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당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게 전화한 것은 “계엄과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4일 오후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에서 홍 전 차장의 증인 신문이 끝난 뒤 발언권을 얻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3일 두 차례에 걸쳐 홍 전 차장과 통화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에 따르면 첫 전화 당시엔 조태용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 중인 것으로 잘못 알고 저녁에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해 “국정원장 부재니 국정원을 잘 쟁겨라, 전화할 일 있을지 모르니 비화폰을 챙겨라”라고 말했다고 한다.
두번째 전화는 비상계엄을 위한 국무회의에 조 원장이 온 것을 보고 조 원장이 국내에 있는 것을 안 뒤 오후 11시가 다 되어서 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두번째 전화에 대해 “해외 순방 때 국정원의 해외 담당 파트가 여러 가지 경호 정보를 많이 도왔기 때문에 격려 차원에서 전화를 해야겠다고 해서, 계엄 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국군 방첩사령부)를 도와주라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로 “싹 다 잡아들이라”고 지시받은 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체포 대상자의 위치 추적을 도와달라는 요청과 함께 구체적인 명단을 들었고, 이를 메모지에 받아적었다고 증언했다.
|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이 ‘싹 다 잡아들이라, 국정원에 대공 수사권을 줄 테니 국군방첩사령부를 도우라’고 말했느냐”는 국회 측 질문에 “그렇게 기억한다”고 답했다. 홍 전 차장은 다만 “누구를 잡아들여야 하는지는 전달받지 못했다”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 전화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홍 전 차장은 ‘여 전 사령관이 사용한 정확한 워딩(단어)이 ’체포조’가 맞느냐’, ‘체포 대상을 검거 후 방첩사 구금 시설에서 감금해 조사할 예정이라는 얘기를 들었느냐’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여 전 사령관이 불러주는 체포 명단을 받아 적었다고 말하며 “적다 보니 이게 뭐지, 생각이 들어서 뒤 내용은 반 정도 적다가 추가로 적지 않았고, 나름대로 기억을 회복해 적어 보니까 14명, 16명 정도 됐나(하고) 기억한다”고 증언했다.
홍 전 차장의 증언과 관련해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는 “(대통령은) 간첩들을 싹 다 잡아들이라고 말한 것”이라며 “(대통령은)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았는데 증인 혼자 그렇게 이해한 것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홍 전 차장은 “제가 기억하는 부분과는 차이가 있는 것 같다”면서도 김 변호사가 추궁하자 “뭐, 그럴 수도 있다”고 했다. 다만 이후 ‘여 전 사령관과 통화에서 간첩이 언급됐느냐’고 국회 측에서 묻자 홍 전 차장은 “없다”고 답했다.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의 증언과 관련해 “계엄이 선포되면 방첩사가 사실상 국정원의 우위에 있다”며 “만약 계엄에 대해 국정원에다 뭘 지시하거나 부탁할 일이 있으면 국정원장에게 직접 하지 차장들에게는 하지 않는다”며 “1차장에게 계엄과 관련한 부탁을 한다는 건 비상식적”이라고도 반박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지난 4차 변론과 달리 직접 증인에게 질문하는 것이 금지되면서 증인신문 내내 주로 눈을 감거나 증인을 쳐다보며 증언을 청취했다. 다만 홍 전 차장이 증언할 땐 그를 정면으로 응시했다. 또 홍 전 차장의 발언에 반박할 때는 다소 흥분한 듯 양손을 크게 휘젓거나 책상을 내려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