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개인연금 투자일지 2023년 3월 | 45.11 M | 연금저축 자산배분

J UTOPIA 조회수  

#개인연금 #연금저축 #투자일지 #매매일지 #세액공제 #ETF투자 #ETF포트폴리오 #개인연금ETF포트폴리오 #ETF #연금ETF #국내ETF #적립식투자 #자산배분 #자산배분투자 #리밸런싱 #동적자산배분 #연준 #기준금리 #코스톨라니달걀 # OMC #금리고점 #디스인플레이션 #금융위기 #주식투자 #연금투자 #EMP #직장인재테크 #노후연금

연금저축용 개인연금 계좌의 투자일지입니다.

세액공제를 위한 연금저축 개인연금 계좌로 매년 400만 원을 매월 분할해서 적립식으로 저축하여

주식과 채권 리츠 금 달러 ETF로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연금도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서 자산 배분하여 장기투자합니다.

2023년 3월 현재 개인연금 계좌

1) 자산 4,511만 원이고 ( 2월 대비 + 86만 원 ​​)

2) 2022년 연간 수익률은 – 13.3%입니다. ( 수익금은 – 607만 원 )

2) 2021년 연간 수익률은 + 13.3%​입니다. ( 수익금은 + 485만 원 )

3) 2020년 연간 수익률은 + 3.6%입니다. ( 수익금은 + 112만 원 )

4) 2019년 연간 수익률은 + 11.7%입니다. ( 수익금은 + 279만 원 )

2019년부터 누적 수익률은 + 18.1%입니다. ( 수익금은 + 559만 원) ​

2021년에는 정상적으로 투자를 진행했지만, 2022년에는 거의 손대지 않고 추가 불입금 적립만 했습니다.

2021년 3월 위험자산 65%, 안전자산 25%, 현금 10%로 변경한 후에

2022월 11월까지 동일한 비중으로 유지하다가

​2022년 12월 위험자산 60%, 안전자산 30%, 현금 10%

2023월 1월 위험자산 50%, 안전자산 30%, 금 10%, 현금 10%로 대체자산 금을 처음 편입했습니다.

2023년 2월 위험자산 48%, 안전자산 30%, 금 12%, 현금 10%로 위험자산 비중을 2% 낮추고 금의 비중을 2% 추가하고

2023년 3월 포트폴리오는 위험자산 46%, 안전자산 30%, 금 14%, 현금 10%로 위험자산 비중을 2% 낮추고 금의 비중을 2% 추가했습니다.

앞으로 반등이 오는 달마다 위험자산의 비중을 조금씩 줄일 생각입니다.

현재 목표는 ‘안전자산 + 금 + 현금 = 60%’이며 금융위기가 오기 전까지 완료할 계획입니다.

​이번 달은 오랜만에 종목교체 없이 리밸런싱만 진행했습니다.

2023년 1월부터 달러와 금을 편입하게 되었습니다.

ACE KRX금현물‘ ETF를 연금계좌에서 현물금 투자를 위해 신규편입하고

KODEX 미국달러선물 ETF를 연금계좌에서 현금 비중의 절반을 달러로 보유하기 위해 매입했습니다.

[ 개인연금 포트폴리오 종목 편입 | 달러 & 금 ETF | KODEX 미국달라선물 & ACE KRX금현물 ]

https://blog.naver.com/gfyuna/222976803988

2023년 3월 17일 기준. 개인연금 올해 수익률(YTD)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연간 수익률(YTD)이 연속으로 플러스였는데

2022년 개인연금 ETF 투자를 시작하고 나서 처음으로 연간 손실을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2023년 1월 국내 주식, 해외 주식, 채권, 금 등의 모든 자산이 반등하고

2023년 2월에는 1월의 큰 반등 이후 2월 FOMC 전후로 쉬어가다가 미국 물가지표가 연이어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자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우려 때문에 자산 가격이 전반적으로 조정을 받았습니다. 개인연금 계좌는 오히려 1월 만큼 수익이 났습니다.

2023년 3월 첫째, 둘째 주에는 미국 은행이 세 군데 파산하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연준(Fed)의 무리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은행의 보유 자산 가치가 크게 하락한 상태에서 뱅크런으로 인해 보유자산을 매각해야 했고, 자산 가격 손실이 실현되어 자본잠식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은행들은 보통 안전자산을 위주로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데 2022년 역사상 채권 최악의 해를 보내며 미국 은행들의 보유자산 평가손실이 작년 말 기준 6,500억 달러에 달합니다.

파산 전후로 주식시장이 크게 하락하였으나, 결국 미국 재무부, 연준, 대통령까지 나서 빠르게 봉합함으로써 주식시장은 다시 반등하였습니다.

