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주행성능 업그레이드한 폴스타2 페이스리프트 모델 출시…후륜·주행 거리 449km

무브브로 조회수  


폴스타 코리아가 주행성능부터 디자인,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지속가능성까지 업그레이드한 2024년형 업그레이드 폴스타 2(Upgraded Polestar 2)’를 출시했다.

업그레이드 폴스타 2의 가장 큰 변화는 차세대 전기모터 및 인버터를 탑재하고 후륜구동 방식으로의 변화를 통해 주행성능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폴스타 3의 패밀리룩을 계승한 디자인, 생산과정에서의 탄소발자국도 줄여 지속가능함도 업그레이드했다. 여기에 차세대 티맵(TMAP)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탑재해 진화된 커넥티비티 및 엔터테이닝 경험을 제공한다.

토마스 잉엔라트(Thomas Ingenlath) 폴스타 CEO는 “기존 자동차산업에서 부분변경은 종종 외적인 변화에 치중해 기존 디자인의 의도를 해치는 경우가 많다”라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새로운 폴스타 2는 오히려 본질에 집중해 전기 파워트레인의 실질적인 기술 및 구성 요소를 업그레이드했으며, 스마트존(SmartZone)의 새로운 전면 디자인까지 더해 더욱 완성도 높은 폴스타 2가 탄생했다”고 강조했다.

업그레이드 폴스타 2에는 차세대 영구 자석 전기모터와 실리콘 카바이드 인버터가 탑재돼 이전 모델 대비 성능 향상은 물론, 에너지 효율성도 개선됐다. 후륜구동 방식으로 전환하고 최적화된 세팅으로 즉각적인 핸들링 반응과 안정적 코너링을 통해 주행의 즐거움을 극대화했다.

롱 레인지 싱글 모터의 최대출력은 기존 모델 대비 68마력(hp) 증가한 299마력, 최대토크는 16.3㎏·m 증가한 50㎏·m다. 최고속도도 205㎞/h로 향상됐으며, 0-100㎞/h 가속시간도 6.2초로 1.2초 단축했다. 기존 모델과 동일한 용량의 78㎾h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하고도 32㎞ 늘어난 449㎞의 1회 충전 주행거리를 달성하는 등 에너지효율도 향상됐다.

롱 레인지 듀얼 모터도 새로운 리어 모터를 기반으로 더욱 뛰어난 주행경험을 제공한다. 동시에 상시 네 바퀴 굴림 방식(AWD)인 이전 모델과 달리 최고출력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프론트 모터와의 연결을 해제해 효율성도 극대화했다. 

최대출력은 기존 408마력에서 421마력으로, 최대토크는 기존 67.3㎏·m에서 75.5㎏·m로 향상됐다. 0-100km/h 가속시간도 4.5초로 0.2초 단축했고, 1회 충전 시 최대 주행거리도 45㎞ 늘어난 379㎞를 달성했다.

요아킴 뤼드홀름(Joakim Rydholm) 폴스타 수석 섀시 엔지니어는 “업그레이드 폴스타 2는 싱글모터의 후륜구동 방식으로의 전환과 듀얼모터의 토크 비율 재조정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드라이빙 다이내믹스를 구현했다”며 “더 민첩한 드라이빙을 즐길 수 있도록 콤팩트함과 완벽한 제어 감각을 유지하는 동시에 한층 성숙해진 편안함까지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업그레이드 폴스타 2는 프론트 그릴 위치에 스마트존(SmartZone)을 적용, 폴스타 3의 디자인 언어를 계승하며 완성도 높은 미니멀 디자인을 구현했다.

스마트존은 전면 카메라와 중거리 레이더를 포함한 폴스타의 안전 관련 첨단 기술의 집약체로, 폴스타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최신화함은 물론 기술적인 것을 세련된 방식으로 시각화했다. 퍼포먼스 팩에도 폴스타 3와 동일한 새로운 디자인의 20인치 단조 알로이 휠을 탑재해 스포티함도 계승했다.

추가로 폴스타는 매년 지속적인 성능 개선과 함께 눈에 보이지 않는 생산 과정에서의 개선을 통해 제품 생애 주기 동안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을 감소시켜 왔다. 업그레이드 폴스타 2 역시 배터리 내 화학 물질을 개선했으며, 이를 통해 롱 레인지 듀얼 모터의 경우 첫 생산 이래 3년 동안 약 12%, 총 3톤의 온실가스(CO2e)를 절감시켜 지속가능성까지 업그레이드했다.

