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지난해 기업 직접금융 조달 증가…IPO 실적 4조 회복, 유상증자는 또 줄어

포인트경제 조회수  

[포인트경제] 지난해 국내 기업들이 직접 금융을 통해 조달한 금액이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가운데 주식이 소폭 줄어든 반면, 회사채가 늘어났다. 기업공개(IPO) 평균 공모 금액이 커지면서 발행 실적이 4조원대를 회복했는데 유상증자는 시설투자 목적의 대기업 자금 조달이 반토막나면서 전년도보다 35% 더 줄었다.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뉴시스 (포인트경제)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뉴시스 (포인트경제)

5일 금융감독원의 ‘2024년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주식·회사채 공모 발행액은 287조638억원으로 전년 대비 41조3956억원(16.9%) 증가했다.

주식 공모 발행 금액은 유상증자 감소 영향에 전년대비 2조364억원(18.8%) 감소한 총 8조8205억원으로 집계됐다.

기업공개 실적은 4조1171억원으로 전년 대비 5174억원(14.4%) 늘었다. 1000억원 이상 기업공개가 전년도 3건에서 올해 4건으로 늘었으며, 전체 건수는 3건 줄었지만 평균 공모 금액이 302억원에서 355억원으로 늘어난 덕이다. 유가증권 발행 건수는 65건, 조달금액은 1조2909억원이었으며 코스닥(110건)에서 2조8262억원이 발행됐다. 2022년 IPO 실적은 13조원대였다.

연도별 주식 발행 추이 /금융감독원
연도별 주식 발행 추이 /금융감독원

유상증자는 전년 대비 35.2% 감소한 4조7034억원으로 시설투자 목적 등 대기업의 유상증가 52.0% 감소한 반면 운영자금 조달 등 중소기업 유상증자는 17.3% 증가했다. 시장별로는 유가증권시장에서 2조617억원, 코스닥 시장에서 2조2616억원 발행됐으며 비상장사 발행액은 380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회사채 발행 실적은 278조2433억원으로 전년 대비 43조4320억원(18.5%) 증가했다. 발행 건수도 4288건에서 4554건으로 증가했다.

일반회사채는 49조8911억원으로 전년 대비 6조6102억원(15.3%) 증가했다. 금리 인하 등에 따른 차환 발행 목적의 일반회사채·금융채 발행이 증가했다. 금리인하 등에 따라 투자자의 수익성 제고에 대한 수요 증가 등으로 A등급 비중이 17.0%에서 29.0%로 상승했다.

만기별로 중기채 발행 비중은 88.7%에서 92.0%로 상승했으며 단기채와 장기채 비중은 하락했다. 자금용도별로 고금리 채권에 대한 차환발행이 늘었고 시설자금 용도 발행 규모 및 비중은 감소했다.

금융채 발행액은 전년 대비 21.8% 증가한 212조1436억원으로 금융지주채(12조4000억원)와 은행채(77조원), 기타금융채(122조7000억원) 모두 전년 대비 각각 31.6%, 7.1%, 32.3% 늘었다. 특히 신용카드사, 할부금융사, 증권사 등 기타금융채 발행 규모와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연도별 회사채 발행 추이 (조원) /금융감독원
연도별 회사채 발행 추이 (조원) /금융감독원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액은 16조2086억원으로 전년 대비 6.9% 감소했다. 중소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위해 신용보증기금 등이 신용을 보강해 발행하는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발행액은 전년보다 6.2% 감소해 4조5938억원을 기록했다.

전체 회사채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692조7242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51조3980억원(8.0%) 증가했다. 일반회사채는 전년에 이어 순발행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기업어음(CP)·단기사채 발행액은 전년 대비 3.1% 늘어나 총 1303조5250억원으로 집계됐다. CP 발행액은 435조1951억원으로 전년 대비 6.5% 증가했고 단기사채는 1.5% 증가해 868조3299억원을 기록했다.

포인트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새해 첫 달 국제유가·고환율에 들썩인 물가… 석유·채솟값 ‘껑충’
  • [대학소식] 경일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평가 '우수' 획득
  • 군포시 "교육이 군포의 미래...전 세대 교육 지원할 것"
  • 설 특수 노린 원산지 '꼼수' 396개 업소 덜미
  • 최요삼을 세계챔피언으로 만든 일등공신 차관철을 아십니까
  • 미국 신정부 출범에 대처하는 나라들의 자세 [함께 읽는 통상]

[뉴스] 공감 뉴스

  • 대한민국 內 “범죄자 취급 당해요”… 20만 명의 애타는 생존권 ‘호소’, 도대체 왜?
  • 딥시크, AI 생태계의 게임체인저인가 [김세중의 여의도 커피챗]
  • 유럽의 혁신 위기가 시사하는 것들 [이민형의 과학기술혁신 짚어보기]
  • 개헌론 압박하는 與 “이재명, 여론 뒷받침되면 안 받을 수 없을 것”
  • 부영, 올해도 자녀 1명당 1억씩 총 28억 지급 "출산 늘어"
  • 삼성전자·올리브영·코레일, 고용한파에 온기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결국 중국에 꼬리 내린 현대차” 가성비 전기차 공세에 파격 할인 돌입!
  • “1,026만 원 줄게, 지프랑 푸조 살래?” 스텔란티스코리아의 파격 결정
  • “음주단속 면제냐? 분노 폭발” 인천시의원, 매달 550만 원 받는다
  • “미국에서 난리난 기아 K4” 국내 출시는 대체 언제?
  • “정신 못 차린 아우디” 혼란스러운 네이밍 정책 또 바뀐다!
  • “진짜 부수고 싶다” 민폐 1위 전동킥보드, 이제 과태료 먹나
  • “드디어 현대차 꺾은 쉐보레” 2년 연속 국내 1위한 비결은?
  • “미국·영국 씹어먹은 현대차그룹?” 글로벌 시장서 최고의 자동차 입증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미쉐린코리아, 상반기 타이어 멤버십 프로모션 전개… 사은품·1년 무상 교체 등 혜택

    차·테크 

  • 2
    화이트 타월 VS 레스트레크레이션 뷰티, 당신의 취향은?

