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사람 감염 가능한 박쥐 코로나바이러스 발견
질병청 “인체감염 위험 낮아…과도한 해석 경계”
코로나19와 유사하나 감염력은 훨씬 약해

중국에서 사람 감염 가능성이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발견됐다는 소식에 질병관리청이 이례적인 신속 대응에 나섰다.
코로나19의 악몽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공포감이 퍼지자 방역당국이 즉각 진화에 나선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실체와 우려

중국과학원 우한바이러스연구소는 지난 18일 생명 분야 권위지 ‘셀'(Cell)을 통해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HKU5-CoV-2)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새로운 바이러스는 코로나19를 일으킨 바이러스와 같은 인간 수용체를 통해 침투할 수 있어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연구진은 이번 바이러스가 코로나19처럼 인간 세포에 쉽게 침투하지는 못한다고 설명했다.
방역당국의 적극적인 대응과 설명

김은진 질병관리청 신종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을 통해 상세한 설명에 나섰다. “이번 연구는 실험실에서 세포를 이용해 분석한 것에 불과하며, 아직 인간 감염의 충분한 정황적 근거가 없다”며 신중한 해석을 당부했다.
또한 “해당 신종 바이러스의 인체 수용체 결합력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나 코로나19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당장 인간에게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 방역당국의 입장인 것이다.
코로나19 경험으로 체계적인 대비태세 유지

현재 질병관리청은 신종 감염병에 대한 자료 수집과 동향 파악을 강화하고 있다. 인간 감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과도한 공포나 불안은 경계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코로나19의 쓰라린 경험을 교훈 삼아, 냉철한 분석과 체계적인 대비태세 유지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지난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는 전 세계를 혼란에 빠뜨린 바 있다. 이에 질병청은 신종 감염병 발생에 대비해 해외 주요국 실무진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 마침내 공개된 미래형 세단 “필살기까지 꺼냈다”….경쟁사들 ‘이럴 수가’
- “쌍용 때와는 다르네”… KGM, 20년 만에 이룬 반전 소식에 업계 ‘발칵’
- 미래 먹거리였는데 “한국이 또 당했다?”…예상 밖 결과에 업계 ‘발칵’
- 테슬라도 아닌데…”차 타면서 이게 가능하다?” 성큼 다가온 미래에 ‘깜짝’
- 굴뚝같이 믿었는데 “미국이 이럴 줄을”…유엔서 터진 이변, 한국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