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의 은행 외벽에 붙여있는 대출금리 안내문. /사진=뉴시스 |
시중은행에 4%대 예금금리가 다시 등장하면서 정기예금으로 돈이 몰린다. 지난달에만 은행권에 12조원이 넘는 돈이 정기예금에 쏠렸다. 올라가는 예금 금리는 반갑지만 뒤따라오는 대출금리 상승은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에게 부담이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의 정기예금은 전월 대비 12조3000억원 증가했다. 올해 들어 월간 기준 가장 큰 폭의 정기예금 증가다. 지난 7월말 기준 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957조7000억원으로 늘었다.
지난해말 944조2000억원 규모였던 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예금금리 하락으로 지난 4월말 930조6000억원까지 감소했다. 지난해 말 평균 4.29%였던 정기예금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시장금리가 떨어지면서 지난 4월 3.41%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금리가 다시 상승하면서 지난 5월부터 은행 예금을 찾는 사람이 늘었다. 지난 6월 평균 정기예금이 3.65%까지 상승했다. A은행의 12개월 이상~24개월 미만 기본금리는 4월말 3.4%에서 11일 기준 3.75%로 0.35%포인트(p) 상승했다.
4%대 정기예금도 다시 등장했다. SC제일은행의 ‘e-그린세이브예금'(12개월 만기)은 기본금리가 3.80%로 우대금리를 더하면 최대 4.10%의 금리가 적용된다. 우리은행의 ‘우리 첫거래우대 정기예금’도 최대 4.10%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지난 6월 은행의 4%대 정기예금 신규 취급액 비중은 14%로 한 달 사이 10.6%p 상승했다.
이와 함께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주력 정기예금 상품(1년 만기)의 금리도 3.65~3.85%에 형성된 상태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등 인터넷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보다 높거나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
은행권의 예금금리 상승은 은행채 등 시장금리 상승이 주요 원인이지만 코로나19로 완화됐던 예대율(예금잔액 대비 대출잔액 비율) 규제 정상화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105%로 완화됐던 예대율이 지난 7월부터 100%로 돌아왔다. 은행에서는 예금을 늘릴 유인이 커졌다.
시중은행에서 4%대의 예금금리가 나오면서 저축은행도 긴장하고 있다. 예금 유치를 위해서 꾸준히 금리를 올리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국내 전체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의 평균 금리는 지난달 중순 4.0%를 넘어선 이후 이날 4.06%까지 상승했다.
다만 예금금리 상승을 마냥 반길 수만은 없다. 자금 조달금리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대출금리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미 최근 대출금리는 상승세를 그리고 있다. 특히 장기채권 금리상승으로 고정형(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이 두드러진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일부 정기예금은 개인에 따라 은행 창구에서 가입하면 더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다”며 “다른 상품 마케팅과 영업점 영업 등을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우대금리를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