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역 2월 아파트 매매거래 중 43%는 상승거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39%) 대비 4%포인트(p) 늘어난 것이다.
11일 프롭테크 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의 아파트 매매거래를 분석한 결과 2월 서울 자치구별 물량은 전체적으로 감소한 가운데 가격 움직임은 상이한 모습을 보였다.
1월 반짝 회복세를 보였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월 들어 다시 감소했다. 2월 거래량은 1428건으로, 2518건이었던 1월보다 줄어들었다.
지난해 말 하락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섰던 주요 지역에서는 하락거래 비중이 올해 들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역시 마찬가지로 하락거래가 줄었다. 마용성 지역의 경우 하락거래 비중은 지난해 12월 56%에서 1월 41%, 2월 33%로 크게 감소했다. 노도강 지역은 지난해 12월 51%에서 1월 46%, 2월 42%였다.
강남권(강남·서초·송파구) 역시 2월 하락거래 비중은 43%로 전월 대비 6%p 감소했다. 1월 저가매물 소진 이후 숨고르기에 들어가며 보합거래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의 경우 지난해 12월 44%였던 하락거래가 1월 45%, 2월 49%로 점차 늘어났다. 더 싼 매물을 찾는 수요가 여전히 거래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 지역에서 하락거래가 줄어든 것은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 주담대 금리는 지난해 10월 4.56%로 단기 고점을 찍은 이후 12월 4.16%, 올 1월 3.99%로 빠르게 낮아졌다.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한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가 개시되면서 은행들이 금리를 조정한 것도 주택 수요자에겐 희소식이다.
그러나 하락거래 비중이 감소한 것을 시장 회복으로 해석하기엔 이르다는 지적이다. 직방 관계자는 “지역별 저가매물 소진 이후 숨고르기 영향으로 보인다”며 “2월 26일부터 은행들이 향후 금리인상을 대비해 대출자의 원리금 상환 능력을 깐깐하게 따지는 ‘스트레스DSR’을 적용하면서 대출 문턱도 다시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금리인하 등의 효과도 줄어들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4월 총선 이후 정부 정책의 전환 가능성 등의 대내적인 이슈도 존재해 당분간 부동산 시장은 횡보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