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속도로 내 포트홀 다수 발생
이로 인해 차량 파손 늘어 갓길 비상주차 사례 늘어
포트홀 피해는 별도 배상 제도를 통해 구제 가능
봄철 폭설, 고속도로 곳곳 구멍 송송
![폭설-포트홀-봄-고속도로-운전자-교통사고](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2/CP-2023-0047/image-fceed1d7-810b-4a16-a413-c8fce600b564.jpeg)
![폭설-포트홀-봄-고속도로-운전자-교통사고](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2/CP-2023-0047/image-94c75f8b-2b30-4c0f-9727-1dbefd1cf782.jpeg)
최근 내린 폭설로 인해 고속도로 곳곳에서 난리다. 갓길에 비상등을 켜고 견인차를 기다리는 경우가 부쩍 늘었는데, 가장 큰 이유는 포트홀 때문이다.
얼마 전 국내 고속도로와 지방도로에 포트홀이 발생했다는 신고 건수가 급증해 이슈로 떠오른 바 있다. 한국도로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2월~2023년 2월 사이 겨울철 포트홀 신고 건수는 증가세다.
□ 2020년 : 829건
□ 2021년 : 620건
□ 2022년 : 875건
![폭설-포트홀-봄-고속도로-운전자-교통사고](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2/CP-2023-0047/image-4038b80b-c165-4a28-b07a-a577359d44c2.jpeg)
특히 요즘 같은 시기엔 얼었던 땅이 녹으며 지반 침하 혹은 도로 파손 등이 발생하기 쉬운데, 일부 지역에 물기를 잔뜩 머금은 눈이 내리면서 포트홀 발생을 부추겼다.
아직 정확한 포트홀 신고 규모가 집계된 건 아니다. 하지만 2월 20일~2월 23일 사이 고속도로를 이용했던 운전자라면 평소보다 포트홀이 많았다고 느끼기 쉬웠을 것이다.
포트홀은 계절 상관 없이 발생
![폭설-포트홀-봄-고속도로-운전자-교통사고](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2/CP-2023-0047/image-fa4ec8a9-bce8-4ebc-bfa9-f4fd51ffbf4c.jpeg)
포트홀 현상은 계절에 관계없이 발생하는데, 여름철에는 폭우로 인해, 겨울철에는 도로 틈새로 물이 들어가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며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작년 가을, 국토부와 지자체에서는 도로 보수 작업을 진행한 바 있다.
하지만 도로 특성상 포트홀을 완벽히 예방하기 어려워, 해를 거듭할 수록 도로에 아스팔트로 ‘땜질’한 자국만 늘 뿐이다.
때로는 적당히 피해야한다
![폭설-포트홀-봄-고속도로-운전자-교통사고](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2/CP-2023-0047/image-31aad787-538c-4ac6-85d6-581ef9343cc0.jpeg)
고속도로에 발생하는 포트홀은 최대한 회피하며 운전하는 것이 좋다. 고속 주행 중 깊고 넓은 포트홀을 밟으면 차에 심각한 충격이 가해져, 차량 파손 및 조향에 문제가 발생해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회피 해도 안전한지 주변을 살필 필요가 있으며 앞 차와 차간거리를 충분히 두어 포트홀을 살필 여건을 만들 필요가 있겠다.
![폭설-포트홀-봄-고속도로-운전자-교통사고](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2/CP-2023-0047/image-d75eb36e-d897-4087-a639-7b424f548f77.jpeg)
만약 포트홀로 인해 차량 파손이 발생했다면, 지자체 혹은 고속도로 관할 주체를 상대로 배상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영조물배상책임공제 제도라 부르는데, 절차가 복잡하고 도로 관리주체의 과실을 명확히 입증하기 까다롭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