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반기 선보일 한강버스까지 전세계적으로 자랑할 만한 통합 대중교통 시스템이 마련된 만큼 상징적인 통합 브랜드 로고를 선보이게 됐습니다.”
24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 교통의 가치와 정체성, 독창성을 담은 통합 브랜드 ‘고 서울(GO SEOUL)’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오 시장은 “런던의 라운델은 통합 대중교통 체계임을 알 수 있게 하는 브랜드”라며 “한국의 대중교통 시스템이 훨씬 경쟁력이 있는 만큼 ‘GO SEOUL’ 브랜드가 전세계적으로 인정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GO SEOUL은 서울시내 지하철부터 한강버스까지 기후동행카드로 탑승할 수 있는 교통편을 아우르는 교통 통합브랜드다. 기후동행카드’를 활용해 마을버스, 버스, 지하철, 따릉이, 한강버스 등을 탑승해 환승할인까지 가능하다는 게 주요 콘셉트다. 지난해 서울시가 내놓은 기후동행카드는 시를 비롯해 경기도 등 대중교통,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이 가능한 덕분에 1년 새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 7명 중 1명이 사용하고 있다. 서울시는 브랜드 론칭을 계기로 런던의 라운델, 파리의 RATP와 같이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높이고 도시를 대표하는 아이콘 역할을 하겠다는 계획이다.
|
서울시는 서울의 역동적이고 활기찬 도시 분위기와 시민의 편리한 이동을 상징하는 ‘GO’를 핵심 키워드로 선정하고, 여기에 기후동행카드에 활용하던 무한대 기호를 결합해 GO SEOUL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서울 교통이 끊임없이 연결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한다는 의미와 현재와 미래를 잇는다는 뜻을 담은 것이다.
GO SEOUL은 명칭과 ‘픽토그램(국가표준 KS공공안내심볼)’과 함께 표기하는 방식으로 교통수단은 물론 버스정류소 및 지하철 역사, 한강버스 선착장, 따릉이 대여소 등에 순차적으로 부착돼 통일성을 꾀한다. 특히 서울시는 올해 GO SEOUL의 홍보, 마케팅 비용을 비롯해 시설물 교체 비용 등 예산을 약 12억원으로 책정했다. 다음 달 말부터는 교통수단 별 적용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4월부터는 기후동행카드 적용 및 보급, 영상매체 및 민간 옥외전광판 송출 등 마케팅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따릉이, 버스를 우선적으로 ‘GO SEOUL’ 디자인 적용을 하고, 지하철 등으로 확산해 약 2년 뒤 모든 교통 수단에 적용할 계획”이라며 “기존 명칭을 알지 못하는 외국인, 관광객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국제적인 표시방법으로 전환하고, 런던의 라운델처럼 민간 업체와 협력해 굿즈도 만드는 등 전세계적으로 홍보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은 “GO SEOUL 브랜드 하나만으로도 전세계에서 서울을 떠올릴 수 있고,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이 목표”라며 “도시미관을 정돈하는 효과도 불러 디자인 도시 서울의 위상과 도시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노란봉투법 재발의’ 박홍배 “당론 번복 안돼…환노위서 빠른 처리”
- 홍준표 “대선이 만약 생기면 시장직 사퇴…마지막 도전 뒷배 대놓고 할 수 없어”
- 국방부 “계엄 관련 내부신고 접수 통로 마련 검토”
- 민생경제 ‘심폐소생’…소상공인 든든한 버팀목 광주광역시
- 대전TP, 미래 ICT융합 디바이스산업 맞춤형 육성 박차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