뿐만 아니라 폴스타는 지속적으로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Over-The-Air)를 통해 차량의 기능 개선 및 다양한 첨단 기능들을 추가해 왔다. 특히 폴스타 2에 전기차 최초로 탑재된 티맵(TMAP)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서울시의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을 활용, 도심 내 실시간 신호등 정보 연동 길 안내, 주행 내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한 충전소 안내 등 강화된 전기차 전용 솔루션을 지원한다.

진보된 개인 최적화 음성 인식 AI 플랫폼 누구(NUGU 2.0)부터 웹 서핑,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한 웹브라우저, 뉴스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티맵 스토어를 제공하고, 연내에는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웨이브(Wavve)와 인카페이먼트 시스템까지 도입할 계획이다. 폴스타의 강화된 OTA 서비스는 신규 고객은 물론 기존 고객도 동일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외에도 업그레이드 폴스타 2는 조향 어시스트 사각지대 정보 시스템(BLIS with steer assist)부터 △교차로 교통 경고 및 긴급 제동(Cross Traffic Alert with brake support) △후방 충돌 경고 및 방지(Rear Collision Warning & Mitigation) △360° 서라운드 카메라 △오토 디밍 사이드 미러 △휴대폰 무선충전 기능 등 기존 연식 모델에서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및 편의사양을 기본 사양으로 적용했다.

플러스 팩의 가격은 539만원에서 490만원으로 인하됐다. 픽셀 LED 헤드라이트(Pixel LED Headlight)가 추가된 파일럿 팩(Pilot)과 퍼포먼스 팩(Performance)은 각각 299만원과 649만원으로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했다.

업그레이드 폴스타 2 롱 레인지 싱글 모터의 판매가격은 5590만원, 듀얼 모터는 6090만원(부가세 포함, 보조금 미포함)이다. 전력 효율성이 개선됨에 따라 전기차 구매보조금도 각각 500만원(기존 488만원)과 225만원(기존 201만원)으로 증액됐다.

또 5년/10만㎞의 일반 부품 보증과 8년/16만㎞ 고전압 배터리 보증을 기본 제공하며, 보증 수리 시 픽업 앤 딜리버리 서비스도 무상 제공한다. 5년 LTE 데이터 사용 및 1년 플로(FLO) 뮤직앱 서비스도 기본 제공한다.
 
업그레이드 폴스타 2는 폴스타 홈페이지에서 주문할 수 있으며, 지역별 보조금 지급 가능 여부에 따라 이르면 다음 달부터 출고 가능하다.

무브브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차·테크] 랭킹 뉴스

  • KGM, 액티언 전 트림에 개방감 높인 파노라마 선루프 탑재
  • “벌써 완판 직전!”.. BMW 코리아 창립 30주년 기념 한정판 4종에 ‘관심 집중’
  • [토픽]해외게임통신 505호, "몬헌 와일즈 테스트에 간판몹 '알슈베르도' 등장"
  • “단계별 사고과정 ‘생각의 사슬’ 공개”… ‘딥시크 충격’에 개방성 선택한 오픈AI
  • [일문일답] 개인정보위 “딥시크, 개인정보 처리 방침·기술적 방식 검토 중… 위법성 발견되면 조치 예정”
  • 포드 대형 전기차 한계 느꼈다, 'EREV로 대응'

[차·테크] 공감 뉴스

  • '생존 골든타임 잡아라'…네이버 이해진‧최수연, AI 전략 광폭 행보
  • 더 완벽한 컴팩트 EV의 등장 - 볼보 EX30 울트라[별별시승]
  • “EV 화재도 걱정 끝?” 기아, 최대 100억 보상 프로그램 공개에 소비자들 ‘안심’
  • 현대차그룹, 美 카즈닷컴 '최고의 차' 4개 부문 수상
  • “투싼, 스포티지 비상”.. 디자인부터 연비까지 완벽한 하이브리드 SUV
  • 갤S25 글로벌 시장 출격...AI폰 주도권 경쟁 본격화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러니 현대차 안팔리지” 2천만원대 BYD 야심작 또 나온다!
  • “방심하면 그대로 저승행” 올 겨울 정말 심한 빙판길 운전 주의보
  • “상사와의 어려운 술자리로 집유” 음주 뺑소니한 경찰관 논란
  • “20년 만에 돌아온 무쏘” 2천만원대 포터 가격에 살 수 있을까?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중국에 바짝 엎드린 일본!” 뭉쳐도 이기기 힘든데, 흩어질 위기 처한 상황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Z세대 86% ‘조직문화’ 중시…최악의 문화 1위는?

