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업·진학’ 두마리 토끼 잡는 서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의 신입생 선발이 전년보다 늘었다.
9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2025학년도 서울 지역 특성화고·마이스터고는 1만234명 모집에 1만2111명이 지원해 총 9686명이 합격했다. 충원율은 94.65%로 전년(92.21%)보다 2.44%포인트 올랐다.
서울 지역 중학교 3학년 학생 수는 3년 연속 감소했다. 2023년 7만3018명에서, 지난해 6만8524명, 올해 6만3924명으로 지속 줄었다. 그러나 지역 학생 수 감소에도 직업계고 학생 충원율은 상승했다. 시교육청은 “직업계고가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 제공을 통해 꿈을 실현시킬 수 있는 최적의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학교별로 보면 특성화고 67곳은 9676명 모집에 1만1287명이 지원해 총 9121명이 합격했다. 마이스터교 4곳은 558명 모집에 565명이 합격했다. 마이스터고 충원율은 101.25%로 지난해(100.89%)에 이어 2년 연속 100%를 넘겼다.
또 산업문화예술정보학교 6곳엔 1786명이 지원해 총 1229명(1352명 모집·충원율 90.90%)이 합격했다.
|
올해 지원율 상위에 속하는 교과군(산업군)은 △문화·예술·디자인·방송(34.4%)이다. 이어 △식품·조리(11.7%) △경영·금융(10.4%) △미용·관광·레저(10.2%) △정보통신(9.4%) 등의 순이다. 최근 K-컬쳐에 대한 전세계적인 관심도가 학생들의 지원 상위 교과에 반영된 것으로 관측된다.
시교육청은 학생들의 실무 능력과 최근의 산업 변화와 혁신을 반영한 교육을 위해 서울 직업교육 혁신지구(교통(철도, 자동차), 인공지능, 콘텐츠(게임, 웹툰, 패션), 미용, 식품·조리, 소방 분야 등) 및 협약형 특성화고를 확대 운영하고 있다. 또 고교 입학 단계에서 소질과 적성에 맞는 올바른 학교 선택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진학 안내와 상시 상담, 중학교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진학설명회, 학과 진로체험 프로그램 등도 전개하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직업계고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학과 개편과 재구조화 등을 지속 추진해 학생 개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와 직업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전환, 학생 만족도 향상을 위해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