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작년 임금근로 일자리 소득이 2.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월평균으로는 363만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0만원 오른 셈이다. 2016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소 폭 증가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23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2023년 12월 임금근로 일자리의 월평균 소득은 363만원으로 전년보다 10만원(2.7%) 증가했다.

평균소득 증가율은 ▲2020년 3.6% ▲2021년 4.1% ▲2022년 6.0%까지 높아졌지만, ▲2023년 2.7%로 다시 줄어들었다.
중위소득은 278만원으로 전년보다 4.1%(11만원) 상승했다. 중위소득 증가율도 2022년(6.9%)보다 낮아졌다. 소득 증가율 둔화는 2023년 수출 감소로 인한 대기업 소득이 줄어든 영향 등으로 분석된다.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의 평균소득은 593만원으로 전년 대비 0.4%(2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298만원으로 4.3%(12만원) 늘었는데,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최저임금 상승 영향으로 풀이된다.
성별 소득 격차는 확대됐다. 2023년 남성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426만원으로 1년 전보다 3%(12만원) 증가했다. 여성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279만원으로 2.8%(8만원) 상승했다. 남성의 소득 증가율이 여성을 상회하며 남녀 간 임금 격차는 더 벌어졌다.
연령대별로는 ▲40대(451만원) ▲50대(429만원) ▲30대(386만원) 순으로 소득이 높았다. 평균소득 증가율은 19세 이하가 5.0%로 가장 높았고, 50대(3.5%), 40대(3.1%) 순으로 뒤를 이었다.

산업별로는 대기업이 주로 분포한 금융·보험업(753만원), 전기·가스·증기·공기조절공급업(675만원)이 가장 높은 소득 수준을 기록했다. 숙박·음식업(181만원)과 협회·단체·기타 개인서비스업(223만원)이 가장 낮았다. 전년과 비교하면 전기·가스·증기·공기조절공급업(-0.7%), 금융·보험업(-0.6%)에선 소득이 줄었고, 건설업(5.6%), 숙박·음식업(5.2%), 사업시설관리업(5.2%) 등은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편 일자리는 취업자와는 다른 개념이다. 주중에 회사를 다니고 주말에는 학원 강사를 한 경우 취업자는 1명이지만, 일자리는 2개로 집계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