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이 연일 ‘이재명 일극 체제’ 비판을 이어가는 가운데 유시민 작가가 이들을 향해 돌직구를 날렸다.
유 작가는 5일 유튜브 방송 ‘매불쇼’에 출연해 “망하는 길로 가고 있는 것”이라고 단언했다. 급격하게 변화한 상황에서 당내 선두주자를 때리며 체급을 키우는 기존의 정치문법은 통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유 작가는 “(비명계가) 윤리적으로 틀렸다,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이 특수하다는 것”이라며 “내란 세력의 준동을 철저히, 끝까지 제압해야 하는 비상시국이다. 게임의 구조가 지난 총선 때보다도 극화된 상황에서 훈장질하듯이 ‘이재명 네가 못나서 대선에서 진 거야’ ‘너 혼자 하면 잘될 거 같으냐’는 소리를 하면 망하는 길로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히려 비명계 주자들이 이 대표와 단일대오로 내란 종식에 힘을 합쳐야 기회가 올 수 있다고 봤다. 그는 “만약 이 대표가 (대선에) 못 나가게 된다면 이재명을 지지했던 유권자가 누굴 지지하겠느냐”며 “‘이재명이 사법리스크가 있어서 안 돼’라고 했던 사람이 아니라 제일 열심히 싸웠던 사람에게 표를 줄 것”이라고 했다.
유 작가는 “대중의 욕망을 감지하고, 그에 부합하는 행동을 해야 정치적으로 위력이 생기는 것이지 나의 욕망을 노출해서는 아무것도 되는 게 없다”며 “판이 바뀌면 그 바뀐 판을 인정해야 한다”고도 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치적 호위무사’로 불렸던 유 작가는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이자 ‘친문 적자’로 꼽히는 김경수 전 지사에게 “도전하는 것 좋다. 대선 경선 나가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본다”면서도 “이 국면에서는 착한 2등이 되는 전략을 써야 한다”고 했다. 이 대표와 맞붙으며 경선 긴장감은 높이되 당원과 지지자들이 납득할 수 있는 방식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김 전 지사가 최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2022년 대선 이후 치러진 지방선거와 총선 과정에서 치욕스러워하며 당에서 멀어지거나 떠나신 분들이 많다”며 이 대표에게 사과를 요구한 것은 감점 요소라고 짚었다. 유 작가는 “요 며칠간 그 기회를 반 넘게 상실했다. 지금도 완전히 늦진 않았다고 본다. 지도자 행세를 하지 말라”고 조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