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 부장관이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노벨평화상을 공동 수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4/CP-2022-0028/image-7bcaeba8-0241-4c0b-ab71-db80e3de9fb9.jpeg)
대통령실은 25일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간 양국 관계 개선 노력이 국제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와 노벨평화상 공동 수상 자격이 있다”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지난 24일(현지시각) 캠벨 부장관은 “노벨평화상은 인도·태평양에는 별로 집중하지 않고 있다”며 “솔직히 내게 누가 국제무대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와서 이 상을 수상할 자격이 있냐고 묻는다면 기시다 총리와 윤석열 대통령이 공동 수상해야 한다 말할 것”이라 말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4/CP-2022-0028/image-b31929fc-b681-4d67-b950-2a9c62f093ba.jpeg)
그러면서 “미국이 할 수 있는 일들이 많다. 첫째 (3국 협력 강화) 성과를 고양하고 기념해야 하는 일”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이) 케네디 재단서 ‘용기 있는 사람들 상’을 시상한 건 올바른 방향이다. 그 같은 일을 더 많이 해야 하고 한·일 양측이 제도적 조치를 취했다는 사실 중요성을 인정하는 보다 직접적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협력의 습관을 구축해 나가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한·일 양국과 그 지도자들, 한국의 야당까지도 한·미·일 협력을 지속해 나갈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해줄 것이라 믿는다”며 “3국 간 협력은 미숙한 단계의 노력이 아니다. 이미 실질적인 수준으로 성장했다. 계속해서 강화될 필요가 있는 교두보가 됐다”고 덧붙였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4/CP-2022-0028/image-53efaf08-2ab7-4c18-8d9b-2ec4c97b1f3d.jpeg)
캠벨 부장관은 이날 워싱턴 싱크탱크인 허드슨연구소 대담에서 지난해 8월에 열린 한·미·일 정상회의를 통한 3국 협력 제도화를 평가하며 이같이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0월 29일(현지시각)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미국 존 F. 케네디 재단이 수여하는 2023년 ‘용기 있는 사람들 상’을 공동 수상한 바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