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오전 인천 옹진군 대연평도 망향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장재도에 포문이 보이고 있다. 연평도=연합뉴스 |
|
|
북한이 지난 5일 평양시궐기대회를 열고 있는 모습. 북한은 김정은 정권의 핵개발에 따른 국제 제재로 심각한 식량난 등에 처해 민심이반 조짐이 보이자 이 같은 궐기대회 및 대남무력도발 등을 통해 내부의 불만을 외부로 돌리려 하고 있다. 북한의 무력도발과 내부 결속행사의 강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김정은 정권이 체제유지에 대해 그만큼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방증한다. 해당 장면은 이튿날 조선중앙통신이 6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
|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남북관계를 ‘교전국 관계’로 규정하면서 무력 충돌 위협을 끌어올리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일본의 지진 피해에 대해서는 기시다 후미오 총리에게 전보를 보내 위로의 뜻을 나타냈다. 한미일 3국이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응해 공조 체제를 강화하자 김정은 정권이 일본에 유화 메시지를 던지며 3국 공조에 균열을 일으키려는 ‘이간계’ 를 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7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5~6일 이틀 연속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 포 사격을 감행해 군사적 긴장을 끌어올렸다. 앞서 5일에는 백령도 북방 장산곶 일대와 연평도 북방 등산곶 일대에서 NLL 방향으로 200여발 이상의 사격을 실시했다. 이 때 발사된 포탄은 서해 NLL 북쪽 7㎞까지 근접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응해 서북도서의 해병부대는 K9 자주포와 전차포 등을 동원해 대응사격을 해 포탄이 서해 완충구역에 낙하했다. 9·19 남북군사합의로 사격 및 기동 훈련이 금지된 해상 완충구역에 북한군 포탄이 낙하한 것은 2022년 12월 이후 1년 1개월 만이다.
|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안포 사격을 실시한 지난 5일 백령도에서 우리 군이 해상사격 훈련을 하고 있다. 이날 우리 군은 북한의 포격 도발한 것의 약 두 배인 400발을 쏘며 강력한 대북억지 의지를 드러냈다. 사진제공=국방부 |
|
앞서 지난 6일에는 연평도 북서방 개머리 진지에서 방사포와 야포 등으로 포탄 60여발을 발사해 모두 서해 북방한계선(NLL) 이북 해상 완충구역에 낙하했다. 우리 군은 이날 북한군의 사격은 북한 내륙 혹은 측방으로 실시돼 5일 사격에 비해 덜 위협적인 것으로 판단하고 대응에 나서지 않았다. 연이은 북한의 서해상 포 사격의 배경에 대해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9·19 군사합의 파기에 따라 군사적 훈련 복원 의지를 보여주고 우리 군의 대응을 시험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발생한 일본의 지진 피해를 위로하기 위해 이례적으로 기시다 총리에게 처음 전보를 보냈다. 북한이 6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5일자 전문에서 김 위원장은 기시다 총리를 ‘각하’로 호칭하며 “일본에서 불행하게도 새해 정초부터 지진으로 인한 많은 인명 피해와 물질적 손실을 입었다는 소식을 접하고 당신과 당신을 통해 유가족들과 피해자들에게 심심한 동정과 위문을 표한다”고 전했다.
기시다 총리는 그동안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해 김 위원장과의 북일 정상회담 실현에 노력하겠다는 의사를 여러 차례 밝혔다. 이에 김 위원장의 이번 전보는 국제 사회에 정상 국가 지도자로서 인도주의적 면모를 내세우면서 일본에 납북자 문제를 계기로 북일 관계 개선이 가능하다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평가된다. 한일 및 한미일 안보협력을 흔들기 위한 ‘미끼’를 던진 셈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이 한국에 초강경 자세를 보이면서 일본에는 유화적 태도 가능성을 내비쳐 한미일 협력을 희석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