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카카오의 영업이익이 1년 새 절반 이상 줄었다. 지난해 일어난 카톡대란 재발을 막기 위한 데이터센터 다중화, AI(인공지능) 개발 등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며 영업비용이 급증한 탓이다. 주요 먹거리인 콘텐츠 부문의 성장도 둔화됐다. 카카오는 신사업에 대한 투자는 이어가면서도 일부 사업 구조조정 등을 통해 비용 효율화를 꾀하기로 했다.
매출 5% 늘고 영업이익 55% 줄어
━
카카오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1조7403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5% 늘었다고 4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익은 55% 줄어든 711억원, 당기순이익은 93% 줄어든 871억원이었다.
플랫폼 부문 매출은 9% 늘어난 9647억원이었다. 톡비즈 매출은 51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늘었다. 비즈보드와 카톡 채널 등 광고형 매출은 1% 증가에 그쳤으나 선물하기와 톡스토어 등 거래형 매출이 25% 성장해 전체 매출을 방어했다. 반면 포털비즈 매출은 27% 감소한 836억원에 불과했다. 카카오모빌리티 등 플랫폼 기타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3656억원을 기록했다.
승승장구하던 콘텐츠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 증가한 7756억원에 머물렀다. 스토리 매출은 5% 줄어든 2286억원, 미디어 매출은 10% 줄어든 677억원이었다. 대신 뮤직 매출은 13% 늘어난 2320억원을 거뒀다. 게임 매출은 신작 출시 효과가 제때 반영되지 못하면서 1% 늘어난 2473억원을 기록했다.
데이터센터·AI 투자 등 영업비용 1년 새 12% ↑
━
매출 성장이 정체된 가운데 쓰는 돈은 대폭 늘었다. 카카오의 1분기 영업비용은 1조6692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2% 늘었다. 지난해 발생한 카톡 대란을 막기 위한 데이터센터 다중화 등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면서 외주 인프라 비용이 지난해 1분기보다 18% 늘어난 2420억원에 달했다.
아울러 데이터센터 건립 관련 CAPEX(자본적지출) 투자 증가에 따라 상각비도 15% 늘어난 1503억원을 기록했다. 고질적 영업비 증가 원인이던 인건비는 전년 동기 대비 6% 늘어난 4458억원이었다. 카카오의 인원은 지난해 1분기보다 17.4% 늘어난 3931명, 종속회사 인원은 8% 늘어난 1만2505명이었다.
카카오 관계자는 “녹록지 않은 시장환경 속에서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센터 다중화와 건립 등 투자를 지속하면서 관련 고정비용이 늘고, AI 관련 투자 규모도 상당했다”면서도 “인프라 투자와 함께 미래 성장동력인 AI와 헬스케어, 특히 AI 파운데이션 모델에 대한 투자는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픈채팅 전면배치’에 ‘사업 구조조정’으로 반등 노려
━
카카오는 카톡의 관심사 기반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강화해 수익성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카카오뷰를 대신해 ‘오픈채팅’을 이달 중 카톡 세번째 탭으로 전면 배치하고, 대중성 있는 신규 채팅 기능을 선보여 연말까지 ‘뷰’ 탭의 2배 이상 되는 일간활성이용자를 확보하는 게 목표다. 1000명 이상의 친구를 둔 플러스채널을 연말까지 30만개 확보하는 등 메시지 비즈니스도 강화한다.
또 일부 경쟁력이 낮은 사업들을 정리할 예정이다. 배재현 카카오 CIO(최고투자책임자)는 “현재 카카오 공동체 전체가 비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며 “일부 사업을 정리해 손익이 일부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생성형 AI 투자를 이어가며 새로운 서비스도 속속 선보일 계획이다. 홍은택 대표는 “카카오브레인이 하반기 중 코GPT 2.0 를 공개하고, 이미지 생성 파운데이션 모델로는 5월 중 업그레이드 된 칼로 2.0을 선보이면서 이미지와 언어를 아우르는 멀티모델 AI 파운데이션 모델의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