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28/image-bc02da7a-d1d3-4758-9708-ad262dad984b.jpeg)
윤석열 대통령이 격려 차 서울아산병원을 방문한 바로 다음 날 해당 병원 필수 의료과 교수가 사직 의사를 밝히는 일이 벌어졌다.
19일 뉴스1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최세훈 부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장문을 게시하며 심경을 고백했다.
최 교수는 글을 통해 “매일 악몽을 꾸는 것만 같다. 불과 한 달 만에 이 땅의 의료가 회복 불능으로 망가져 버렸다는 것이 도저히 믿기지가 않는다”고 패닉 상태임을 알렸다.
그는 “불과 1달 전 우리 팀이 전부 있었을 때에는 어떤 환자가 와도 무서울 것이 없었다. 이제는 환자를 보는 것이 무섭고 괴롭다”며 “여건이 안 되어 그 환자를 치료하지 못한다는 것이 얼마나 의사를 초라하게 만드는 지 절감하고 있다”고 괴로워했다.
또 “외래에서 환자에게 ‘나도 미치겠다. 우리 팀만 다 있었으면 할 수 있는데. 안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도저히 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울컥 말을 내뱉고 제가 더 놀랐다”고 울분을 토했다.
최 교수는 “몸이 힘든 것이야 큰 문제는 아니다. 정신이 너무 힘들다. 전공의, 전임의가 사직한 후 제가 혼자서 수술할 수 있는 환자는 이전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며 의료 현장이 더 이상 스스로 감당할 수 없는 수준까지 망가졌다고 전했다.
그는 “당직이 아닌 날도 불면증에 시달린다. 새벽이 오기를 기다리는 제 모습이 자신도 낯설어 무섭다. 온 나라 의료 체계를 바꾸는 것은 더 신중해야 한다. 이렇게 졸속으로 강압적으로 진행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정책 의도가 아무리 좋아도 그 정책으로 한 나라의 의료가 붕괴된다면 아마추어 정부, 돌팔이 정부일 뿐”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전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28/image-78589ec7-54e6-4238-80e0-6838ca91ea89.jpeg)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최세훈 교수가 사직 의사를 밝히기 하루 전인 18일 서울아산병원 어린이 병동을 방문해 의료진과 간담회를 가지며 “정부를 믿고 대화에 나와 달라. 후배들을 설득해 달라”고 격려와 당부의 의견을 전달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