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모든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10일(현지시각) 서명했다.
이 조치는 다음달 4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통신과 파이낸셜 타임스(FT) 등 외신들이 미 정부 관리들을 인용해 이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우리는 기본적으로 예외없이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한다”면서 “이는 많은 기업이 미국에서 문을 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첫번 째 임기중이던 2018년에도 모든 철강 수입품에 25%, 알루미늄 수입품은 10%의 관세를 물렸으나 이후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 등 일부 국가에 대해선 협상을 통해 예외 조치를 취했다.
트럼프 정부에 이어 출범한 바이든 정부 역시 유럽연합과 영국, 일본과 협정을 맺고 일정 양의 철강과 알루미늄을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하도록 하는 등 예외를 늘렸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정부 관리들은 이런 이전의 협정이 모두 사실상 무효화되고 모든 국가에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FT는 전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호주가 미국산 항공기를 수입한데 대해 칭찬하면서 호주에 대해선 관세 면제를 고려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비쳤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만일 미 정부의 이런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가 예외조치 없이 실현되면 한국의 포스코나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산업은 미국 수출 감소에 따른 수익성 악화 등으로 직격탄을 맞게 된다.
캐나다와 멕시코의 경우 한 달간 유예된 25% 관세에다 철강 및 알루미늄 수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담까지 져야하고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율도 높아지게 된다.
특히 2018년 트럼프 1기 정부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는 원강재(raw steel)이나 1차 알루미늄 제품에 초점을 맞췄지만 이번엔 압출재와 슬래브 처럼 자동차부터 창틀, 고층빌딩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 필요한 제품을 포함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철강 산업 부활을 공약으로 내걸었기 때문에 이를 실현할 정책들을 밀어부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무역 상대국들의 반발과 미국내 물가 상승 가능성 때문에 앞으로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 지 불투명하다.
2018년에 유럽연합은 할리 데이비슨 오토바이와 리바이스 청바지 등 미국의 상징적 제품들에 대해 보복 관세를 물렸고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무기화에도 맞대응하겠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힌 상태다.
미국내에선 트럼프 신정부의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 부과 방침이 알려지면서 기업들이 구리와 알루미늄, 강철 확보에 나서면서 훨씬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있다고 FT가 전했다.
미국의 금속상품 거래소인 코멕스에서 구리 가격은 9일(현지시각) 2% 올라 톤당 1만달러를 넘었고 경쟁 시장인 런던거래소의 거래가격 보다 톤당 800달러 이상 비싸져 프리미엄이 2020년초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 SM 연수원에서 개최한 신년회에 참석한 최찬웅 대한복싱협회 회장
- 신한카드, ‘에듀 플랜 플러스’ 고객 대상 이벤트
- 함평군, 함평형 시군역량강화사업 본격 추진
- 제3회‘꽃 피는 남해’, 3월28~29일 개최
- 당진시, 농촌공간 정비사업 국비 등 45억 확보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