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7월 발표한 ‘통신시장 경쟁촉진 방안’과 11월 ‘통신비 부담 완화 방안’ 등 후속 조치로 통신비 부담 완화 계획을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통신서비스 이용자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이통3사의 순차적인 이동전화 단말 종류에 따른 요금제 가입 제한 폐지, ▲재난지역 내 주거시설 피해 주민에 대한 유선통신·방송 서비스 해지 위약금 면제, ▲이동전화 선택약정 할인(25% 요금할인) 사전예약제 도입 등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23일, SK텔레콤에서 단말 종류에 따른 요금제 가입 제한을 폐지한 데 이어, KT, LG유플러스도 동일한 내용의 이용약관 개정 신고를 했다. 오는 22일부터 기존·신규 KT 가입자는 5G, LTE 등 단말 종류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5G, LTE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게 된다. LG유플러스도 전산 작업 등 준비절차를 거쳐 내년 1월 19일부터 요금제 가입 제한을 폐지할 예정이다.
선택약정 할인을 받는 이용자의 불편함을 더는 ‘선택약정 25% 요금할인 사전예약제’도 마련했다.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제6조는 이용자가 단말기 지원금을 받지 않고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입할 경우 선택약정 25% 요금할인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1년·2년 약정의 요금할인율은 25%로 동일하고, 1년 약정을 선택할 때 해지 위약금(할인반환금)이 더 낮은데, 상당수 이용자는 2년 약정을 선택하고 있다. 약정만료 후 재약정 신청이 번거롭고 위약금 구조에 대한 인식이 낮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이통3사와 협의해 1년 약정을 선택하는 가입자에게 추가적인 1년 약정 연장을 사전에 예약할 수 있는 ‘선택약정 25% 요금할인 사전예약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각 통신사의 전산 개발 등 준비를 거쳐 내년 3월 29일부터 시행한다. 기존 1년, 2년 약정과 더불어 ‘1년+1년(사전예약)’ 약정을 선택할 수 있게 되며, ‘1년+1년(사전예약)’ 가입자는 1년 약정만료 후 자동으로 1년 약정 연장이 이루어진다.
더불어 각 사의 가입신청서·홈페이지 등을 개선해 위약금 구조에 대한 설명을 강화하고, 약정만료 시점(약정만료 전 2회, 약정만료 당일, 약정만료 후 1회)에 발송되는 안내 문자에 즉시 재약정 신청이 가능한 URL을 포함해 재약정 신청 편의를 확대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이용자의 통신사 전환비용을 크게 완화해 자신에게 알맞은 요금제를 출시한 통신사로 이동해 실질적인 요금 부담 완화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 약정이 만료된 이용자가 재약정 신청 과정에서 겪는 불편을 완화해 보다 많은 이용자가 선택약정 25% 요금할인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재난지역 주거시설 피해자의 유선통신·방송서비스 해지 위약금을 면제한다. 집중 호우, 산사태 등으로 집이 거주할 수 없을 만큼 파손된 이용자는 해당 장소에서 더 이상 유선통신 및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워 위약금 없이 서비스 이용계약 해지가 가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안된 바 있다. 현행 이용약관에 따르면 서비스 일시 정지나 새로운 거주자로 이전설치만 가능하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통신4사와 케이블TV사, 인터넷TV(IPTV)사, 위성방송사 등 유료방송사와 협의해 재난으로 주거시설이 유실·전파·반파된 이용자의 경우 위약금 없이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내년 2월부터 주거시설 피해로 인해 서비스를 해지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재난 피해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관련 법령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장이 발급하는 피해사실확인서를 통신사에 제출하면 약정 할인반환금, 장비 임대료 할인반환금, 장비 분실·파손에 따른 변상금 등을 면제받을 수 있게 된다.
과기정통부는 고물가·고금리 장기화로 가중되고 있는 민생 경제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먼저, 올해 상반기에는 통신사 협의를 통해 5G 요금제 중간 구간을 세분화하고, 데이터 제공량과 부가 혜택이 확대된 청년·고령층·온라인·알뜰폰 요금제를 신설하는 등 5G 요금체계를 개편해 요금제 선택권을 대폭 확대하고, 이용자가 자신의 실제 사용량에 가까운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하반기에는 주로 이동전화와 함께 결합해 이용하는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이용 부담을 완화하고 사업자 전환 용이성을 제고하기 위해 약정 후반부 해지 부담이 대폭 완화되도록 위약금(할인반환금) 구조를 개선했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의 결과, 올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전체소비지출은 전년동기 대비 약 3.9% 증가(270.2만원→280.8만원)했지만 가계통신비 월평균 지출은 약 1% 감소(13.1만원→13만원)했다. 올해 10월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기 대비 약 3.8% 상승(109.21→113.37)했지만 통신물가지수는 상대적으로 일정 수준(100.68→101.01)을 유지하고 있다.
아울러 이용자 선택권 확대 및 통신비 부담 경감을 위한 종합적 추진계획을 구체화한 ‘통신비 부담 완화 방안’을 발표하고 후속 조치 중에 있다. 단말 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제조사와 협의한 결과 40~80만원대 중저가 단말 2종(11월 10일 갤럭시 점프3, 12월 8일 갤럭시S23 FE)이 출시됐다. 내년 상반기 내 3~4종을 추가 출시할 예정이다.
알뜰폰의 제도적 근간인 도매제공 의무제도(이동통신시장 지배적사업자가 알뜰폰에 자사 네트워크를 도매로 의무 제공토록 하는 제도)를 상설화해 알뜰폰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며 더욱 저렴하고 다양한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이용자의 불편 사항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개선하는 한편, 3만원대 5G 요금제 신설, 중저가 단말 출시 확대, 알뜰폰 요금제 출시 유도 등 ‘통신비 부담 완화 방안’을 차질 없이 이행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