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제로웨이스트] ‘롯데칠성 1위’,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이모작뉴스 조회수  

국내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 3개 중 1개가 생수 및 음료류
쿠팡은 PB상품 ‘탐사수’ 만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배출량 4위

[이모작뉴스 송선희 기자] 국내에서 발생하는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의 상당 부분이 생수‧음료류 포장에서 나온다. 이번 조사는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 잡은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다시 한번 부각했다.

 식품 포장재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의 제품군별 발생량. 자료=그린피스 제공<br /><div  class=
” src=”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29/image-d0b60353-4199-4f16-bc34-812acf93b87d.jpeg”>
 식품 포장재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의 제품군별 발생량. 자료=그린피스 제공

그린피스의 ‘2023 플라스틱 배출 기업 조사보고서 – 우리는 일회용을 마신다’에 따르면, 국내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의 약 78.3%가 식품 포장재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생수‧음료류가 전체 일회용 플라스틱의 37.6%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우리가 버리는 일회용 플라스틱 3개 중 1개가 음료 포장에서 나온다는 의미이며, 특히 생수‧음료류는 4년 연속으로 가장 많은 배출량을 기록한 카테고리로 확인되었다.

식품 포장재 중 생수 및 음료류 상위 5개 제조사분석. 자료=그린피스 제공<br /><div  class=
” src=”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29/image-1de2a8fe-3ade-45d9-85d9-d9ad2856315a.jpeg”>
식품 포장재 중 생수 및 음료류 상위 5개 제조사분석. 자료=그린피스 제공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점 중 하나는 롯데칠성음료가 3년 연속으로 생수‧음료류 기업 중 일회용 플라스틱 배출량 1위를 차지했다는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와 코카콜라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으며, 온라인 유통사 중에서는 유일하게 쿠팡이 자체 브랜드인 탐사수로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상위 5개 기업이 배출한 플라스틱 폐기물은 전체 생수‧음료류 플라스틱 폐기물의 30.8%를 차지했다고 한다.

조사에 참여한 2,084명의 시민은 일주일 동안 총 86,055개의 일회용 플라스틱을 폐기했으며, 이는 1인당 평균 41.3개에 해당한다.

참여자 중 한 명인 강윤지 씨는 “이번 조사를 통해 개인이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음료를 판매하는 기업의 변화가 더 필수적임을 깨달았다”고 전했다.

그린피스의 김나라 플라스틱 캠페이너는 “음료류 기업이 지속해서 많은 양의 일회용 플라스틱을 배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상응하는 책임 있는 변화를 유도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들 기업은 매년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재사용 및 리필 기반 시스템을 도입하여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에게도 강력한 정책을 도입하여 이 문제에 적극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일회용 플라스틱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다시 한번 각인시키며, 소비자, 기업, 그리고 정부 모두에게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과 변화가 필요함을 상기시킨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소비 습관 변화뿐만 아니라, 기업의 제품 포장 방식의 혁신, 그리고 정부의 지속 가능한 정책 및 규제 마련에 대한 요구로 이어져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정부 역시 국제적으로 진행 중인 플라스틱 협약의 강력한 회원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기업들의 플라스틱 감축 노력을 지원하고 강화하는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 또한, 일회용 플라스틱의 생산과 소비를 줄이기 위한 법적,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에게는 재사용할 수 있는 대안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모작뉴스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AI 추천] 공감 뉴스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빠르고 강력한 EV9 등장에 국내외 발칵!” 기아 EV9 GT 출시 예고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런게 현실 드림카” 포르쉐 가격, 벤츠 AMG CLE 53 카브리올레 출시
  • “가격 2배? 타스만 사겠네” 7천짜리 포드 브롱코 잘 팔릴까 한숨 푹
  • “렉스턴 픽업 계약 취소!” 3천짜리 기아 타스만 역대급 스펙
  • “옵션 비싸겠네” 현대차 신차에 들어갈 역대급 기능 공개
  • “25년만의 후륜 구동 볼보” 아이오닉부터 테슬라까지 잡으러 온다!
  • “도대체 언제 나와?” 예비 오너들 목 빠지게 하는 EV5 알아보기
  • “겨울에도 끄떡없는 BYD 전기차?” 믿기 어려운 저온 주행거리에 갑론을박
  • “부모님 얼굴 좀 보자” 횡단보도 시민까지 위협한 무개념 10대 폭주족들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사법리스크, 반일 행보 이재명' 김은혜 "미국, ‘글로벌 빌런’ 쯤으로 여긴다"

