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진서 9단이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에서 파죽의 18연승을 기록하며 한국의 5회 연속 우승을 이끌었다. 21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제26회 농심 신라면배 3라운드 최종국에서 신진서는 중국의 딩하오 9단과 242수까지 이어진 치열한 접전 끝에 백 불계승을 거두었다. 이로써 한국은 22회 대회부터 중국을 제치고 신라면배에서 5회 연속 우승의 위업을 달성했다.
신진서는 전날 13국에서 리쉬안하오 9단을 제압한 후, 이날 우승 결정전에서 중국의 실질적인 1인자인 딩하오를 상대로 초반 팽팽한 균형을 유지했다. 백을 잡은 신진서는 중반에 접어들며 좌상귀 전투에서 미세한 유리한 형세를 만들어냈지만, 중앙에서 흑에 두터운 벽을 허용하며 역전을 당했다. 불리한 상황 속에서 신진서는 우변과 우상귀에서 현란한 흔들기를 통해 재역전을 노렸다.

딩하오는 중앙에서 백돌을 공격하며 승부를 결정짓기 위해 덤볐지만, 신진서는 그의 빈틈을 파고들어 절묘한 수순으로 요석인 흑 2점을 잡아내며 극적인 재역전에 성공했다. 마지막 승부는 하변 패싸움으로 이어졌고, 신진서는 패를 졌지만 대가로 우상귀에서 백돌을 크게 살려내며 승기를 잡았다. 결국 패색이 짙어진 딩하오는 30여 수를 더 두다가 결국 돌을 던졌다.
이로써 한국은 농심배에서 통산 17번째 우승컵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중국은 8회 우승, 일본은 한 차례 정상에 올랐다. 또한 신진서는 농심배에서 통산 18승(2패)을 거두어 역대 다승 순위에서 판팅위(21승 9패)와 이창호(19승 3패)에 이어 박정환(17승 10패)을 제치고 단독 3위로 올라섰다. 농심배 우승 상금은 5억 원이며, 준우승은 상금이 없다. 제한 시간은 각자 1시간에 1분 초읽기 1회다.
사진 = 한국기원 제공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