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박종철 열사 모친 빈소에 조문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전두환 정권 시절 경찰의 고문으로 숨진 ‘6월 항쟁 도화선’ 고(故) 박종철 열사의 어머니 정차순 씨가 지난 17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1세.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4/CP-2022-0028/image-1c60ed64-3cde-4777-8e68-680f3eac4d0d.jpeg)
박종철기념사업회와 유족에 따르면 정 씨는 이날 오전 5시 20분께 서울 강동구의 한 요양병원에서 눈을 감았다. 그는 남편이 2018년 세상을 떠난 뒤 부산 자택에서 홀로 지내다 건강이 악화돼 2019년 이후 서울의 요양병원에 머물러 왔다.
유족들은 “고인이 이틀 전 밤 한차례 위독해졌다 전날 회복한 뒤 이날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임종을 맞았다”며 비통함을 감추지 못했다.
정 씨 빈소에는 정치권과 시민사회 등 각계 인사들이 찾아 고인을 추모했다.
박 열사의 형 종부씨와 누나 은숙(62)씨 등 유족이 빈소를 지켰다.
윤석열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은 빈소에 근조화환을 보냈다.
같은 날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6월 민주항쟁으로 전두환 정권을 무너뜨리는데 힘을 모았던 86운동권 정치인들은 첫날부터 장례식장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인 중 가장 먼저 빈소를 찾은 이는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이었다.
우 의원은 고 이한열 열사의 동지로 ’86 운동권 맏형’으로 불린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4/CP-2022-0028/image-83e7aea0-0073-4759-83a2-b7c792bf2642.jpeg)
우 의원은 조문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서 “민주유공자법 처리를 이번에 하기로 약속했다”며 “적어도 국가공권력에 의해 희생된 분들과 민주화를 위해 싸웠던 분들을 민주유공자로 지정하는 것을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고 매체는 전했다.
이 밖에도 이해식, 이학영 민주당 의원, 차규근 조국혁신당 당선인 등 민주계열 범야권 정치인들이 빈소를 찾아 고인의 영면을 빈 것으로 알려졌다.
발인은 19일 오전 8시. 고인의 유해는 서울시립승화원에서 화장된 후 모란공원에 안치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