자산배분한 개인연금 계좌 잔고는 2월 3월 전반적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연준의 기준금리의 현재 위치와 앞으로의 방향을 알 수 있는 코스톨라니 달걀 그림. 2023년 3월 FOMC를 앞두고 미국 은행 뱅크런과 파산 사태를 맞게 돼 금리고점(A)를 지나고 있을 확률이 높아졌습니다.

​달러인덱스와 미국채 수익률이 작년 10월 전후를 고점으로 하락하며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막바지에 왔다는 시장의 기대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2월 FOMC에는 연준이 직접 ‘디스인플레이션이 시작되었다’라고 인정하였으나 2월 1월 물가지수가 예상 보다 높게 나오면서 달러인덱스, 미국채 수익률이 바닥에서 반등하며 주식시장이 조정 받았지만

3월 미국 은행 파산으로 달러인덱스와 미국채 수익률도 크게 후퇴하고 기준금리 인상 여지도 희박해진 상황입니다.

[ SVB 뱅크런에서 시작한 미국은행 연쇄 파산과 금융위기를 막기 위해 연준(Fed)이 BTFP로 유동성을 공급하다 | 스위스 중앙은행 양적긴축 양적완화 QE 대차대조표 ]

https://blog.naver.com/gfyuna/223047660327

오히려 연준이 양적완화에 준하는 유동성을 은행 파산을 막기 위해 공급하고 있는데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첫 번째 QE를 넘어서는 양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때문에 2023년 앞으로는 인플레이션 압박에 대한 우려보다 자산시장의 연착륙 가능성 여부에 더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가 연착륙한다면 2023년은 2019년도처럼 반등의 폭이 커질 수 있지만, 경제가 경착륙한다면 수개월 이내로 경제위기와 경기침체가 현실화될 것입니다.

정기적 리밸런싱은 떨어지면 저가매수하고 오르면 이익실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수익을 가져오게 됩니다.

Youtube 와 NAVER TV에도 매달 투자일지를 올리고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종목이나 리밸런싱 매매내역을 상세히 업로드합니다 🙂

1) Youtube

https://youtu.be/XQZifzOlMZU

2) Naver TV

https://tv.naver.com/v/34102216

네이버 인플루언서 ‘JUTOPIA’의 팬이 되어주세요~! 🙂

J UTOPIA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전 세계가 반한 기술력 “이게 한국에서 만든거라고?”…불티나게 팔리자 ‘깜짝’
  • “속은것” 명태균 ‘황금폰’ 아들 문자 논란에 홍준표가 전한 한마디
  • 골드바 품귀라더니 “이것도 덩달아 동났다”…초유의 사태에 ‘술렁’
  • “윤석열의 체포 지시 받았다”…검찰 조서 공개에 난리 난 법정
  • “찬 바람 불 때 받는 배당보다…” 요즘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다는 종목
  • “이재용의 결단” 자사주 3조 원 소각 결정한 대기업, 이유 분명했다

[경제] 공감 뉴스

  • 완전히 무너지자 “정부에 줄섰다” 한국 부동산 충격실태…무슨 일?
  • “초과 사망 3,000명 넘었다”… 의료 공백에 정작 책임지는 사람은?
  • “가격으로 2030 울리더니”…보다못한 국세청 결국 칼 빼 들었다
  • “이미 11개 공항 적자 1,449억인데 정부는 10개 더 짓겠다고요?”
  • “중국은 꿈도 못 꾼다”, “한국이 싹쓸이?”… 47조 돈방석이 눈앞에
  • 유승민 의원실에서 인턴으로 근무했던 대학생…21년 뒤 이렇게 지내죠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시장님 말이 다 맞아요” 공무원 음주운전에 ‘제 식구 감싸기’ 도대체 언제까지?
  • “조부 친일 논란” 이지아, 마세라티와 테슬라 모는 재력은 어디서?
  • “요즘엔 독일차보다 볼보지” 2026년형 XC60 풀체인지급 변화 공개
  • “GV80보다 넓은 BMW X3 출시” 한국엔 왜 안 들여오나 난리 난 상황
  • “EV6 보조금 1720만 원” 서울 사는 예비 오너들은 피해본다?
  • “현대 아이오닉에 자극받은 BMW?” 초고성능 전기 M3 프로토타입 공개
  • “팰리세이드 초비상!” 아빠들 환장하는 7인승 신형 SUV 공개됐다
  • “가격이 떨어졌다!” EV9, 사려면 지금이 기회? 보조금 알아보기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시리아·태국 연파→다음은 일본이다! 이창원호 조별리그 전승 도전→8강전 앞두고 운명의 한일전

    스포츠 

  • 2
    '마은혁 후보 임명' 딜레마 빠진 민주당...이젠 묻지마 탄핵?

