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전공의 떠난 병원, 지난해 연구자 임상 40%나 급감

전자신문 조회수  

지난해 국내 임상시험 승인 건수가 2019년 이후 5년 만에 1000건 이하로 떨어졌다. 병원 의료진 주도로 이뤄진 ‘연구자 임상시험’ 하락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갈등 여파로 국내 임상시험이 크게 위축되면서 개발 차질은 물론 국가 의료산업 경쟁력 하락 우려까지 제기된다.

6일 한국임상시험참여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은 임상시험은 총 937건으로, 2023년 대비 7.7% 감소했다. 연간 임상시험 승인 건수가 1000건 이하로 떨어진 건 2019년(967건) 이후 5년 만이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의약품 개발 지역을 기준으로 보면 국내개발 품목 임상시험 승인은 573건을 기록, 전년 626건과 비교해 8.4% 감소했다. 국외개발 임상시험 승인은 364건으로 6.6% 줄었다.

단계별 임상시험 승인 건수는 연구자 임상시험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지난해 승인받은 연구자 임상시험은 총 66건으로 2023년(110건)과 비교해 40%나 줄었다. 연간 연구자 임상시험 승인 건수가 100건 이하로 떨어진 건 한국임상시험참여포털 통계가 이뤄진 2019년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임상시험 승인 축소는 의정갈등 여파로 해석된다. 지난해 2월 정부 의대 증원 등 의료개혁 정책에 반대해 전공의들이 집단사직하면서 임상시험이 위축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연구자 임상시험이 크게 준 것은 의정갈등의 부정적 영향을 여실히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연구자 임상시험은 본 임상시험에 돌입하기 전 기초연구 단계에 해당한다. 임상 1~3상 시험이 제약·의료기기 등 기업 지원 아래 이뤄지는 반면 연구자 임상은 대부분 병원 의료진이 소규모 연구비를 투입해 자체적으로 진행한다. 전공의 이탈로 진료, 수술, 당직 근무까지 업무량이 많이 늘어난 교수들 입장에선 기업 지원을 받는 임상시험도 여력이 없지만 연구 목적의 ‘연구자 임상시험’은 엄두도 못 낸다는 것이다.

한 의대 교수는 “연구자 임상시험은 교수들의 연구 의지나 학술적 호기심에 기반해 시작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진료나 수술 외에 연구시간이 뒷받침돼야 한다”면서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은 상황에서 연구시간은 꿈도 못 꿀 것”이라고 말했다.

연도별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시험 승인 현황(자료: 한국임상시험참여포털, 단위: 건)
연도별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시험 승인 현황(자료: 한국임상시험참여포털, 단위: 건)

일선 수련병원 현실을 고려했을 때 임상시험 위축은 더욱 심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지난해 900건이 넘는 임상시험이 승인됐지만 이중 상당수가 실제 첫발도 못 뗐거나 중단됐을 것이란 지적이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관계자는 “일부 기업은 회사 로드맵이나 주주관계 등을 고려해 실제 추진 여부와 관계없이 우선 임상시험 승인을 받는 경우가 있다”면서 “전체 임상시험 승인 건수는 크게 줄지 않았지만 현실은 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도 임상시험 위축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국 211개 수련병원 전공의 출근율이 10%에도 못 미친다. 임상시험이 차질을 빚을 경우 기초연구 위축은 물론 의약품, 의료기기 개발 일정도 미뤄진다. 무엇보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우리나라에서의 임상시험을 ‘패싱’하면서 임상 강국 위상도 떨어질 우려가 크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

전자신문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차·테크] 랭킹 뉴스

  • 네이버, 올해 국내 검색 점유율 '압도'…생성형 AI는 안팎 공세
  • LG유플, 2년 연속 수익성 뒷걸음질…“AX 역량 집중해 턴어라운드”
  • “나오면 무조건 산다”.. 마침내 등장한 폭스바겐의 가성비 신차, 가격이 무려
  • 테슬라도 따라올 수 없는 ‘공간’ … 볼보 신형 SUV의 반전에 시장 ‘주목’
  • 게임업계 ‘NK’ 2강 구도 굳힌다… AI부터 인도까지 광폭 투자 나선 크래프톤
  • [이슈플러스] 원자재·환율·인건비 상승에 식음료 가격 줄인상…유통망 확대, 생산기지 이전 등 활로 모색

[차·테크] 공감 뉴스

  • [신차드라이브]지프 '그랜드 체로키 4xe'…매력적 전동화 SUV
  • 韓, 범정부 차원 ‘딥시크 차단’ 어려울 듯… 제2의 틱톡 되나
  • 마비노기 모바일, 1000억 투입 결실 맺나…넥슨 데브캣 역량 시험대
  • [알리 꿀템 PICK] “몸도 마음도 힐링” 알리익스프레스가 엄선한 겨울철 피로 회복템
  • ‘8년 기다림 끝’…넥슨 마비노기 모바일 “20년 전 감성 새롭게 전달”
  • “GV80 이제 어쩌냐”… 아빠들이 기다리고 있는 플래그십 SUV의 충격적인 연비에 ‘화들짝’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 “하다하다 이것까지 난리” 문제 많은 공유 킥보드, 어떻게 생각하세요?
  • “배달기사들 진짜 막 사는구나” 마약하고 바지 벗은 채 초인종 눌렀다 구속
  • “전기차는 테슬라가 무조건 맞지” 신형 테슬라 모델 Y 주행거리 500km 인증
  • “머리가 얼마나 나쁘길래” 사고 후 조수석으로 도망친 운전자의 최후
  • “결국 중국에 꼬리 내린 현대차” 가성비 전기차 공세에 파격 할인 돌입!
  • “1,026만 원 줄게, 지프랑 푸조 살래?” 스텔란티스코리아의 파격 결정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선을 넘는 클래스’ 김소현, 을미사변 기록에 눈물 “우리의 아픈 역사"

