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에 지역구를 둔 전남도의원 8명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극심한 경제난과 시민 생활고를 덜기 위해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을 위해 순천시가 시의회와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달라고 촉구하고 있다. 유홍철 기자](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436/image-a8b8d651-770e-4a5b-92a6-a9f211c75890.jpeg)
순천출신 전남도의원과 순천시의원들이 민생회복지원금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을 잇따라 내고 있는 가운데 상당수 시민들도 지금이야말로 자영업자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전 시민에게 보편적 지원금 지급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전남도의원 8명은 10일 오전 전남도 동부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제정세의 불안정과 중국발 경제쇼크, 계엄령 선포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시민들이 극심한 어려움에 봉착하고 민생이 파탄지경에 이르렀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이어 “민생회복지원금은 단순히 현금 지원이 아닌 지역화폐 지급으로 소비심리 회복과 자영업자와 저소득층을 살리는 등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영광군이 설날에 50만원, 추석에 50만원 지급 등 모두 100만원을 지급키로 했으며 고흥군과 보성군은 30만원, 해남군, 완도군, 나주시, 무안군을 비롯한 재정규모면에서 열악한 곡성군과 구례군마져도 10~20만원의 민생지원금을 지급했거나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순천시의 경우 지난 5년간 매년 평균 1500억 안팎의 순세계잉여금이 발생해서 다음해로 이월하는 재정상황을 감안하면 시민 1인당 30만원을 지급을 기준으로 모두 800억원을 조금 넘는 규모여서 빛을 내지 않고서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서동욱, 신민호, 김정희, 한춘옥, 정영균, 김정이, 한숙경, 김진남 등 순천출신 도의원 8명 모두가 참여했다.
![민주당 순천지역위가 전 시민들에게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을 촉구하는 현수막을 시내 곳곳에 내걸어 지나가는 시민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유홍철 기자](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436/image-95f35eda-6dc9-488b-971a-5d547951dd24.jpeg)
순천시의회 의원 12명도 이에앞서 지난 5일 개최된 기자회견에서 “국내외의 경제적 불확실성과 여수와 광양 산단의 가동 중단이나 생산감축 등의 여파로 일자리 불안과 소득감소 때문에 지역 자영업자 뿐만 아니라 비정규직 노동자, 프리랜서, 가정 주부들이 직간접 영향을 받고 있다”고 지적하고 “전 시민에게 보편적 민생지원금 지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시의원들은 “일각에서 지역상품권 할인 발급과 시 재정여건을 들먹이며 민생지원금을 마치 포플리즘으로 치부하며 반대하고 있지만 이는 사실 왜곡이다”고 반박했다.
이어 “지역 상품권의 경우 구매력이 있는 중위층 이상 시민 등 일부 시민에게 혜택이 돌아하는 한계를 갖고 있고 재정여건 운운하는 것도 다른 시군 지자체의 지원금 지급 예에서 보듯이 집행부의 의지에 달린 문제”라고 반박하고 있다.
특히 “지금의 경제침체와 경기위축은 단기에 그칠 일이 아니고 구조적 문제일 수 있기 때문에 신규사업을 취소하거나 축소하는 한이 있더라도 시민의 삶을 우선시 하는 애민정신이 절실한 시점이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순천시 덕연동에 사는 김 모씨(69)도 “최근 친구들 모임에서 보성 등 타 시군의 민생지원금 지급 얘기가 나왔는데 순천시가 정원박람회를 비롯한 도시개발쪽에 모든 예산을 투입하는 바람에 민생지원이나 노인복지에도 소홀하다는 지적이 많았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