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4-0005/image-dcf607ee-2916-4c4c-8ca9-69abe2d8a56c.jpeg)
[더퍼블릭=최얼 기자]윤석열 대통령 내란혐의에 대한 트리거(방아쇠)를 당긴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의 발언 및 행적들이 미심쩍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최근 헌법재판소 변론당시 논란이 됐던 이른바 ‘홍장원 메모’뿐 아니라, 계엄이후 그가 이해되지 않는 행적을 보였다는 평가가 여권안팎에서 제기된다. 홍 차장 언행논란의 핵심은 그가 왜 계엄당일 민주당과 소통하는 듯한 정황을 보였으며, 이러한 소통이 소통수준을 넘어선 내통에 이르는지 여부다.
이로인해 여권에서는 홍 차장의 메모와 행적들에 대한 진상규명이 되어야만, 윤석열 대통령 내란혐의 및 탄핵여부를 결정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최병묵 전 월간조선 편집장은 12일 자신의 유튜브 방송을 통해 이같은 견해를 밝혔다. 최 편집장은 크게 ▲계엄당일(12월 4일 새벽)홍 차장과 박선원 의원간 문자메세지 ▲계엄 해제직후 조태용 국정원장에게 이재명 대표와의 연락을 권유한 사실 ▲홍 차장 쪽에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에게 정치인 체포조 지시여부를 흘렸는지 등이다.
홍 전 차장은 12ㆍ3 계엄 직후인 4일 새벽, 민주당 박선원 의원과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았다. 박 의원은 현직 정보위 야당 간사이자,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차관급인 국정원 기조실장과 1차장을 지냈다. 박 의원은 이에 대해 12월 9일 김어준씨 유튜브에 출연해 “4일 0시 2분에 ‘무슨 일이냐’ 하니까 홍 전 차장이 ‘저도 TV만 보고 있다’고 해서 제가 ‘그래야 한다. 아무런 행동을 하지 말라’고 했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이 11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계엄법 개정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하고 있다(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4-0005/image-083f24d7-529f-444d-b3de-539d4cb3bee6.jpeg)
최 편집장은 이에대해 “이는 양측간 주장일 뿐, 실제 문자내용이 과연 이것밖에 없었는지도 의문이고, 두 사람간 대화수준이 소통인지 내통수준인지 정확히 드러난게 없다”며 “이 부분에 대한 명확한 검증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홍 전 차장은 또 12월 4일 오후 조태용 원장에게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 전화하는 게 어떻겠냐”고 말했다. 집권여당이 아닌, 야당대표에게 상황을 얘기하라고 조언한 것이다.
이에 대해 홍 전 차장측은 이재명 대표와의 통화 권유에 대해 “북한이 남쪽에 군사 도발을 일으킬 만한 상황이 아니라는 것을 국민의 절반이 지지하는 야당에도 알릴 필요가 있다고 정무적으로 판단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두 사람간 접점이 하나도 없는상황에서 이 같은 생각을 한 것인지는 아직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다.
홍 전 차장은 자신이 해임된 건 윤 대통령의 정치인 체포 지시에 불응했기 때문이며, 경질 사유로 정치 중립 의무 위반을 든 건 자신의 입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취지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국정원 관계자는 “홍 전 차장의 주장대로라면, 이 대표와 통화를 권유할 당시인 4일 오후에 북한 관련 이유라고 설명했어야 했다”며 “홍 전 차장은 다음날에야 다시 조태용 원장을 찾아 북한 안보 상황 때문이란 말을 덧붙였다”고 반박했다.
홍 전 차장은 야당뿐 아니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측에 ‘정치인 체포조’등을 알려분열의 실마리를 제공한게 아니냐는 의혹도 받는다. 실제 여권에서 자신을 체포하라고 지시했다는 사실을 전해 들은 한 전 대표는 윤 대통령의 직무정지를 촉구하고 나서기도 했다. 그러나 홍 전 차장은 원본도 아닌 메모한장만 제시할 뿐, 그 어떤 명확한 물증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대필논란불거진 홍장원 메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4-0005/image-05ce41a3-4db0-4f32-b4f5-55193951d5da.jpeg)
그나마 증거로 제시된 메모도 제대로된 물증인지 의심스럽다. 홍 전 차장은 4일 헌법재판소에서 “(메모 원본은) 내가 봐도 알아보기 어려워 보좌관을 불러 정서(正書)를 시켰다”며 “메모엔 보좌관 글씨와 흘려 쓴 내 글씨가 섞여 있다”고 말했다. 여권의 “조작 의심” 주장에 대해 홍 전 차장은 “그 메모는 그냥 낙서처럼 내가 기억하려고 했던 메모”라며 “기억나는 대로 진술만 했다면 오히려 거짓말이라고 했을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결국 ‘박선원 의원과의 연락’부터 ‘홍장원 메모’까지 일방적인 홍 전 차장측 주장들만 점철되어있을 뿐, 세부사항에 대한 검증절차가 이뤄진건 전혀없는 상황이다.
최 전 편집장은 홍 전 차장 논란들을 하나하나 설명한 뒤, “그렇다면 지금 홍장원에 대한 의심스런 행동이나 메모 같은 것들을 총체적으로 따져봐야 하는게 아니냐”라며 “이게 규명되기 전까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이나, 내란재판 등을 끝내선 안된다”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