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문’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유시민 작가를 도마에 올렸다.
고 의원은 7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망하는 길로 가고 있는 민주당의 모습은 이미 오래 전에 시작됐다”며 “국회에서 가장 큰 힘을 갖고 있는 이재명 대표를 때로는 풍자, 때로는 비판할 수도 있어야 하는데 비판하기만 하면 ‘수박’이라는 멸시와 조롱을 하는 현상들이 끊이지 않고 벌어졌다”고 꼬집었다.
![사진=유튜브 '매불쇼' 캡처](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137/image-d7f8f316-baf5-4ada-bece-6d5889508440.jpeg)
그러면서 “국민의힘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아무 말도 못 하고 ‘윤비어천가’를 부르는 모습에 많은 사람들은 굉장한 우려를 표명, 결국 이런 지경까지 왔다”며 “이 모습을 우리 당에 도입해 보면 크게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고 의원은 “(이 대표) 주변 사람들이 ‘명비어천가’를 부르고, 반대 목소리를 다 잘라버리고 손가락질한다면 어떻게 비판을 할 수 있겠냐”며 “그런 입틀막 현상은 우리 당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벌어진 일”이라고도 덧붙였다.
특히 유시민 작가를 향해선 “증오와 혐오의 사회로 치닫고 있는 것을 막으려고 어떠한 노력을 했는지 되묻고 싶다”며 “내란을 종식시키는 일이 가장 중요하지만 동시에 증오와 혐오의 사회를 어떻게 종식시킬 것인가에 대해 머리를 싸매고 토론하고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유 작가는 5일 유튜브 방송 ‘매불쇼’에 출연해 김동연 경기지사,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 김부겸 전 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두관 전 의원 등이 최근들어 일제히 ‘이재명 때리기’에 나서자 “망하는 길로 가고 있는 것”이라고 단언했다.
![사진=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137/image-0c464357-7119-4944-af04-2c4fdbccef87.jpeg)
고 의원은 유 작가의 ‘망하는 길’이란 선정적인(혹은 속 시원한) 표현을 콕 집어와 ‘명비어천가’로 대입시키는 논리적 비약을 한다. 보수언론의 논조와 흡사하다. 손가락이 가르키는 지점이 아닌 손가락 자체를 욕하는 꼴이다.
유 작가는 “비명계가 윤리적으로 틀렸다,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상황이 특수하다는 것이다. 내란으로 인한 비상 시국 상황에서 당내 선두주자를 때리며 체급을 키우는 평상 시의 정치문법은 통하지 않는다”는 분석을 했다.
그는 민주당원도 아니고, 친명-비명 정치인도 아니고, 권력의 한자락을 잡기 위해 정치권을 배회하는 이도 아닌 평론가다. 그것도 통찰력과 예리한 분석력으로 ‘신경 안정제’ 소리를 들을 만큼 대중적 신망을 얻어왔다.
유 작가는 “게임의 구조가 지난 총선 때보다도 극화된 상황에서 훈장질하듯이 ‘이재명 네가 못나서 대선에서 진 거야’ ‘너 혼자 하면 잘될 거 같으냐’는 소리를 하면 망하는 길로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재명 앞에선 누구나 ‘아닥’ 해야 한다는 말을 한 적도, 이재명을 신격화한 적도 없다. 내란 상황에서 앞장 서 열심히 전투를 치르고 있다는 평가를 했을 따름이다. ‘집단 지성’인 당원들 대다수 역시 ‘이재명은 언터처블’이라 여기지 않는다. 쓰임새 있는 도구로 생각한다.
이들은 민주주의를 퇴행시키는 윤석열 정권과 치열하게 싸워야하는 시점에 고민정 의원의 표현대로 ‘수박’들이 자신의 리더를 적들에게 팔아넘기고(체포 동의안), 보수언론과 짬짜미한 내부 총질에 분노해 총선 당시 ‘공천 혁명’을 실현시킨 것이다. 그런데 ‘윤비어천가’를 불러대다 폭망한 국힘 의원들과 당원을 민주당에 도입시킨 것은 본질뿐만 아니라 사실 관계를 호도하는 행위다.
유 작가는 대안 및 해법도 제시했다. 비명계 주자들이 이 대표와 단일대오로 내란 종식에 힘을 합쳐야 기회가 올 수 있다고 봤다. 그는 “만약 이 대표가 (대선에) 못 나가게 된다면 이재명을 지지했던 유권자가 누굴 지지하겠느냐”며 “‘이재명이 사법리스크가 있어서 안 돼’라고 했던 사람이 아니라 제일 열심히 싸웠던 사람에게 표를 줄 것”이라고 했다.
![사진=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137/image-41b94927-a5c6-426a-888a-d6f39b1f2453.jpeg)
그 이유도 밝혔다. “대중의 욕망을 감지하고, 그에 부합하는 행동을 해야 정치적으로 위력이 생기는 것이지 나의 욕망을 노출해서는 아무 것도 되는 게 없다. 판이 바뀌면 그 바뀐 판을 인정해야 한다.”
압권은 유 작가에게 “증오와 혐오의 사회로 치닫고 있는 것을 막으려고 어떠한 노력을 했는지 되묻고 싶다”란 대목이다. 이재명을 조금만 비판해도 ‘수박’이라 조리돌림 당했다고 분개하면서 ‘비명’ 잠룡 몇명에 대한 비판적 평론을 했다고 ‘증오와 혐오’ ‘어떤 노력’ 운운하는 것 역시 비약이자 감정적 대응으로 여겨진다.
통합은 몇마디 구호로 이뤄지는 것도 아니며 당사자들끼리 악수한다고 효력이 발생하는 것도 아니다. 정당 민주주의, 대의 민주주의를 추구한다면 당원들과 민주당을 지지하는 국민의 요구에 천착해야 하지 않을까. 증오와 혐오의 끝판왕들이 활개치고 있는 시대에 엄한 사람한테 화살 돌리지 말고, 국민 세금 받아가며 입법기관으로 활동하는 당신들이 목숨 걸고 하시라.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