    뉴스 

  • 2
    “김하성 단기적으로 완벽, 어깨수술 최악의 시기에 했어” FA 1300만달러 재수계약 좋은데…이것은 걱정

    스포츠 

  • 3
    '17년 만의 우승 도전' 토트넘, 리버풀에 0-4 참패…카라바오컵 결승 진출 실패

    스포츠 

  • 4
    [손태규의 직설] 대학 동아리 출신 여자 마라토너의 국제대회 1위에 일본이 ‘열광’한 이유→“고정관념 무너뜨렸다”

    스포츠 

  • 5
    1억 깎아 줘도 “안 산다”.. 눈물의 가격 인하에도 ‘찬바람’ 쌩쌩부는 ‘이 도시’

    뉴스 

[차·테크] 인기 뉴스

  • KGM, 액티언 전 트림에 개방감 높인 파노라마 선루프 탑재
  • “벌써 완판 직전!”.. BMW 코리아 창립 30주년 기념 한정판 4종에 ‘관심 집중’
  • [토픽]해외게임통신 505호, "몬헌 와일즈 테스트에 간판몹 '알슈베르도' 등장"
  • “단계별 사고과정 ‘생각의 사슬’ 공개”… ‘딥시크 충격’에 개방성 선택한 오픈AI
  • [일문일답] 개인정보위 “딥시크, 개인정보 처리 방침·기술적 방식 검토 중… 위법성 발견되면 조치 예정”
  • 포드 대형 전기차 한계 느꼈다, 'EREV로 대응'

지금 뜨는 뉴스

  • 1
    삼성전자 시총 5배? 물거품 된 ‘대왕고래’에 동아 “사기극 수준”

    뉴스 

  • 2
    [심층분석]“부정선거 제대로 밝혀라”...‘尹부정선거 감정신청’불허에 난리난 헌재홈페이지

    뉴스 

  • 3
    “‘인원’이란 말 써본 적 없다”는 尹…취재진도 웃음 터져

    뉴스 

  • 4
    '얼음도시' 하얼빈 동계AG, 오늘밤 개막...韓, 2회연속 2위 목표

    스포츠 

  • 5
    독감 환자 4주연속 줄었어도 여전히 유행 기준 '3.5배'

    뉴스 

[차·테크] 추천 뉴스

  • '생존 골든타임 잡아라'…네이버 이해진‧최수연, AI 전략 광폭 행보
  • 더 완벽한 컴팩트 EV의 등장 - 볼보 EX30 울트라[별별시승]
  • “EV 화재도 걱정 끝?” 기아, 최대 100억 보상 프로그램 공개에 소비자들 ‘안심’
  • 현대차그룹, 美 카즈닷컴 '최고의 차' 4개 부문 수상
  • “투싼, 스포티지 비상”.. 디자인부터 연비까지 완벽한 하이브리드 SUV
  • 갤S25 글로벌 시장 출격...AI폰 주도권 경쟁 본격화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러니 현대차 안팔리지” 2천만원대 BYD 야심작 또 나온다!
  • “방심하면 그대로 저승행” 올 겨울 정말 심한 빙판길 운전 주의보
  • “상사와의 어려운 술자리로 집유” 음주 뺑소니한 경찰관 논란
  • “20년 만에 돌아온 무쏘” 2천만원대 포터 가격에 살 수 있을까?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중국에 바짝 엎드린 일본!” 뭉쳐도 이기기 힘든데, 흩어질 위기 처한 상황

추천 뉴스

  • 1
    Z세대 86% ‘조직문화’ 중시…최악의 문화 1위는?

    뉴스 

  • 2
    “김하성 단기적으로 완벽, 어깨수술 최악의 시기에 했어” FA 1300만달러 재수계약 좋은데…이것은 걱정

    스포츠 

  • 3
    '17년 만의 우승 도전' 토트넘, 리버풀에 0-4 참패…카라바오컵 결승 진출 실패

    스포츠 

  • 4
    [손태규의 직설] 대학 동아리 출신 여자 마라토너의 국제대회 1위에 일본이 ‘열광’한 이유→“고정관념 무너뜨렸다”

    스포츠 

  • 5
    1억 깎아 줘도 “안 산다”.. 눈물의 가격 인하에도 ‘찬바람’ 쌩쌩부는 ‘이 도시’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삼성전자 시총 5배? 물거품 된 ‘대왕고래’에 동아 “사기극 수준”

    뉴스 

  • 2
    [심층분석]“부정선거 제대로 밝혀라”...‘尹부정선거 감정신청’불허에 난리난 헌재홈페이지

    뉴스 

  • 3
    “‘인원’이란 말 써본 적 없다”는 尹…취재진도 웃음 터져

    뉴스 

  • 4
    '얼음도시' 하얼빈 동계AG, 오늘밤 개막...韓, 2회연속 2위 목표

    스포츠 

  • 5
    독감 환자 4주연속 줄었어도 여전히 유행 기준 '3.5배'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