    연예 

  • 2
    마산합포구, 공원녹지 생활밀착형 사업 대상지 점검

    뉴스 

  • 3
    ‘킥킥킥킥’ 첫방 시청률 2.1%…지진희X이규형, 억소리나는 지조커플 귀환

    연예 

  • 4
    ‘꼬꼬무’ 임종례 그리고 여성국극, ‘정년이’ 장혜진→아이키 출격

    연예 

  • 5
    ‘나혼산’ 박지현, 목포누나 박나래 드레스룸 스케일에 “어떤 삶을 사신거에요?"

    연예 

[차·테크] 인기 뉴스

  • 네이버, 올해 국내 검색 점유율 '압도'…생성형 AI는 안팎 공세
  • LG유플, 2년 연속 수익성 뒷걸음질…“AX 역량 집중해 턴어라운드”
  • “나오면 무조건 산다”.. 마침내 등장한 폭스바겐의 가성비 신차, 가격이 무려
  • 테슬라도 따라올 수 없는 ‘공간’ … 볼보 신형 SUV의 반전에 시장 ‘주목’
  • 게임업계 ‘NK’ 2강 구도 굳힌다… AI부터 인도까지 광폭 투자 나선 크래프톤
  • [이슈플러스] 원자재·환율·인건비 상승에 식음료 가격 줄인상…유통망 확대, 생산기지 이전 등 활로 모색

지금 뜨는 뉴스

  • 1
    진해구, 벚꽃 명소 내 벚나무 실태조사 용역 추진

    뉴스 

  • 2
    블랙핑크 지수, 오늘(6일) '유인라디오' 출연...작품·앨범 이야기

    연예 

  • 3
    세르비아 국대 대체자로 KB와 인연, 이런 복덩이 없다…194cm 스페인 폭격기 미친 퍼포먼스, 31패 꼴찌 일낸다

    스포츠 

  • 4
    "삼원태 된 것 같다" 70억 FA, 벌써 삼성 적응 끝났나…23세 우완 영건은 이미 반했다 [MD인천공항]

    스포츠 

  • 5
    무려 연예인만 50명이 넘게 거주하고있다는 "이 지역"

    뉴스 

[차·테크] 추천 뉴스

  • [신차드라이브]지프 '그랜드 체로키 4xe'…매력적 전동화 SUV
  • 韓, 범정부 차원 ‘딥시크 차단’ 어려울 듯… 제2의 틱톡 되나
  • 마비노기 모바일, 1000억 투입 결실 맺나…넥슨 데브캣 역량 시험대
  • [알리 꿀템 PICK] “몸도 마음도 힐링” 알리익스프레스가 엄선한 겨울철 피로 회복템
  • ‘8년 기다림 끝’…넥슨 마비노기 모바일 “20년 전 감성 새롭게 전달”
  • “GV80 이제 어쩌냐”… 아빠들이 기다리고 있는 플래그십 SUV의 충격적인 연비에 ‘화들짝’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 “하다하다 이것까지 난리” 문제 많은 공유 킥보드, 어떻게 생각하세요?
  • “배달기사들 진짜 막 사는구나” 마약하고 바지 벗은 채 초인종 눌렀다 구속
  • “전기차는 테슬라가 무조건 맞지” 신형 테슬라 모델 Y 주행거리 500km 인증
  • “머리가 얼마나 나쁘길래” 사고 후 조수석으로 도망친 운전자의 최후
  • “결국 중국에 꼬리 내린 현대차” 가성비 전기차 공세에 파격 할인 돌입!
  • “1,026만 원 줄게, 지프랑 푸조 살래?” 스텔란티스코리아의 파격 결정

추천 뉴스

  • 1
    ‘선을 넘는 클래스’ 김소현, 을미사변 기록에 눈물 “우리의 아픈 역사"

    연예 

  • 2
    마산합포구, 공원녹지 생활밀착형 사업 대상지 점검

    뉴스 

  • 3
    ‘킥킥킥킥’ 첫방 시청률 2.1%…지진희X이규형, 억소리나는 지조커플 귀환

    연예 

  • 4
    ‘꼬꼬무’ 임종례 그리고 여성국극, ‘정년이’ 장혜진→아이키 출격

    연예 

  • 5
    ‘나혼산’ 박지현, 목포누나 박나래 드레스룸 스케일에 “어떤 삶을 사신거에요?"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진해구, 벚꽃 명소 내 벚나무 실태조사 용역 추진

    뉴스 

  • 2
    블랙핑크 지수, 오늘(6일) '유인라디오' 출연...작품·앨범 이야기

    연예 

  • 3
    세르비아 국대 대체자로 KB와 인연, 이런 복덩이 없다…194cm 스페인 폭격기 미친 퍼포먼스, 31패 꼴찌 일낸다

    스포츠 

  • 4
    "삼원태 된 것 같다" 70억 FA, 벌써 삼성 적응 끝났나…23세 우완 영건은 이미 반했다 [MD인천공항]

    스포츠 

  • 5
    무려 연예인만 50명이 넘게 거주하고있다는 "이 지역"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