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일본은 줄줄이 문 닫는데…국내선 백화점 ‘승승장구’ 왜?

머니투데이 조회수  

일본은 줄줄이 문 닫는데…국내선 백화점 '승승장구' 왜?

일본의 대표적 백화점들이 줄줄이 문을 닫고 있다. 일본 시부야의 상징 ‘도큐백화점’이 1월말 문을 연 지 55년만에 문을 닫았다. 훗카이도 오비히로시의 후지마루백화점도 122년의 역사를 뒤로 하고 폐점했다. 국내 백화점의 지난해 연간 판매액이 통계작성 이후 처음으로 대형마트를 앞선 것과 대조적이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백화점 연간 판매액은 37조 7674억원(추정치)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34조 7738억원을 기록한 대형마트의 연간 판매액을 앞질렀다. 201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또 다른 통계에서는 이같은 현상이 2021년부터 이미 관측됐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집계하는 ‘연간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에 따르면 오프라인 유통 채널의 매출 순위는 2021년부터 백화점-편의점-대형마트 순으로 바뀌었다.

지난해에도 백화점이 온오프라인 유통채널에서 차지하는 매출비율은 17.8%로 48.6%의 온라인 매출을 제외하면 오프라인 채널 중에 가장 많았다.

2019년까지만 해도 백화점의 오프라인 유통 매출 순위는 대형마트에 밀려 늘 대형마트-백화점-편의점 순이었다. 백화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오프라인 유통 매출 순위를 편의점에게 내주며 3위로 밀리기까지 했다.

백화점은 코로나19 유행 초반 사회적 거리두기와 경기불황 등에 대한 우려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하지만 유행 하반기에 들어설수록 해외여행이 막힌 소비자들의 대체소비처로 백화점이 떠올랐다. 증권, 코인 등 자산시장의 호황으로 두둑해진 소비자의 주머니가 명품과 같은 고가품으로 한꺼번에 쏟아졌다. 실제 국내 주요 백화점에는 명품을 사기 위해 영업시간 전부터 줄을 서는 ‘오픈런’이 적잖게 연출 됐다

2021년 11월 2일 오전 서울 중구 신세계백화점 본점에서 시민들이 입장을 위해 줄 서 있다. 명품 브랜드 샤넬의 가격 인상설이 제기되며 다시 한 번 '오픈 런'이 재연됐다./사진=뉴스1
2021년 11월 2일 오전 서울 중구 신세계백화점 본점에서 시민들이 입장을 위해 줄 서 있다. 명품 브랜드 샤넬의 가격 인상설이 제기되며 다시 한 번 ‘오픈 런’이 재연됐다./사진=뉴스1

반면 일본에서는 백화점 산업은 쇠락의 길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달 31일 도쿄 시부야의 명소였던 도큐백화점 본점이 문을 닫았다. 같은 날 홋카이도 오비히로시 후지마루백화점이 폐점했다.

일본 백화점은 1980~1990년대 중산층 가정의 주말 나들이 장소였다. 1990년대에 시작된 장기 경기침체기인 ‘잃어버린 30년’을 거치며 매출이 줄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결정타가 됐다. 1999년 전국 311곳에 달하던 백화점 수는 20년여 만에 40%가량 줄어들었다

지난해부터 일본도 코로나19 유행이 완화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됐으나 한국과는 양상이 달랐다. 코로나19 이전부터 이어져 온 장기간의 경기불황으로 인해 코로나19가 완화된 시점에도 일본에는 ‘보복소비’와 같은 양상이 일어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코로나 팬데믹 때 저축을 늘린 일본인들이 코로나가 끝나가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저축액을 찾아 쓰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인들이 쌓아놓은 가계의 코로나 저축은 국내총생산(GDP)의 10%를 넘는 수준까지 불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백화점의 ‘변신’도 한국과 일본 백화점의 성적표를 갈랐다고 분석한다. 국내 백화점들은 단순히 물건을 파는 역할에서 벗어나 고객의 수요에 맞는 다양한 체험형 콘텐츠를 도입해 고객이 백화점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한 반면 일본 백화점은 물판점의 역할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부산 해운대에 있는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의 경우 백화점 본관은 연면적 29만3500㎡(8만8784평)에 영업면적 14만762㎡(4만2580평)에 달하는데 이 중 1만여평을 아이스링크, 스파, 골프레인지, 서점, 극장 등 물건 판매와 관계없는 비물판시설로 채웠다. 대전 신세계백화점은 ‘대전신세계 Art&Science’로 명명하고 내부에 과학관을 만들었고 신세계백화점 대구점에는 국내 백화점 최초로 아쿠아리움을 입점시켰다.

