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물가에 따른 타격이 노인과 지방 거주자 등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는 연소득 6000만 원 이하의 실질소득이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어 정부와 한국은행의 물가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한국은행의 ‘BOK 경제연구 제2024-4호’에 실린 ‘개인 특성별 이질적 인플레이션율과 실질 소비 탄력성’ 논문에 따르면 유재인·민찬호 아주대 금융공학과 교수와 정호성 동덕여대 금융융합경영학과 교수는 “인플레이션은 개인의 명목소비와 실질소비를 모두 감소시키는 가운데 특히 소득 6000만 원 미만 소비자의 실질 소비를 가장 크게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고연령과 비도시 거주자, 저소득층은 비교적 높은 물가 변동성을 경험한다”며 “예를 들어 은퇴 후 도시 외 지역 거주자일수록 개인 운송장비(차량) 운영 지출 비중이 높아 유가 변동성에 민감한 장바구니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반면 소득이 연 1억 원 이상인 고소득자는 상대적으로 물가 변동에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3000만 원 미만 소득자의 경우 1억 원 이상 수입자보다 실질 소비가 1.8배 감소했다. 이는 물가가 높을수록 노인과 지방 거주자, 저소득층의 타격이 크다는 점을 의미한다. 올해 2월과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농산물 가격 폭등에 전년 대비 3.1% 상승했다. 4월도 3%를 웃돌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
문제는 앞으로도 고물가가 지속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1분기 실적 호조, 주요 국내외 기관의 성장 전망 상향 추세 등 감안 시 올해 성장률이 정부 전망치(2.2%)를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구체적인 전망치는 향후 여건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 내부적으로는 연간 성장률이 2.5%를 웃돌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25~26일 국내 10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2.4%로 1분기 국내총생산(GDP) 발표 직전 평균 2.1%보다 0.3%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의 전망치 중간값도 2.0%에서 2.5%로 0.5%포인트 높아졌다. 예상을 뛰어 넘는 성장은 인플레이션이 단기간 내 잡히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경우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실질소비가 급감해 생활 여건이 악화할 수밖에 없다.
한편 전문가 사이에서는 내수의 급격한 회복세를 보여준 1분기 GDP에 낙관하면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건설 투자와 소비가 지난해 4분기에 그렇게 좋지 않았다”며 “(올해 1분기에) 기저 효과로 튄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예산안 대비 재정 집행 진도율이 재정을 당겨썼던 지난해보다 빠르다”고 말했다.
2분기부터 건설 수주 감소에 따른 건설 경기 하락이 예고돼 있고 고물가·고물가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점도 내수에는 부담이다. 2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