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15조 달러 증가
GDP 대비 부채비율은 3년째 하락세
선진국은 양호, 신흥국은 불안 가중
연준 불확실성, 지정학적 갈등 등 주요인
지난해 글로벌 부채가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과 관련해 선진국과 신흥국이 엇갈리면서 부채 양극화 문제도 떠올랐다.
21일(현지시간) 국제금융협회(IIF)는 ‘글로벌 부채 모니터’ 보고서를 발간하고 지난해 글로벌 부채가 전년 대비 15조 달러 이상 늘어난 313조 달러(약 41경6634조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사상 최대치다.
부채의 약 55%는 주로 미국과 프랑스, 독일 등 선진국의 몫이었다. 신흥국에서는 부채 대부분이 중국과 인도, 브라질에 집중됐다.
늘어난 부채와 달리 GDP 대비 부채 비율은 330%로 2%포인트(p) 하락했다. 3년 연속 하락세다. 다만 지난해의 경우 경제 성장 둔화 등을 이유로 하락 폭이 2021~2022년보다 크게 줄었다.
부채 비율 하락은 주로 유럽 선진국들 사이에서 나타났다. 반면 신흥국 비율은 255%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인도, 아르헨티나, 중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비율이 높게 올랐다.
IIF는 크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방향에 관한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재개, 지정학적 갈등을 남아있는 부채 위험 요인으로 분류했다.
IIF는 “연준이 금리 인하를 목전에 둔 상황에서 금리와 달러 궤적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시장 변동성을 더 높이고 외부 차입 의존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들의 자금 조달 요건을 더 빡빡하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근접함에 따라 각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 축소 속도가 크게 둔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그러나 무역 긴장 고조와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에 따른 성장 촉진,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재개된다면 부채 시장 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정학적 갈등에 대해선 “정부 재정 적자는 여전히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이전 수준을 훨씬 웃돌고 있고, 지역 갈등 가속은 국방비의 급격한 인상을 유발할 수 있다”며 “또 무역보호주의가 공급망 제약을 더 악화해 이러한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정부 지출 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긍정적인 점도 있다고 평했다. IIF는 “성장률이 전망을 밑돌고 차입 비용이 늘어나는 상황에서도 세계 경제는 회복력을 입증하고 있다”며 “특히 주목할 점은 글로벌 부채 시장에 대한 접근이 제한돼 매우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 국가를 포함한 신흥국 시장에서 유로본드 발행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전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