현대백화점그룹은 지난해 서울 여의도에 더현대서울을 출범하면서 ‘백화점’이라는 단어를 과감히 떼어냈다. 백가지 물건을 파는 곳, 백화점이란 틀에서 벗어나겠다는 의미다. 36년 전 현대백화점 압구정 본점 개장 때부터 단 한 번도 떼 본적 없던 ‘백화점’ 단어를 지운 것은 백화점 업계의 지향성을 보여주는 사례다. 실제로도 총 영업면적 가운데 물판 비중은 30% 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 공간은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채워넣었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한국의 경우 체험형 컨텐츠를 통해 백화점을 지역 랜드마크로 만드는 전략을 십수년 전부터 펼쳐왔다”며 “그 지점이 일본과의 차별점”이라고 설명했다.

머니투데이
content@newsbell.co.kr

[경제] 랭킹 뉴스

  • 삼성도 현대도? “이러다 싹 사라진다”…한국 향한 심각한 경고, ‘이게 정말이라면’
  • 전 세계가 반한 기술력 “이게 한국에서 만든거라고?”…불티나게 팔리자 ‘깜짝’
  • “속은것” 명태균 ‘황금폰’ 아들 문자 논란에 홍준표가 전한 한마디
  • 골드바 품귀라더니 “이것도 덩달아 동났다”…초유의 사태에 ‘술렁’
  • “윤석열의 체포 지시 받았다”…검찰 조서 공개에 난리 난 법정
  • “찬 바람 불 때 받는 배당보다…” 요즘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다는 종목

[경제] 공감 뉴스

  • “이재용의 결단” 자사주 3조 원 소각 결정한 대기업, 이유 분명했다
  • 완전히 무너지자 “정부에 줄섰다” 한국 부동산 충격실태…무슨 일?
  • “초과 사망 3,000명 넘었다”… 의료 공백에 정작 책임지는 사람은?
  • “가격으로 2030 울리더니”…보다못한 국세청 결국 칼 빼 들었다
  • “이미 11개 공항 적자 1,449억인데 정부는 10개 더 짓겠다고요?”
  • “중국은 꿈도 못 꾼다”, “한국이 싹쓸이?”… 47조 돈방석이 눈앞에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시장님 말이 다 맞아요” 공무원 음주운전에 ‘제 식구 감싸기’ 도대체 언제까지?
  • “조부 친일 논란” 이지아, 마세라티와 테슬라 모는 재력은 어디서?
  • “요즘엔 독일차보다 볼보지” 2026년형 XC60 풀체인지급 변화 공개
  • “GV80보다 넓은 BMW X3 출시” 한국엔 왜 안 들여오나 난리 난 상황
  • “EV6 보조금 1720만 원” 서울 사는 예비 오너들은 피해본다?
  • “현대 아이오닉에 자극받은 BMW?” 초고성능 전기 M3 프로토타입 공개
  • “팰리세이드 초비상!” 아빠들 환장하는 7인승 신형 SUV 공개됐다
  • “가격이 떨어졌다!” EV9, 사려면 지금이 기회? 보조금 알아보기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토트넘 이적 거부했던 19세 신예 공격수, '생각보다 런던 괜찮네'…완전 이적 가능성 언급

    스포츠 

  • 2
    시리아·태국 연파→다음은 일본이다! 이창원호 조별리그 전승 도전→8강전 앞두고 운명의 한일전

    스포츠 

  • 3
    '마은혁 후보 임명' 딜레마 빠진 민주당...이젠 묻지마 탄핵?

