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등 mRNA 기반의 코로나 백신이 높은 확률로 돌연변이 단백질을 생성한다는 논문이 학계에 큰 충격을 자아내고 있다.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에도 게재돼 후폭풍이 거세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1/CP-2022-0028/image-e045197f-2390-4e77-a06f-1559176ba265.jpeg)
매일경제는 지난달 초 네이처에 게재된 ‘mRNA의 N1-메틸슈도우리딘(유사 우리딘)은 +1 리보솜 프레임 시프트(돌연변이 단백질 생성) 현상을 유발한다’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연구진의 논문과 관련, 의학계 여러 박사의 견해를 3일 소개했다.
폴 메릭 FLCCC(Front Line COVID-19 Critical Care Alliance) 수석 과학위원은 최근 에포크TV의 ‘아메리칸 사상 리더'(American Thought Leader)에 출연해 “해당 논문 속 연구 결과도 놀랍지만, 네이처라는 매우 존경받는 의학 저널에 실렸다는 점도 못지않게 중요하다”면서 “이번 연구는 mRNA 백신이 잘못된 독성 단백질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고 주장했다.
mRNA 백신을 접종하면 사람 몸 안에 스파이크 단백질이 생성된다. 이때 우리 몸의 면역 세포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으로 인식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를 만든다.
케임브리지대학 연구진은 최근 쥐 실험을 통해 mRNA 백신 접종 후 일정 확률로 스파이크 단백질이 아닌 돌연변이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mRNA는 아데닌(A)·우라실(U)·구아닌(G)·시토신(C) 등 4개 염기로 구성돼 있다. 이 중 3개가 하나로 묶여 아미노산이 만들어지고, 이 아미노산들이 결합해 단백질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구아닌·시토신·우라실(GCU) 순으로 묶이면 ‘알라닌’이 생성되는데, 순서가 바뀌어 시토신·우라실·구아닌(CUG)으로 묶이면 ‘류신’이 생성된다. 염기 서열에 따라 아미노산의 종류가 달라지는 것이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1/CP-2022-0028/image-995e6646-b5e8-4b53-a949-88416a828c95.jpeg)
만약 리보솜 프레임 시프트 현상이 발생하면 GCU가 생성 과정에서 G가 빠지고 아예 다른 염기가 달라붙어 엉뚱한 아미노산을 만들게 된다.
폴 메릭 박사는 “일반적으로 mRNA는 우라실 기반의 핵산 단위체(뉴클레오타이드)인 우리딘 성분으로 이뤄져 있는데, mRNA는 인체에서 너무 빠르게 분해돼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어내지 못한다”며 “(코로나 백신) 개발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 우리딘 대신 유사 우리딘을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내놨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요한 건 이 유사 우리딘을 사용하게 되면 단백질 합성 소기관인 리보솜이 mRNA를 건너뛰거나 잘못 읽어 스파이크 단백질 대신 독성이 있는, 말도 안 되는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이게 이번 논문의 핵심 내용”이라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유사 우리딘으로 인해 독성 단백질이 생성될 확률이 25~30%라고 규정했다.
메릭 박사는 “우리는 코로나 백신에 대해 많은 것을 알지 못한다. 확실한 건 백신이 우리 몸에 있지 말아야 할 단백질을 만들어 낸다는 점”이라며 “그 단백질에 우리가 모르는 심각한 독성 효과가 있을 수 있고, 엉뚱한 면역 반응을 일으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왕재 서울대 의대 명예교수도 “보다 면밀한 분석과 검토가 이어져야겠지만, 이번 논문을 통해 그동안 숱하게 지적돼 온 백신 부작용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셈”이라고 평했다.
반면 코로나 백신 안전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며 해당 논문에 대한 반론을 펼치는 박사들도 적지 않다. 이 중 일부는 유사 우리딘을 제거하면 엉뚱한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걸 방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