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지대 정당과 신당 추진 세력들이 설 연휴 첫날인 9일 ‘깜짝’ 합당을 선언했다. 앞서 이낙연·이준석 대표를 두 축으로 각각 ‘중텐트’를 구성한 상황에서도 통합을 둘러싼 이견이 지속적으로 표출되며 제3지대 ‘빅텐트’ 완성은 요원해 보였다. 하지만 설 명절 밥상에 제3지대 이슈를 올려야 한다는 공감대에 마침내 협상에 마침표를 찍으며 이들 세력이 거대 양당 체제를 뒤흔들 변수로 작용할 지 관심이 쏠린다. 다만 각기 다른 이념을 가진 4개 세력이 최종적으로 ‘화학적 결합’을 이루는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도 예상된다.
이준석 대표의 개혁신당, 이낙연 대표의 새로운미래, 금태섭 대표의 새로운선택과 이원욱·조응천 의원의 원칙과상식은 이날 ‘개혁신당’이란 이름으로 합당한다고 발표했다. 지도부는 이낙연·이준석 공동대표 체제로 하고 4개 정당이 각각 1명씩 최고위원을 추천해 구성하기로 했다. 총선을 지휘할 총괄선대위원장직은 이낙연 대표가 맡는다.
이들은 이날 합당을 발표하면서 국민의힘과 민주당을 ‘기득권 양당’으로 규정하고 4·10 총선에서 두 당을 심판해달라고 호소했다. 이낙연 대표는 SNS에 글을 올려 “대한민국을 검찰폭주와 방탄의 수렁에 빠뜨린, 무능하고 타락한 거대양당의 독과점 정치를 깨뜨리겠다”며 “개혁신당으로 새로운 미래를 열겠다”고 밝혔다. 김종민 의원 역시 합당 기자회견에서 “양당 체제를 그대로 방치해선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며 “국민 여러분께서 양 기득권 정당의 반칙에 대해 분명하고 준엄한 심판을 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이준석 대표와 이낙연 대표는 그동안 연대 가능성을 꾸준히 거론해왔지만, 협력 방안에 대한 미묘한 온도 차가 감지되면서 최종적인 빅텐트 구성 여부는 불투명했다. 실제로 이들은 전날까지만 해도 당명과 지도체제 등을 놓고 이견을 드러냈던 걸로 알려졌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를 발표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국민의힘이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의 창당 절차에 들어가고 민주당 역시 소수 정당과 연합한 위성정당 창당을 기정사실화 하면서 제3지대로서는 지역구는 물론 비례의석까지 양당에 빼앗길 위기에 처한 것이다. 이에 공천 절차 등 선거 일정을 고려했을 때 시일을 더 늦출 수는 없다는 데 서로 공감대를 형성하며 전격 합의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이준석 대표는 SNS를 통해 “합의 과정에서 있었던 일들이 세세히 공개되기는 어렵고 공개되어서도 안 되지만 매우 건설적인 합의가 이루어졌다”며 “이낙연 전 총리님의 큰 결단으로 많은 쟁점이 해소됐다”고 설명했다.
|
전격 합당을 선언했지만 남은 과제도 만만치 않다. 우선 4개 세력의 이념 지향과 정체성이 각기 다른 만큼 지지 세력들이 융화되는 과정에서 파열음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그동안 이준석 대표의 개혁신당이 발표해 온 ‘65세 이상 지하철 무임승차 폐지’, ‘여성 공무원 병역 의무화’ 등 공약에 나머지 세력들이 동의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앞서 이같은 공약에 대해 이낙연 대표의 새로운미래와 원칙과상식 내부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이같은 우려에 이원욱 의원은 “큰 틀에서 정책 방향이나 정당 강령에 대해서는 이미 사전에 (합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지역구와 비례대표 후보 공천 과정에서 ‘지분 다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장 통합에 속도를 내기 위해 당명과 지도체제 등에 대해 이낙연 대표가 상당 부분 양보한 것으로 전해지지만, 실질적으로 총선을 준비하는 과정에선 주도권 다툼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대권 주자로 거론되는 지지율 선두권자나 탄탄한 지역적 기반이 없다는 점도 풀어야 할 숙제다. 지난 2016년 20대 총선 당시에는 대권 후보였던 안철수 의원과 호남 지역 의원들이 제3지대 정당인 국민의당을 구성해 38석을 차지하는 돌풍을 일으킨 바 있지만, 지금 개혁신당은 교집합이 없는 세력들이 모여 그때와 상황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이준석 대표와 이낙연 대표의 지지층이 결을 달리하는 문제가 있다”면서도 “노·장·청의 조화로운 지도부로 지지층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당헌·당규, 정강·정책, 총선 공약 등 합의를 봐야하는 의제도 남아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