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글로벌 경제성장률을 기존보다 상향 조치하면서 한국에 대해서는 눈높이를 낮췄다. 반도체와 정보기술(IT) 기기 등 세계 교역 시장이 개선 조짐을 보인다고 평가하면서도 건설 경기와 소비 침체 등을 우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5일 ‘중간 경제 전망’을 발표하며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2%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밝힌 2.3%에 비해 0.1%포인트 내려간 수치다. OECD는 내년도 한국 경제성장률 추정치는 기존과 같은 2.1%를 제시했다.
반면 글로벌 경제성장률은 기존보다 낙관적으로 내다봤다. OECD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9%로 0.2%포인트 올렸다. 미국에 대해서는 기존보다 0.6%포인트 올린 2.1%로 상향했다. 중국의 성장률 예상치는 종전의 4.7%로 유지했다. OECD는 “반도체와 IT 기기, 자동차 판매에 더해 항공 여객 수요 회복 등으로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OECD는 이번 경제 전망에서 우리나라 성장률 예상치를 내린 배경에 대해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다만 기재부는 “OECD의 한국 성장률 전망은 우리 정부가 2024년 경제정책 방향에 담은 전망치를 반영해 수렴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OECD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2%로 예상했다.
|
그러나 OECD가 한국 성장률 눈높이를 낮춘 것은 국내 소비 침체와 건설 경기 부진 등이 경제성장률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평가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민간소비 증가율은 1.8%로 2022년(4.1%)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다. 올해 역시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소비 침체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지난해 4분기 건설투자 역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2% 감소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 건설 경기가 침체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와 관련해 “수출 증가가 기대되는 상황에서 OECD가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을 낮춰 잡은 것은 그만큼 내수 소비 전망이 좋지 않다는 뜻”이라며 “당분간 소비·건설 투자 부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2% 초반대에 머무를 것이라고 예상하면서도 고금리·공급망 리스크가 우리나라의 성장세에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있다고 입을 모은다. 이 같은 흐름은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에서도 엿보인다. 당시 IMF는 2.3%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글로벌 경제가 예상보다 강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었고 반도체 등의 수출 회복세가 뚜렷했기 때문으로 평가됐다.
다만 한국 경제의 주요 하방 요인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해석도 덧붙였다. 중동 정세 불안에 따른 물류 대란과 중국 부동산 기업 헝다의 파산 우려가 대표적이다. IMF는 이와 관련해 “지정학적 충격과 공급망 교란에 따른 원자재 가격 급등 및 근원 인플레이션 지속이 긴축적인 통화 여건을 지속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 부동산 시장 문제, 세금 인상과 지출 삭감으로의 혼란스러운 전환이 성장 기대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진단했다.
OECD도 IMF의 이 같은 견해에 공감하고 있다. OECD는 “중동 등의 지정학적 위험에 따른 물가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중국 경기 불안도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은 반도체 등 우리 수출 시장에서 핵심 국가로 자리하고 있다. 1월 대중 수출이 회복했지만 중국의 경기가 회복하지 않을 경우 수출 반등세가 꺾일 위험성은 남아 있는 상황이다. OECD는 중국 경제와 관련해 “소비 심리 제약, 미흡한 사회안전망, 높은 부채와 자산 시장 위축 등으로 성장이 둔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