬픔이 가득 차오른다

    연예 

  • 5
    당신의 지갑은 안녕하십니까…2월 대작 게임 공습경보

    차·테크 

[AI 추천] 추천 뉴스

  • “지금이 구매 적기라는 현대 자동차의 파격 할인 차량은?!”
  • KAMA, '제21회 자동차의 날' 개최…“中 대응 미래차 전환 서두르자”
  • 플랫폼·콘텐츠 고르게 성장한 카카오…'카카오톡'·'AI' 주력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쉐보레 스파크가 돌아왔다!” 전기 SUV로 변모한 스파크의 근황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 “싹 다 밀어버린 준비 끝냈다” 차주들, 범칙금 안 내려면 미리 치워야 한다
  • “이거 들어오면 제네시스도 위험!” 4천만원대 프리미엄 전기 SUV 출시 예정

추천 뉴스

  • 1
    이런 모습 처음이야…신나는 ‘생일빵’→‘악!’허리잡은 감독→‘할리우드 액션’에 웃음꽃 피어난 캐링턴 훈련장→‘퇴출 3인방’도 동참→긍정적인 신호

    스포츠 

  • 2
    “아들과는…” 박영규가 4혼으로 얻은 딸과 무대 준비하다 울컥한 건 마음을 쿡쿡 찌른다

    연예 

  • 3
    반려동물 옆 가장 가까이 있는 히어로 '수의사'

    연예 

  • 4
    "3월 콘서트 연다" 지드래곤, 태양 앙코르콘서 깜짝 스포 [MD이슈]

    연예 

  • 5
    김유정, 산에 가면 만날 수 있는 미녀…선녀인가요?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창원특례시 문화예술인 축제 ‘제38회 대동제’ 개막

    뉴스 

  • 2
    관광 단양의 두얼굴...28일부터 쌓인눈 4일째 그대로

    뉴스 

  • 3
    토트넘 이적 거부 '빅클럽 판독기', 맨유가 영입 도전…바이에른 뮌헨과 이적 협상

    스포츠 

  • 4
    “영원히…” 김연아가 ‘워싱턴DC 여객기 희생자’ 피겨 선수단을 추모했고 슬픔이 가득 차오른다

    연예 

  • 5
    당신의 지갑은 안녕하십니까…2월 대작 게임 공습경보

    차·테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