    뉴스 

  • 2
    “벌써 문의 폭주?”… 가장 빠른 ‘3대 봄꽃 축제’

    여행맛집 

  • 3
    권성동 "이창수 지검장, 직무 정지 74일 만에 첫 변론…헌재 형평성 상실 보여줘"

    뉴스 

  • 4
    제니, 몸채만한 수저와 투샷… 러블리 '미소' 만개

    연예 

  • 5
    '정규리그 15번째' 우승 달성! 우리은행, KB스타즈 46-44로 제압...13번째 챔결-11번째 통합 우승 도전

    스포츠 

[AI 추천] 인기 뉴스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지금 뜨는 뉴스

  • 1
    명가가 돌아왔다! '박진섭-전진우 연속골' 전북, 김천에 2-1 역전승...포옛, K리그1 데뷔전 '첫 승'

    스포츠 

  • 2
    '여기서 잘해서 바르셀로나 갈게요!'...빌라 임대 떠난 '문제아' 드림클럽 이적 포기 안 했다

    스포츠 

  • 3
    "보약 아니다…" 속이 불편할 때 먹으면 산삼만큼 좋다는 '한국 음식'

    여행맛집 

  • 4
    화장실 변기보다 20배 더럽다는 '이것'…침대에서 당장 치워야 합니다

    여행맛집 

  • 5
    [월요기획-개헌론 키워드 '지방분권'] 개헌은 이구동성, 방향은 동상이몽

    뉴스 

[AI 추천] 추천 뉴스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빠르고 강력한 EV9 등장에 국내외 발칵!” 기아 EV9 GT 출시 예고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런게 현실 드림카” 포르쉐 가격, 벤츠 AMG CLE 53 카브리올레 출시
  • “가격 2배? 타스만 사겠네” 7천짜리 포드 브롱코 잘 팔릴까 한숨 푹
  • “렉스턴 픽업 계약 취소!” 3천짜리 기아 타스만 역대급 스펙
  • “옵션 비싸겠네” 현대차 신차에 들어갈 역대급 기능 공개
  • “25년만의 후륜 구동 볼보” 아이오닉부터 테슬라까지 잡으러 온다!
  • “도대체 언제 나와?” 예비 오너들 목 빠지게 하는 EV5 알아보기
  • “겨울에도 끄떡없는 BYD 전기차?” 믿기 어려운 저온 주행거리에 갑론을박
  • “부모님 얼굴 좀 보자” 횡단보도 시민까지 위협한 무개념 10대 폭주족들

추천 뉴스

  • 1
    '사법리스크, 반일 행보 이재명' 김은혜 "미국, ‘글로벌 빌런’ 쯤으로 여긴다"

    뉴스 

  • 2
    “벌써 문의 폭주?”… 가장 빠른 ‘3대 봄꽃 축제’

    여행맛집 

  • 3
    권성동 "이창수 지검장, 직무 정지 74일 만에 첫 변론…헌재 형평성 상실 보여줘"

    뉴스 

  • 4
    제니, 몸채만한 수저와 투샷… 러블리 '미소' 만개

    연예 

  • 5
    '정규리그 15번째' 우승 달성! 우리은행, KB스타즈 46-44로 제압...13번째 챔결-11번째 통합 우승 도전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명가가 돌아왔다! '박진섭-전진우 연속골' 전북, 김천에 2-1 역전승...포옛, K리그1 데뷔전 '첫 승'

    스포츠 

  • 2
    '여기서 잘해서 바르셀로나 갈게요!'...빌라 임대 떠난 '문제아' 드림클럽 이적 포기 안 했다

    스포츠 

  • 3
    "보약 아니다…" 속이 불편할 때 먹으면 산삼만큼 좋다는 '한국 음식'

    여행맛집 

  • 4
    화장실 변기보다 20배 더럽다는 '이것'…침대에서 당장 치워야 합니다

    여행맛집 

  • 5
    [월요기획-개헌론 키워드 '지방분권'] 개헌은 이구동성, 방향은 동상이몽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