    뉴스 

  • 4
    민니, 가슴만 아슬하게 가린 파격 의상…파격 노출에 '깜짝'

    연예 

  • 5
    “경치 최고, 접근성도 완벽”… 문체부가 선정 자전거 여행 대표코스

    여행맛집 

[경제] 인기 뉴스

  • 삼성도 현대도? “이러다 싹 사라진다”…한국 향한 심각한 경고, ‘이게 정말이라면’
  • 전 세계가 반한 기술력 “이게 한국에서 만든거라고?”…불티나게 팔리자 ‘깜짝’
  • “속은것” 명태균 ‘황금폰’ 아들 문자 논란에 홍준표가 전한 한마디
  • 골드바 품귀라더니 “이것도 덩달아 동났다”…초유의 사태에 ‘술렁’
  • “윤석열의 체포 지시 받았다”…검찰 조서 공개에 난리 난 법정
  • “찬 바람 불 때 받는 배당보다…” 요즘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다는 종목

지금 뜨는 뉴스

  • 1
    한국 간판 손흥민도 제쳤다… 2월 브랜드 평판 1위 차지한 스포츠 선수

    스포츠 

  • 2
    [이달의 청년] ‘일 사랑꾼’ 청년 신지아...“남의 기준 아닌, 나만의 속도로 후회 없는 삶 살길”

    뉴스 

  • 3
    홍준표 명태균 통화 연결 고리 드디어 확인! 수차례 전화한 황금폰 사건 논란 총정리

    뉴스 

  • 4
    방시혁 뉴진스(NJZ) 해외공연 방해? "방시혁 의장이 직접 전화했다" 진실은 무엇인가 사건 정리

    연예 

  • 5
    [지방자치 30주년 인천의 새 도약] (1) 눈부신 성장, 제2의 도시를 향해

    뉴스 

[경제] 추천 뉴스

  • “이재용의 결단” 자사주 3조 원 소각 결정한 대기업, 이유 분명했다
  • 완전히 무너지자 “정부에 줄섰다” 한국 부동산 충격실태…무슨 일?
  • “초과 사망 3,000명 넘었다”… 의료 공백에 정작 책임지는 사람은?
  • “가격으로 2030 울리더니”…보다못한 국세청 결국 칼 빼 들었다
  • “이미 11개 공항 적자 1,449억인데 정부는 10개 더 짓겠다고요?”
  • “중국은 꿈도 못 꾼다”, “한국이 싹쓸이?”… 47조 돈방석이 눈앞에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시장님 말이 다 맞아요” 공무원 음주운전에 ‘제 식구 감싸기’ 도대체 언제까지?
  • “조부 친일 논란” 이지아, 마세라티와 테슬라 모는 재력은 어디서?
  • “요즘엔 독일차보다 볼보지” 2026년형 XC60 풀체인지급 변화 공개
  • “GV80보다 넓은 BMW X3 출시” 한국엔 왜 안 들여오나 난리 난 상황
  • “EV6 보조금 1720만 원” 서울 사는 예비 오너들은 피해본다?
  • “현대 아이오닉에 자극받은 BMW?” 초고성능 전기 M3 프로토타입 공개
  • “팰리세이드 초비상!” 아빠들 환장하는 7인승 신형 SUV 공개됐다
  • “가격이 떨어졌다!” EV9, 사려면 지금이 기회? 보조금 알아보기

추천 뉴스

  • 1
    토트넘 이적 거부했던 19세 신예 공격수, '생각보다 런던 괜찮네'…완전 이적 가능성 언급

    스포츠 

  • 2
    시리아·태국 연파→다음은 일본이다! 이창원호 조별리그 전승 도전→8강전 앞두고 운명의 한일전

    스포츠 

  • 3
    '마은혁 후보 임명' 딜레마 빠진 민주당...이젠 묻지마 탄핵?

    뉴스 

  • 4
    민니, 가슴만 아슬하게 가린 파격 의상…파격 노출에 '깜짝'

    연예 

  • 5
    “경치 최고, 접근성도 완벽”… 문체부가 선정 자전거 여행 대표코스

    여행맛집 

지금 뜨는 뉴스

  • 1
    방시혁 뉴진스(NJZ) 해외공연 방해? "방시혁 의장이 직접 전화했다" 진실은 무엇인가 사건 정리

    연예 

  • 2
    [이달의 청년] ‘일 사랑꾼’ 청년 신지아...“남의 기준 아닌, 나만의 속도로 후회 없는 삶 살길”

    뉴스 

  • 3
    홍준표 명태균 통화 연결 고리 드디어 확인! 수차례 전화한 황금폰 사건 논란 총정리

    뉴스 

  • 4
    한국 간판 손흥민도 제쳤다… 2월 브랜드 평판 1위 차지한 스포츠 선수

    스포츠 

  • 5
    [지방자치 30주년 인천의 새 도약] (1) 눈부신 성장, 제2의 도시를 향해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