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윤석열 대통령 측 대리인으로 합류한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기자들 앞에서 음모론과 폭동 옹호 등을 하다 수세에 몰렸다. 황 전 총리는 질의를 마무리하고 돌아서는 기자들을 향해 “젊은이들이 젊은이에 대한 생각이 부족하다”고 말해 반박을 부르기도 했다.
전날 윤 대통령 측 대리인으로 추가 선임된 황 총리는 이날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기일이 끝나고 기자들 앞에 섰다. 헌재 심판정 앞에서 기다리던 기자들 질문에 “예민한 건 변론팀에 얘기하라”며 지나치려던 그는 질문이 이어지자 부정선거 음모론과 내란 옹호 발언을 이어갔다.
그는 변호인으로 합류한 이유를 묻는 첫 질문에 “대통령이 곧 나라”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수처는 수사권이 없다” “구속이 불법적”이라며 이미 성립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진 주장을 했다. 줄곧 주장해온 부정선거 음모론을 1분여간 말하기도 했다.
황 총리가 연설하듯 발언하던 분위기는 한 기자가 그의 서부지법 극우 폭동 무료변론에 대한 비판적 질문을 하며 반전됐다. 시사인 기자는 “무료변론 제공이 전직 총리로서 법치주의를 존중하지 않는 것이라 생각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황 전 총리는 “법치주의의 한 틀은 따뜻함”이라며 “젊은이들이 나라를 지키겠다고 해서 고소당하는 것을 모른 척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 요청이 없었고 자발적으로 변론에 참여했다고 했다.
이에 또다른 기자가 “불법이란 점은 변하지 않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주는게 변호사”라는 황 전 총리 답변에 또다른 질문이 나왔다. “그럼 법원을 폭력으로 진입해 침탈하고 부순 것이 문제라고 생각을 안 하느냐”고 묻자 그는 “불법은 지금 수사하고 있지 않나. 나는 검사가 아니다”라고 했다.
이런 답변은 “이번 서부지법 사태는 그럴 만했다고 보는가”라는 또다른 기자의 반박 질문을 불렀다. 황 전 총리가 “청년들의 분노를 이해한다”고 답하자 비판적 질문이 연이어 쏟아졌다. 기자들은 “분노하면 그런 행동을 해도 된다고 보는 건가” “법원 집기류를 파손하는 게 나라를 위한 행동이라고 보나” “사법체계 핵심인 법원을 훼손하는 행위인데” 등을 물었다. 황 전 총리는 이에 “기물을 파괴하면 변호하면 안 되나?”, “법원이 잘했으면 그렇게 했겠나” 라며 극우 폭동을 옹호하는 발언으로 답변을 이어갔다.
취재진은 마지막 질문으로 “이번 변호인단 합류가 황 전 총리의 정치적 유리를 위한 복선 아닌지 묻고 싶다”고 했다. 황 전 총리는 “그건 아니다. 대통령을 지켜야 되고 그게 나라를 지키는 일”이라고 부인했다.
이후 취재진이 카메라를 거두고 기자들이 각자 흩어지려는 순간, 황 전 총리는 기자들의 뒤통수를 향해 “이게 젊은이면서 젊은이들에 대한 생각들이 부족하네”라고 말해 더 큰 반박을 받았다. “젊은이도 다양하게 생각한다” “광화문엔 계속 2030 여성 포함한 젊은이들이 집회를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는 기자들이 다시 모였다.
황 전 총리가 “광화문에도 여러분들이 나와 있다”고 한 뒤 “부정선거를 막기 위한 여러 전문가들과 얘기도 하고 (있다)”며 음모론을 꺼내들자 취재진은 자리를 정리했다. 황 전 총리는 “그래 수고들 하시라”며 마무리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