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7년 외환위기 등을 거치며 둔화된 가계 소비가 이전의 증가세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과거 외환위기와 같은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영준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연구위원은 30일 ‘실업경험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장기효과 분석’을 주제로 한 BOK이슈노트에서 “과거 실업경험은 가계소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음(-)의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최 위원에 따르면 가계 소비 증가율은 △1970년~1998년 연 평균 8% △ 2008년(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연 평균 4% △글로벌 금융위기부터 최근까지 연 평균 2% 등으로 점차 축소됐다.
그는 “외환위기 이후의 충격이 실업 경험을 통해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가계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며 “이러한 상흔 소비는 미래소득을 감소시키는 경로보다 주로 저축을 늘리는 자산축적 경로를 통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가 언급한 상흔 소비는 가계 소비가 과거 충격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는 현상을 의미한다. 계층별로 보면 소득·자산 보유 취약계층, 소비재별로는 선택재와 같은 비내구재를 중심으로 상흔 소비가 나타났다.
가계 소비를 재화별로 살펴보면 전자제품 등 내구재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도 추세가 둔화되지 않고 있다. 이는 1970년대 이후 경제성장과 함께 빠른 속도로 증가한 내구재가 외환위기 이후에도 스마트폰 등과 같은 IT(정보기술) 제품의 성장세에 힘입어 견조한 증가세를 보인 데 기인한다.
반면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추세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과거에 비해 크게 둔화된 뒤 회복되지 않고 있다. 의복 등 준내구재는 외환위기 전후 추세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보고서는 “과거 실업경험에 따른 소비자의 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소득 전망은 중장기 가계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며 “또한 소비자가 과거 실업경험으로 지출을 줄이고, 이를 저축할 경우 소비자는 미래에 더 많은 부를 축적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거 실업경험은 특정 재화의 수요감소를 통해 가계소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며 “다만 과거 실업경험은 미래 소득감소 경로를 통해 소비를 감소시키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