    연예 

  • 3
    송건희가 웃을 때 Part 1

    연예 

  • 4
    "다저스가 악당? 우린 이기려고 돈 쓴다" 다저스 폭풍 투자, 新 악의 제국 비판에…2649억 사이영상 투수가 외쳤다

    스포츠 

  • 5
    ‘황당→기괴→2연타 충격’…1800억 MF의 팬서비스 ‘갑론을박’→상의 아닌 하의 벗어 전달→팬은 '킁킁'…‘진정한 서비스’ 대 ‘역겹다’ 논쟁

    스포츠 

[뉴스] 인기 뉴스

  • 새해 첫 달 국제유가·고환율에 들썩인 물가… 석유·채솟값 ‘껑충’
  • [대학소식] 경일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평가 '우수' 획득
  • 군포시 "교육이 군포의 미래...전 세대 교육 지원할 것"
  • 설 특수 노린 원산지 '꼼수' 396개 업소 덜미
  • 최요삼을 세계챔피언으로 만든 일등공신 차관철을 아십니까
  • 미국 신정부 출범에 대처하는 나라들의 자세 [함께 읽는 통상]

지금 뜨는 뉴스

  • 1
    토트넘 이적 거부한 텔 깜짝 이적…바이에른 뮌헨, 21살 신예 공격수 임대 조기 복귀 결정

    스포츠 

  • 2
    KIA 김도영 미친 활약 없었다면 3루수 GG 1순위였는데…2025 재도전 강제 불발? 너무 특별한 존재감

    스포츠 

  • 3
    '1차지명 좌완·156km 파이어볼러·1차지명 우완' 박진만이 언급한 세 투수…삼성의 시선은 젊은 피로 향한다

    스포츠 

  • 4
    두바이의 아이코닉한 매력을 '한스 짐머' 라이브 음악과 함께 영화로 즐감하세요!

    여행맛집 

  • 5
    대한항공, 요스바니의 31점 활약으로 한국전력에 역전승

    스포츠 

[뉴스] 추천 뉴스

  • 대한민국 內 “범죄자 취급 당해요”… 20만 명의 애타는 생존권 ‘호소’, 도대체 왜?
  • 딥시크, AI 생태계의 게임체인저인가 [김세중의 여의도 커피챗]
  • 유럽의 혁신 위기가 시사하는 것들 [이민형의 과학기술혁신 짚어보기]
  • 개헌론 압박하는 與 “이재명, 여론 뒷받침되면 안 받을 수 없을 것”
  • 부영, 올해도 자녀 1명당 1억씩 총 28억 지급 "출산 늘어"
  • 삼성전자·올리브영·코레일, 고용한파에 온기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결국 중국에 꼬리 내린 현대차” 가성비 전기차 공세에 파격 할인 돌입!
  • “1,026만 원 줄게, 지프랑 푸조 살래?” 스텔란티스코리아의 파격 결정
  • “음주단속 면제냐? 분노 폭발” 인천시의원, 매달 550만 원 받는다
  • “미국에서 난리난 기아 K4” 국내 출시는 대체 언제?
  • “정신 못 차린 아우디” 혼란스러운 네이밍 정책 또 바뀐다!
  • “진짜 부수고 싶다” 민폐 1위 전동킥보드, 이제 과태료 먹나
  • “드디어 현대차 꺾은 쉐보레” 2년 연속 국내 1위한 비결은?
  • “미국·영국 씹어먹은 현대차그룹?” 글로벌 시장서 최고의 자동차 입증

추천 뉴스

  • 1
    미쉐린코리아, 상반기 타이어 멤버십 프로모션 전개… 사은품·1년 무상 교체 등 혜택

    차·테크 

  • 2
    화이트 타월 VS 레스트레크레이션 뷰티, 당신의 취향은?

    연예 

  • 3
    송건희가 웃을 때 Part 1

    연예 

  • 4
    "다저스가 악당? 우린 이기려고 돈 쓴다" 다저스 폭풍 투자, 新 악의 제국 비판에…2649억 사이영상 투수가 외쳤다

    스포츠 

  • 5
    ‘황당→기괴→2연타 충격’…1800억 MF의 팬서비스 ‘갑론을박’→상의 아닌 하의 벗어 전달→팬은 '킁킁'…‘진정한 서비스’ 대 ‘역겹다’ 논쟁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토트넘 이적 거부한 텔 깜짝 이적…바이에른 뮌헨, 21살 신예 공격수 임대 조기 복귀 결정

    스포츠 

  • 2
    KIA 김도영 미친 활약 없었다면 3루수 GG 1순위였는데…2025 재도전 강제 불발? 너무 특별한 존재감

    스포츠 

  • 3
    '1차지명 좌완·156km 파이어볼러·1차지명 우완' 박진만이 언급한 세 투수…삼성의 시선은 젊은 피로 향한다

    스포츠 

  • 4
    두바이의 아이코닉한 매력을 '한스 짐머' 라이브 음악과 함께 영화로 즐감하세요!

    여행맛집 

  • 5
    대한항공, 요스바니의 31점 활약으로 한국전력에 역전승

    스포츠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