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공정거래위원회가 소비자단체를 통해 전국 헬스장을 방문해 점검한 결과 지난해 헬스장 8곳 중 1곳이 가격표시제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위는 과태료 부과 등 후속조치를 검토할 방침이다.

24일 공정위는 지난해 소비자단체를 통해 실시한 헬스장 가격표시제 준수 여부 실태조사 및 점검 결과 전국 헬스장 2001곳 중 248곳(12.4%)이 가격표시제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발표했다.
헬스장 가격표시제는 지난 2022년부터 실시됐으며, 표시광고법 하위 규정인 중요한 표시·광고사항 고시에 따라 체력단련장·수영장·종합체육시설 사업자는 서비스 내용·요금체계·환불기준 등을 사업장 게시물과 고객 등록신청서에 모두 표시해야 한다.
공정위는 중요정보 게시 의무에 대해 상당수의 헬스장 사업자들이 아직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또한 실태조사 결과 가격표시제를 이행하지 않은 헬스장에 대해서는 이행 여부를 직접 확인하고 이행을 다시 적극 유도한 후, 필요시 과태료 부과 등 후속조치를 검토할 예정이다.
올해 상반기 중 최근 중도계약해지 및 환불 관련 소비자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체육교습업’도 가격표시제에 포함할 계획이다. 체육교습업은 13세 미만 어린이를 대상으로 30일 이상 체육 교습을 하는 업을 말한다.
공정위 관계자는 “해당 가맹본부 및 지자체 담당자들이 체력단련장업 관련 사업자에게 가격표시제의 내용을 직접 교육·안내할 수 있도록 홍보 및 계도 활동을 강화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헬스장 관련 소비자 분쟁은 꾸준히 증가 추세다. 지난해 12월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1년부터 최근 3년간 헬스장 관련 피해구제 신청이 총 1만746건 접수된 가운데 매년 증가 추세다.
피해구제 신청이유는 사업자의 청약철회 또는 환급 거부, 위약금 분쟁 등 ‘계약해지’ 관련 내용이 93.4%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 변경·축소 등 ‘계약불이행’이 4.5%로 뒤를 이었다.
특히 헬스장 폐업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스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개인 강습(PT)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업자의 갑작스러운 폐업으로 잔여 이용료를 환급받지 못하는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소비자원은 피해 예방을 위해 ▲가격 할인에 현혹되지 말고 실제 이용 가능한 기간(횟수)으로 신중히 계약을 체결할 것 ▲중도 해지 시 환급기준 등 계약의 중요 내용을 꼼꼼히 확인할 것 ▲사업자 폐업 등으로 인한 피해에 대비해 신용카드 할부 결제를 할 것 ▲분쟁에 대비해 내용증명, 문자 등 의사 표시 관련 입증자료를 확보할 것 등을 당부했다.
참고로 사업자가 폐업하여 계약이 이행되지 않거나 정당한 해지 요구를 거절할 경우 신용카드사에 잔여할부금 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
- 청도군, 외국인 계절근로자 출국송별식 및 입국환영식 개최
- 광주시교육청, 대입전문디렉터·진학부장 발대…진학지도 체제 구축
- 영천시, 제10회 유물 기증식 개최
- 거창군, 간병인이 환자 돌보는 ‘365안심병동사업’ 시행
- 한컴, ‘클라우드 및 AI’ 새로운 성장 동력…지난해 매출·영업이익 고른 성장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