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뉴스 김예품 기자] 2024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절반이 넘는 40억 명 이상이 투표소로 향할 전망이다. 전 세계 75개국에서 선거가 예정되면서 이른바 ‘지구촌 선거의 해’가 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오는 4월 총선을 앞둔 우리나라를 포함해 유독 세계 곳곳에서 굵직한 선거들이 연달아 마련돼있다.
지난 13일에는 양안(중국-대만) 갈등의 기폭제가 될 수도 있는 대만의 총통선거와 입법위원 선거가 지구촌 선거의 해의 방아쇠를 당겼다. 친미 및 독립 성향의 집권 민주진보당 라이칭더 후보와 친중 성향의 국민당 허우유이 후보가 양자 대결을 펼친 끝에 라이칭더 후보가 승리했다. 이번 총통선거는 어떤 정치적 성향을 가진 총통이 당선되느냐에 따라 향후 양안관계와 지역의 안보 정세가 바뀔수도 있다는 해석이 있었다.
대만에 이어 인도는 오는 2월, 3선 연임제한에 걸린 현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뒤를 잇는 새 대통령을 뽑을 예정이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지 2년이 돼가는 가운데, 오는 3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대통령 선거가 정상적으로 치뤄질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번 자신의 출마가 오늘날 러시아를 위한 유일한 방법이라며 재선 도전을 공식 발표한 바 있다. 러시아 독립 여론조사기관 ‘레바다센터’는 지난해 11월 여론 조사에서 푸틴 대통령 지지율은 85%로 발표하기도 했다. 이같은 상황으로 인해 러시아 안팎에서는 푸틴 대통령이 권좌에서 내려올 가능성은 없다고 보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이번 5선에 성공하면 총 32년간 권력을 장악하게 된다.
러시아를 상대로 전쟁을 치르고 있는 우크라이나도 평시라면 3월에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한다. 다만 현행법상 전시 계엄령이 발령된 상태에서는 선거를 실시할 수 없게 돼 있어, 이 법규의 해석이 선거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아울러 3월에는 이란 총선도 예정되어있다. 이번 총선은 히잡 시위로 여성 인권이 도마에 오른 이란에서 여성의 히잡 착용을 강제하는 근본주의 이슬람 정권에 어떤 변화를 가져다 줄지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야당 후보자 중 25% 이상이 이미 자격을 상실했고, 많은 유권자들이 투표를 보이콧할 것으로 예상된다.
4월과 5월에는 세계 최대 인구를 보유한 인도가 총선을 통해 나렌드라 모디 현 총리의 3선 여부가 결정한다. 모디 총리가 민주주의 억압과 정경 유착 논란으로 비판을 받고있다. 그런 와중에 야권 28개 정당의 연합인 인도국민개발포괄동맹(INDIA)이 모디 총리를 저지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첫 여성 대통령이 탄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멕시코의 대선은 3월에 치뤄질 예정이다. 중미 멕시코 집권당 국가재건운동의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전 멕시코시티 시장과, 야권 연합 광역 전선의 소치틀 갈베스 상원의원 등 두 여성 후보 간 선거가 전개될 예정이다.
6월에는 유럽의회 선거가 이어진다. 앞서 유럽연합(EU)는 2024년 100만명이 넘는 이민자들의 망명 신청을 받을 것으로 추정된 바 있다. 이는 2015~2016년 이후 가장 큰 규모로, 이를 위협으로 느낀 유럽 극우 정당들은 엄격한 이주민 통제 정책을 제안하고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중도 성향 유럽 정당 또한 극우 정당으로 이탈하는 표를 사수하기 위해 비교적 강경한 이민 정책을 마련하는 경향도 강해졌다.
미국 대선 경선도 이번 달부터 10개월의 대장정에 불을 붙였다. 공화당과 민주당이 차례로 경선에 들어가 7~8월에 후보를 확정 짓고, 11월에는 올해 최대 정치 이벤트인 미국 대선이 치뤄질 전망이다. 현재로서 민주당 바이든 현 대통령과 공화당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결 시나리오가 유력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선거는 결과에 관계없이 전반적 국제질서에 적잖은 파장을 미칠것으로 예상된다.
이 밖에도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알제리, 튀니지, 가나, 세네갈, 토고, 남수단 등 18개국이 선거를 치룬다. 그러나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은 공정하고 투명한 선거를 보장하기 힘든 상황인데다 빈번한 쿠데타로 민주주의 정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이러한 이유로 이번 한 해 정치가 경제를 휘두르는 ‘폴리코노미’가 본격화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는 올 한해 나라 밖 선거 판세에도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같은 대외 변수는 정부 정책으로 통제할 수 없는 만큼, 지금은 수출 다변화를 통해 기민한 사후 대응력을 키워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화뉴스 / 김예품 기자 press@mhns.co.kr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