    뉴스 

  • 3
    민니, 가슴만 아슬하게 가린 파격 의상…파격 노출에 '깜짝'

    연예 

  • 4
    “경치 최고, 접근성도 완벽”… 문체부가 선정 자전거 여행 대표코스

    여행맛집 

  • 5
    한국 간판 손흥민도 제쳤다… 2월 브랜드 평판 1위 차지한 스포츠 선수

    스포츠 

[경제] 인기 뉴스

  • 전 세계가 반한 기술력 “이게 한국에서 만든거라고?”…불티나게 팔리자 ‘깜짝’
  • “속은것” 명태균 ‘황금폰’ 아들 문자 논란에 홍준표가 전한 한마디
  • 골드바 품귀라더니 “이것도 덩달아 동났다”…초유의 사태에 ‘술렁’
  • “윤석열의 체포 지시 받았다”…검찰 조서 공개에 난리 난 법정
  • “찬 바람 불 때 받는 배당보다…” 요즘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다는 종목
  • “이재용의 결단” 자사주 3조 원 소각 결정한 대기업, 이유 분명했다

지금 뜨는 뉴스

  • 1
    [이달의 청년] ‘일 사랑꾼’ 청년 신지아...“남의 기준 아닌, 나만의 속도로 후회 없는 삶 살길”

    뉴스 

  • 2
    홍준표 명태균 통화 연결 고리 드디어 확인! 수차례 전화한 황금폰 사건 논란 총정리

    뉴스 

  • 3
    방시혁 뉴진스(NJZ) 해외공연 방해? "방시혁 의장이 직접 전화했다" 진실은 무엇인가 사건 정리

    연예 

  • 4
    [지방자치 30주년 인천의 새 도약] (1) 눈부신 성장, 제2의 도시를 향해

    뉴스 

  • 5
    살 쫙 뺀 스타들이 직접 밝힌 무조건 실패하는 다이어트법

    연예 

[경제] 추천 뉴스

  • 완전히 무너지자 “정부에 줄섰다” 한국 부동산 충격실태…무슨 일?
  • “초과 사망 3,000명 넘었다”… 의료 공백에 정작 책임지는 사람은?
  • “가격으로 2030 울리더니”…보다못한 국세청 결국 칼 빼 들었다
  • “이미 11개 공항 적자 1,449억인데 정부는 10개 더 짓겠다고요?”
  • “중국은 꿈도 못 꾼다”, “한국이 싹쓸이?”… 47조 돈방석이 눈앞에
  • 유승민 의원실에서 인턴으로 근무했던 대학생…21년 뒤 이렇게 지내죠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시장님 말이 다 맞아요” 공무원 음주운전에 ‘제 식구 감싸기’ 도대체 언제까지?
  • “조부 친일 논란” 이지아, 마세라티와 테슬라 모는 재력은 어디서?
  • “요즘엔 독일차보다 볼보지” 2026년형 XC60 풀체인지급 변화 공개
  • “GV80보다 넓은 BMW X3 출시” 한국엔 왜 안 들여오나 난리 난 상황
  • “EV6 보조금 1720만 원” 서울 사는 예비 오너들은 피해본다?
  • “현대 아이오닉에 자극받은 BMW?” 초고성능 전기 M3 프로토타입 공개
  • “팰리세이드 초비상!” 아빠들 환장하는 7인승 신형 SUV 공개됐다
  • “가격이 떨어졌다!” EV9, 사려면 지금이 기회? 보조금 알아보기

추천 뉴스

  • 1
    시리아·태국 연파→다음은 일본이다! 이창원호 조별리그 전승 도전→8강전 앞두고 운명의 한일전

    스포츠 

  • 2
    '마은혁 후보 임명' 딜레마 빠진 민주당...이젠 묻지마 탄핵?

    뉴스 

  • 3
    민니, 가슴만 아슬하게 가린 파격 의상…파격 노출에 '깜짝'

    연예 

  • 4
    “경치 최고, 접근성도 완벽”… 문체부가 선정 자전거 여행 대표코스

    여행맛집 

  • 5
    한국 간판 손흥민도 제쳤다… 2월 브랜드 평판 1위 차지한 스포츠 선수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이달의 청년] ‘일 사랑꾼’ 청년 신지아...“남의 기준 아닌, 나만의 속도로 후회 없는 삶 살길”

    뉴스 

  • 2
    홍준표 명태균 통화 연결 고리 드디어 확인! 수차례 전화한 황금폰 사건 논란 총정리

    뉴스 

  • 3
    방시혁 뉴진스(NJZ) 해외공연 방해? "방시혁 의장이 직접 전화했다" 진실은 무엇인가 사건 정리

    연예 

  • 4
    [지방자치 30주년 인천의 새 도약] (1) 눈부신 성장, 제2의 도시를 향해

    뉴스 

  • 5
    살 쫙 뺀 스타들이 직접 밝힌 무조건 실패하는 다이어트법

    연예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