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텔란티스가 20일(현지시간) SLTA 오토 드라이브 1.0을 공개했다. 자체 개발한 첫 번째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레벨 3수준에 해당한다.
자율주행 레벨은 SAE(미국 자동차 공학회) 기준 5단계가 있다. 현재 대부분의 주행 보조 장치는 레벨 2에 해당하며 자동차 제어권이 운전자에게 있다.

레벨 3은 조건부 자동화 단계로 차가 스스로 판단하고 주행한다. 이때 운전자는 영화 감상, 독서 등 다른 행동을 할 수 있다. 만약 자율주행이 불가능하다 판단하면 경고와 함께 제어권을 운전자에게 넘긴다. 고속도로와 같은 일부 구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SLTA 오토드라이브 1.0은 첨단 센서로 구성했다. 실시간으로 주변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야간 및 악천후 상황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또한 자동 센서 클리닝 시스템으로 오염물에 대응했다.

아울러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 시스템이 자율주행에 적합한 환경이라 판단하면 운전자에게 알림을 보낸다. 운전자는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이를 활성화할 수 있다.
현재 SLTA 오토드라이브 1.0의 최고 속도는 60km다. 이를 넘어가는 고속 상황에서는 레벨 2 수준의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유지 기능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클라우드 연결과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성능 개선과 환경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스텔란티스는 추후 SLTA 오토드라이브의 제한 속도를 시속 95km까지 기능을 확장할 계획이다. 또한 오프로드에서의 자율주행 가능성도 언급했다.
- 메르세데스-AMG SL 43 출시, ‘4기통 순한 맛?’
- KGM 토레스 HEV 사양 공개, ‘BYD 심장, 3000만 원 초반’
- 기아 전략형 PBV 신호탄 PV5 외장 디자인 첫 공개
- 2024년 4분기 신차 견적 요청 급증한 신차 2대, 이유는?
- 포르쉐 마칸 일렉트릭, 한국 시장 공식 데뷔 ‘가격은 1억원 선’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