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176조·건설업 44조 늘어
“부동산PF 쏠림 방지 관리해야”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들이 떠안고 있는 빚의 규모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사태 이후 기업대출이 크게 늘어나는 가운데, 특히 비은행과 부동산 관련 업종 대출이 집중적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한국은행은 28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올해 6월 말 기준 명목GDP 대비 기업신용 비율은 124.0%로 코로나19 전인 2019년 말(101.3%)보다 22.7%포인트 올랐다. 이는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기업신용이란 통상 자금순환 통계상 기업(금융법인 제외)의 대출금, 채권, 정부융자를 합한 부채를 의미한다.
금융기관별로 보면 비은행권과 중소기업 대출을 중심으로 크게 늘어났다. 상호금융·저축은행·여신전문금융사 등 비은행권 비중은 2019년 말 25.7%에서 올해 9월 말 32.3%로 뛰었다.
산업별로는 부동산 관련 업종과 코로나19 피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대출이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9 이후 부동산업에서 175조7000억원, 건설업에서 44조3000억원 대출이 비은행권으로 중심했다는 설명이다. 이들 증가분은 분석대상 업종 전체 대출 증가 규모(567조4000억원)의 38.8%를 차지했다. 또한 코로나19 기간중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던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 대출도 정부의 금융지원조치 등 영향으로 각각 92조7000억원, 27조5000억원 늘었다.
빚 갚을 능력이 취약한 기업의 차입금 비중을 과거 위기 당시와 비교한 결과, 차입금상환배율이나 부채비율, 유동비율 등 지표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준에 근접하거나 일부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외환위기 당시보다는 모두 낮았다.
한은은 “기업신용이 양적으로 확대 추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기업의 상환능력별 차입금 분포가 대체로 양호하고 기업 부실위험이 대부분 산업에서 과거 위기 시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현재 질적인 측면에서는 기업신용 관련 리스크가 크게 확대된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최근 부동산업 대출이 비은행권 중심으로 부가가치(GDP)를 상회하는 규모로 공급되는 등 금융시스템내 자원배분의 효율성이 다소 저하된 만큼, 부동산PF 등 특정 부문으로 기업신용이 과도하게 공급되지 않도록 권역별 규체차익을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정책당국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PF 사업성을 재평가해 지원 여부를 판단하되, 부동산PF 정리에 직접 개입하기보다는 대주단들이 자율적 협약을 통해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도 했다.
또 고금리 장기화로 기업대출 및 채권의 차환리스크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책당국은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해진 기업들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지속하는 가운데, 계속사업이 어렵다고 평가된 기업에 대해서는 자산매각 등 자구노력을 통한 구조조정을 유도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