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는 국내 경기가 반도체 업황을 중심으로 강력한 반등을 보이며 회복기에 들어섰다고 분석했다. 연간 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가 상향하면서 긴축 재정 효과가 작용, 국내 글로벌 신용등급은 ‘AA-, 안정적’을 유지했다. 향후 2년 동안 한국의 신용등급이 변화할 가능성은 낮다는 뜻이다. 다만, 장기적인 인구 감소로 내수 둔화와 부동산 프로젝프파이낸싱(PF) 등 연말까지는 국내 투자활동에 어려움이 남아있는 분위기다.
26일 피치와 한국신용평가는 ‘2024 피치온 코리아’ 세미나를 열고,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추가 상향할 여력이 높다며 이같이 밝혔다. 피치가 평가한 2023년 한국 경제성장률은 1.4%였다. 제레미 주크 피치 아시아·태평양 국가신용등급 담당 이사는 “한국이 글로벌 대외 리스크들이 해소되면서 경제 회복기에 들어섰다”며 성장률 상향 가능성을 시사했다.
피치의 국가별 실질적 성장률 전망 조정은 분기별로 이뤄지고 있다. 이에 6월에 글로벌 세계 경제 전망을 내놓으면서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도 함께 개정할 가능성이 높다. 피치는 한국의 기존 1분기 GDP 성장률 전망치를 0.5%로 제시했었지만, 한국은행이 전날 공개한 한국의 1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1.3%로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다.
주크 이사는 “우리(피치)의 예상보다 높게 나와서 놀랐다. 한국에 중요한 반도체와 전자제품에서 인공지능(AI) 글로벌 투자 증가로 강력한 회복이 발생하면서 글로벌 경기 반등에 편승하는 흐름”이라며 “하반기부터 국내 무역교역 실적 회복을 앞당길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짚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는 7월부터 시작해 연내 25bp(1bp=0.01%P)씩 3회 이뤄질 것으로 봤다. 그러나 예상보다 쉽게 잡히지 않는 물가를 생각하면 이보다 적은 금리 인하 횟수가 나타날 수 있다. 주크 이사는 “고물가가 오래가고 있어서, 하반기에 예상보다 적은 금리 인하가 있을 수 있다”며 “한국의 금리인하는 2차례를 가정하고 있고, 연말에는 3% 정도 기준금리가 형성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미국보다 횟수와 강도 모두 낮게 전망했다. 주크 이사는 “한국은 미국이 먼저 금리 인하를 시행한 뒤에 첫 금리 인하가 시작하고, 횟수도 미국보다 한차례 적게 인하할 것”이라며 “한은의 물가 추세는 근본적으로 둔화하는 흐름을 전망하지만, 지정학적 우려가 다시 커져 원유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 이러한 전망이 바뀔 수 있다”고 했다.
국내 경기의 최대 위험 요소로 내수 둔화를 꼽았다. 대외 무역 악재가 해소하면서 수출 경기와 잠재성장률은 반등했지만, 내수 반등은 회복세가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하는 점도 국내 내수 침체에 영향을 가하는 요인이다. 내수 투자가 둔화하면서 최대 위험 요인은 부동산 경기 제약이 될 것으로 봤다.
주크 이사는 “내수가 회복 중인 징조를 아직 명확히 찾을 수 없다는 점이 앞으로 최대 어려움”이라면서 “인구 변화로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중장기적으로 높다. 가계부채 수준이 국가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지만, 고령화와 인구감소 압박으로 생산성이 둔화하면 향후 국가 재정전망이 한국 국가 신용도에 높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짚었다.
한국의 재정적자는 2019년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다만 가파른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유사한 국가신용도 ‘AA’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중앙값은 유사한 수준이다. 중장기적으로 한국 정부의 재정적자 감축 의지가 나타나는 점은 긍정적이나, 기대보다 재정 건전화 속도는 완만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주크 이사는 “한국은 일단 저출산 압박, 고령화 등으로 추가적인 국가 재정 영향도가 높다”며 “미·중 간의 교역 긴장과 11월 미국 대선 역시 한국에는 추가 위협 요인”이라며 “미·중 주요 교역국으로 해당 정책국들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을 진행하면서 미국과 중국 양국과 정치·경제적인 영향을 지속해서 이어나가야 제약적인 영향을 적게 받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