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국도로공사는 겨울철 고속도로 눈길 안전을 위해 올해 3월 15일(수)까지 고속도로 제설대책을 시행 중이다. 고속도로는 수 많은 차들이 빠르게 달리기 때문에 빙판길, 눈길이 생기면 미끄러져 초대형 사고로 이어지기 쉽다. 특히 블랙아이스(살얼음)의 경우 다중 추돌사고로 이어져 큰 피해를 낳기도 했다. 멀리 갈 것 없이 최근에도 블랙아이스로 인해 수 십대가 부딪히는 대형사고가 발생하시도 했다. 제설대책 시행중에 발생해 아쉬움이 많이 남지만, 전국적으로 이런 일을 최소화 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이번 제설대책 기간에는 폭설이나 도로 블랙아이스에 대비하기 위해 최근 3년간 평균의 138% 수준의 물자와 인력이 투입되었다. 제설제인 염화칼슘은 2.3만 톤이나 구비했고 소금은 17.3만 톤, 제설에 필요한 인력은 2,300명 이상 확보했다. 또 전국적으로 빠른 제설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1,000대 이상의 제설 장비까지 투입 중이다.
참고로 염화칼슘과 소금은 제설에 효과적이다. 평균적으로 염화나트륨(소금)은 영하 6도에서 영하 9도 사이에 가장 효과적이다. 만약 영하 10도 밑 한파일 경우 염화칼슘이 더 효과적이다. 영하 32도에서도 유효하며 물을 흡수하면 열을 방출하는 특징이 있어 염화칼슘이 녹은 물은 영하 50도까지 얼지 않는다. 다만 환경 오염 우려로 인해 일부 지자체에서는 친환경 제설제를 추가로 확보하기도 한다. 차량 하부 부식이나 토양 오염들의 문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글] 이안 에디터
한편 효과적인 제설을 위해 사고지점이나 정체구간을 갓길로 통과할 수 있는 소형제설차(1톤트럭+리무버)를 기존 강원, 서해안 지역에만 배치했던 것을 수도권까지 확대 운영중이다. 그밖에 전국의 지사에 핫팩 모양의 투척식 제설자재를 구비해 제설차량이 작업이 곤란한 곳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대비중이다.
심지어 초겨울 흔히 발생하는 도로 살얼음(블랙아이스) 사고를 막기 위해 결빙취약구간에 도로열선, 노면 홈파기, 도로전광표지(VMS) 등의 안전시설을 확충한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노면온도 2℃, 대기온도 4℃ 이하가 예상되고 강설‧강우‧안개‧서리 등의 기상악화로 블랙아이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경우, 제설제를 예비살포하고 도로 순찰횟수도 50% 늘린다.
특히 한국도로공사는 기상청 등으로부터 수집한 기상 정보를 바탕으로 블랙아이스 위험도를 예측한다. 이를 통해 염수 자동분사 및 고객 정보제공 등이 가능한 도로살얼음 관리시스템을 전국 11개 지사(영동, 전주, 부안, 진안, 무주 등)에서 가동중이다. 이와 별개로 날씨에 따른 대국민 홍보채널도 다방면으로 운영 중이다. 기상특보에 따라 교통방송, 도로전광표지 등을 활용해, 폭설예보 지역 안내, 월동장구 장착, 본선 교통우회 안내 등을 운전자에게 전파할 예정이다. 그리고 교통통제가 시행되면 즉시 인근지역에 재난문자를 발송할 것으로 알려졌다.
겨울에는 운전자들의 주의도 필요하다. 제설 대책이 잘 되어 있어도 완벽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주행 환경은 일교차가 크고 빗길, 빙판길 등 운전히 임든 가혹환경에 속한다. 때문에 기초적인 상식은 꼭 숙지할 필요가 있겠다. 우선, 눈이내리는 상황이라면 폭설 등으로 차량 제어가 불가능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20~50% 감속운행과 평소보다 2~3배의 차간거리를 유지하고 출발 전 윈터 타이어 장착, 우레탄 체인 구비 등이 필요하다.
한편 운전자들의 주의와 제설대책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 15일 경기 포천시 구리포천고속도로에서 44중 연쇄추돌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주요 원인으로 ‘블랙아이스‘가 지목된 상황이다. 앞서가던 SUV 한 대가 1차로에서 3차로로 미끄러졌고, 뒤따르던 차들이 급하게 속도를 줄였으나, 사고를 피하지 못한 것이다. 이후에도 차들이 2∼3대씩 서로 추돌하거나 가드레일 등을 들이받아 수 십대 규모의 사고로 번졌다. 이 사고로 사고 차량 중 승용차 조수석에 타고 있던 40대 여성 1명이 숨졌고, 남성 3명이 중상을 입는 등 피해가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례를 보면 관할 기관에서 철저히 대비를 한다고 공언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로 이어졌다. 결국 대비해도 100% 대응이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도로 결빙 위험이 있는 구간에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기에 이런 비극이 발생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터널 근처, 교량 등 일부 구간은 블랙아이스 상습 구간으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사고 위험이 있을 경우 일찌감치 도로 열선이나 자동 제설제 분사 장치를 구비해 사전에 대비 할 필요가 있었다. 결국 노력은 했지만 사고발생으로 인해 그 의미가 상당히 퇴색 됐다.
겨울은 여름보다 훨씬 위험하다. 빙판길이 생기면 수막현상과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사고 위험이 높아진다. 또, 제동거리도 평소의 3배나 될 만큼 위험하다. 기본적으로 이런 위험을 해결할 도로 인프라 확충이 선행되어야 겠지만 전국적으로 반영되기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이다. 아쉬운 대로 운전자 스스로 겨울철 교통사고 위험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평소보다 천천히 달리고 거리를 더 멀리 두는 등의 대응이 대표적이다.
“세금 쓰면 뭐하나” 막대한 예산 들어간 고속도로 제설의 안타까운 근황
글 / 다키포스트
콘텐츠 관련 문의 : dk_contact@fastlabs.co.kr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