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신년간담회 열고 ‘이재명·민주당’과 차별화 메시지
권성동과 함께 ‘개헌 논의’ 압박하며 이재명 향한 압박 강화
당내선 “이재명 향해 답변 압박 하면 국면 전환에 도움될 것”
일각선 ‘尹 거리두기·부정선거’ 입장에 아쉬움 토로하기도
국민의힘 지도부가 정치·경제적인 메시지를 쏟아내면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향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이 대표가 꺼낸 ‘우클릭’의 진정성을 강하게 비판하기 위한 보수 정체성을 확보하는 한편,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개헌에 적극적인 모습을 통해 존재감을 확보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일각에선 여전히 윤석열 대통령과의 애매모호한 관계 설정 등 지도부 차원에서 필요한 메시지가 나오지 않고 있는 점이 향후 중도층 확장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단 우려 섞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6일 국회에서 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취임 후 한 달여 간의 소회을 언급하며 “당이 안정되고 화합해야지 제대로 된 변화나 쇄신도 가능하다고 생각을 했기 때문에 우선 거기에 중점을 뒀다”며 “지금은 안정된 모습 보이고 있어 앞으로는 당 쇄신에 매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 동안 정부·여당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됐던 당내 갈등이 어느 정도 해소됐다는 주장과 함께 본격적인 쇄신 드라이브를 걸겠다고 선언하면서 ‘자충수의 늪’에 빠진 민주당과의 차별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권 비대위원장은 “여당으로서 사사건건 정부와 갈등을 빚거나 혹은 거의 비슷한 이슈를 두고 내부에서 다툼만 있는 모습을 보면서 중간에 계신 분들뿐만이 아니라 우리 당을 평소 지지했던 분들도 실망했었던 부분이 틀림없이 있었다”면서도 “이재명 대표의 민주당에 나라를 맡길 수 없다는 국민이 우리 당에 힘을 모아주시는 거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권 비대위원장은 최근 이 대표가 지속하고 있는 ‘우클릭 행보’에 대한 진정성을 비판하며”우리가 보수 정당으로서 좌파 쪽으로 가거나 중도 쪽으로 가거나 그런 방향성이 의미가 있는 건 아니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는 이 대표 및 민주당과의 차별화에 나선 것을 분석된다.
이와 함께 권 비대위원장은 ‘경제민주화’ 대신 ‘경제 자유화’를 내세웠다. 권 위원장은 “경제민주화는 우리(국민의힘)가 10여년 전 캐치프레이즈로 받아들이고 노력한 것”이라면서도 “경제민주화를 오독하다 보면 지나치게 규제가 많아지고 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잘못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잠재성장률이 계속 떨어지고 고령화로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선 기업들이 좀 더 활동할 수 있도록 경제 자유화를 하는 게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새로운 어젠다를 제시하기도 했다.
또 이 대표가 언급을 피하는 개헌 논의와 관련해서도 “’87 체제’가 40년이 됐는데, 헌법상 제도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 이런 부분에 대해 많은 분들이 지적을 하는 만큼 어떤 부분을 손봐야 할까(는 짚어봐야 한다)”라는 뜻을 피력하며 정치 부문에서의 차별화에도 시동을 걸었다.
앞서 권성동 원내대표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원식 국회의장에게 (국회 차원의) 특위를 만들어 개헌을 하자고 여러 차례 말했는데, 이재명 대표의 눈치를 보는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며 “역대 의장과 원로 의원들이 개헌론에 불을 지폈고 여론이 뒷받침된다면 이 대표도 개헌을 받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압박 강도를 높인 것과 같은 전략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하루를 간격으로 이재명과 차별화되는 메시지를 낸 것 자체가 ‘우리는 다르다’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봐야 한다”며 “향후 이 대표에게 답변을 압박하는 움직임이 더해진다면 분명히 국면 전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지도부의 스탠스에 아쉬움을 표하는 당내 목소리도 나온다. 윤 대통령과의 거리두기에 소극적인 입장을 취한 지도부로 인해 국민의힘 전체가 ‘극우’로 분류될 수 있단 우려에서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윤 대통령과 인위적인 거리두기를 해야 한다는 지적엔 동의하지 않는다”며 “인위적으로 거리를 두기보다는 문제가 된 부분에 대해 고치는 노력을 하는 게 단절이라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또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는 부정선거 관련 입장에 대해서도 당내 불만이 제기된다. 권 비대위원장은 사전투표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데 대해 “특별한 입장이 있다기보다는, 굉장히 많은 분들이 문제점을 지적하는 걸로 봐서 현재 (선거)시스템에 대해 국민들이 의구심을 갖지 않도록 투표 절차·방법·제도 등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지 않겠느냐”라고 언급했다.
또 다른 국민의힘 관계자는 “물론 당내 지지층을 고려하지 않을 순 없었겠지만, 조기대선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계엄령이나 부정선거와 같이 중도층이 동의하기 어려운 사안에 대해 지도부가 명확한 입장을 내지 못한 건 아쉬운 부분”이라며 “향후 이와 관련한 입장 요구가 있을텐데, 중도층에 소구력 있는 메시지를 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