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디스플레이 초격차’로 中 따돌린다“… 산업부, 기술 R&D에 415억원 지원

조선비즈 조회수  

산업통상자원부. /뉴스1
산업통상자원부. /뉴스1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이 초격차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가 약 400억원 규모 연구개발(R&D) 지원에 나선다. 중국의 거센 추격을 받고 있는 만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등 기술 수준을 높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도 국내 기업이 선도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7일 정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디스플레이 분야 R&D에 대한 신규 지원 공모를 시작했다. 지원 대상으로는 중소·중견기업, 대기업뿐 아니라 대학, 연구소 등도 포함했다.

지원 규모는 원천기술형, 혁신제품형 등 연구개발과제 유형과 지원 대상에 따라 차별화했다. ‘원천기술’이 일반적으로 기존 기술 등에서 파생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개발된 혁신적이고 새로운 기술을 뜻하는 만큼, 원천기술형 R&D에 대한 지원 비중이 더 크다.

구체적으로 원천기술형 R&D는 비용의 최대 50%를 대기업에 지원한다. 중견기업에는 최대 70%, 중소기업에는 최대 75%를 보조해 준다. 혁신제품형 지원 비율은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에 각각 33%, 50%, 67%다. 대학과 연구소는 과제 유형과 상관없이 100%를 지원받을 수 있다.

산업부는 디스플레이 분야 지원 예산을 387억6600만원으로 책정했다. 과제 종류는 40개에 달하는데,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생태계 구축사업 ▲초고해상도 아몰레드 기반 초실감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차세대모빌리티용 극한환경적용 OLED 기술개발 ▲메타버스를 위한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R&D 기간은 과제별로 1~4년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디스플레이·확장현실(XR) 분야 R&D 신규 지원 유형.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산업통상자원부 디스플레이·확장현실(XR) 분야 R&D 신규 지원 유형.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정부가 디스플레이 산업 지원에 나선 배경에는 ‘중국의 맹추격’이 있다. 일례로 지난해 9월 미국 시장조사 전문업체 DSCC는 플렉시블 OLED 시장에서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 BOE가 2028년 24~26%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삼성디스플레이를 추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중국 비전옥스가 2028년 14%의 점유율로 플렉서블 OLED 시장에서 3위로 올라설 것으로도 내다봤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기업의 OLED 시장 점유율은 2023년 기준 74%로 중국보다 훨씬 앞선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며 “디스플레이 시장이 앞으로도 한층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세제 지원에 더해 R&D 보조금 지원으로 더 확실하게 우위를 지키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산업부는 상용화되지 않은 확장현실(XR)의 시장 선점을 위한 R&D도 27억원 규모로 지원하기로 했다. 공간컴퓨팅 구현 첨단XR 디바이스·부품 통합형 기술개발이 주요 지원 사업이다. 지원 조건은 디스플레이 분야와 같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XR 기기는 메타·애플 등 빅테크가 주로 제조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아직 제품을 내놓은 기업이 없는 상황”이라며 “대기업 외에도 기기 부품, XR 콘텐츠, 서비스 등 전 분야 기업들이 참여해 국산 디바이스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4~5월 지원 대상을 선정하고 협약을 체결한 뒤, 산정된 R&D 예산을 바탕으로 보조금을 선지급할 계획이다. 올해는 1~3월을 제외한 9개월 치를, 내년부터는 1월에 1년 치를 전부 지원한다. 다만 기술 개발이 사업 성과로 이어질 경우, 보조금을 받은 기업은 해당 기술로 인한 매출의 일정 비율을 ‘기술료’로 정부에 납부해야 한다. 산업부는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의 기술료 상한을 각각 정부 지원 보조금의 10%, 20%, 40%로 설정했다.

조선비즈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서산·무안·고흥·여수갯벌도 세계유산 도전… 국가유산청 ‘확대 등재’ 신청
  • 이진우, 계엄 실패 후 尹과 통화 기록된 블랙박스 삭제 지시
  • “4050세대, 청년층 만큼 SNS 많이 이용…인스타그램 선호”
  • [태안군 소식]여성 농업인 대상 농작업 편의장비 지원 등
  • ‘현대판 집시 감성’으로 색공간 연출하는 우 슈앙 작가
  • [데스크의 시선]여론 추이와 데이터로 본 윤 대통령 탄핵 기각 가능성 얼마나 되나?

[뉴스] 공감 뉴스

  • ‘현대판 집시 감성’으로 색공간 연출하는 우 슈앙 작가
  • 진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2025년 위원 위촉 및 정기총회
  • [천안시 소식]산불방지대책본부 운영…비상대응태세 강화 등
  • 고액 학원비 해방되나 싶었는데 “줄줄이 봇물 터졌다”…부모들 ‘울상’
  • 스크린골프, 편리함 뒤에 숨은 위생 문제…소비자 13.5% 불만 경험
  • [부여군 소식]배수개선사업 전액 국비 1523억 원 확보 등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상사와의 어려운 술자리로 집유” 음주 뺑소니한 경찰관 논란
  • “20년 만에 돌아온 무쏘” 2천만원대 포터 가격에 살 수 있을까?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중국에 바짝 엎드린 일본!” 뭉쳐도 이기기 힘든데, 흩어질 위기 처한 상황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 “하다하다 이것까지 난리” 문제 많은 공유 킥보드, 어떻게 생각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김하성-이정후-김혜성 느낌이 난다" 이래서 최정 이후 처음이었구나…20살 1라운더 7kg 벌크업, 이숭용의 마음잡을까

    스포츠 

  • 2
    "이제 집에서 만들어 드세요"…선지국 맛있게 끓이는 법 레시피

    여행맛집 

  • 3
    “서희원 유산은…” 창자 끊어질 듯한 아픔에도 구준엽은 분노할 수밖에 없었고 마음이 찢어진다

    연예 

  • 4
    ‘이길이구 갤러리’ 대표 백운아의 취향

    연예 

  • 5
    '결혼 발표' 채코제X원지, 결국 인연♥은 따로 있었다…'비즈니스 커플' 종료 [MD이슈]

    연예 

[뉴스] 인기 뉴스

  • 서산·무안·고흥·여수갯벌도 세계유산 도전… 국가유산청 ‘확대 등재’ 신청
  • 이진우, 계엄 실패 후 尹과 통화 기록된 블랙박스 삭제 지시
  • “4050세대, 청년층 만큼 SNS 많이 이용…인스타그램 선호”
  • [태안군 소식]여성 농업인 대상 농작업 편의장비 지원 등
  • ‘현대판 집시 감성’으로 색공간 연출하는 우 슈앙 작가
  • [데스크의 시선]여론 추이와 데이터로 본 윤 대통령 탄핵 기각 가능성 얼마나 되나?

지금 뜨는 뉴스

  • 1
    “아 진짜” 3년만에 돌아온 푸이그, 영웅군단 적응 끝났다…한국인보다 제기 잘 차는 외국인 등장

    스포츠 

  • 2
    '미스터트롯3' 투표순위 4주차… 반전 결과 공개

    연예 

  • 3
    "웸블리로 가자!" 손흥민의 무관 탈출 한 푸는 데 2관문 남았다…리버풀 잡고 '70년 무관' 뉴캐슬 만나러 갈 수 있을까

    스포츠 

  • 4
    린도어~소토~알론소 메츠 1~3번 특급타순 구축…다저스 오타니~베츠~프리먼과 맞짱? 판은 깔렸다

    스포츠 

  • 5
    '레알의 위대한 전설이었다'…마르셀루, 현역 은퇴 선언 "대단한 여정이었다"

    스포츠 

[뉴스] 추천 뉴스

  • ‘현대판 집시 감성’으로 색공간 연출하는 우 슈앙 작가
  • 진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2025년 위원 위촉 및 정기총회
  • [천안시 소식]산불방지대책본부 운영…비상대응태세 강화 등
  • 고액 학원비 해방되나 싶었는데 “줄줄이 봇물 터졌다”…부모들 ‘울상’
  • 스크린골프, 편리함 뒤에 숨은 위생 문제…소비자 13.5% 불만 경험
  • [부여군 소식]배수개선사업 전액 국비 1523억 원 확보 등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상사와의 어려운 술자리로 집유” 음주 뺑소니한 경찰관 논란
  • “20년 만에 돌아온 무쏘” 2천만원대 포터 가격에 살 수 있을까?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중국에 바짝 엎드린 일본!” 뭉쳐도 이기기 힘든데, 흩어질 위기 처한 상황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 “하다하다 이것까지 난리” 문제 많은 공유 킥보드, 어떻게 생각하세요?

추천 뉴스

  • 1
    "김하성-이정후-김혜성 느낌이 난다" 이래서 최정 이후 처음이었구나…20살 1라운더 7kg 벌크업, 이숭용의 마음잡을까

    스포츠 

  • 2
    "이제 집에서 만들어 드세요"…선지국 맛있게 끓이는 법 레시피

    여행맛집 

  • 3
    “서희원 유산은…” 창자 끊어질 듯한 아픔에도 구준엽은 분노할 수밖에 없었고 마음이 찢어진다

    연예 

  • 4
    ‘이길이구 갤러리’ 대표 백운아의 취향

    연예 

  • 5
    '결혼 발표' 채코제X원지, 결국 인연♥은 따로 있었다…'비즈니스 커플' 종료 [MD이슈]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아 진짜” 3년만에 돌아온 푸이그, 영웅군단 적응 끝났다…한국인보다 제기 잘 차는 외국인 등장

    스포츠 

  • 2
    '미스터트롯3' 투표순위 4주차… 반전 결과 공개

    연예 

  • 3
    "웸블리로 가자!" 손흥민의 무관 탈출 한 푸는 데 2관문 남았다…리버풀 잡고 '70년 무관' 뉴캐슬 만나러 갈 수 있을까

    스포츠 

  • 4
    린도어~소토~알론소 메츠 1~3번 특급타순 구축…다저스 오타니~베츠~프리먼과 맞짱? 판은 깔렸다

    스포츠 

  • 5
    '레알의 위대한 전설이었다'…마르셀루, 현역 은퇴 선언 "대단한 여정이었다"

    스포츠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