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퍼블릭=김영덕 기자]우리나라는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정치권이 격랑속에 휩싸인 가운데 전 세계는 이미 트럼프 2기 행정부 집권을 두고 샅바싸움이 한창이다.
이러한 가운데 여당이 본격적인 민생 챙기기에 나서는 모양이다. 조기 대선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지만 사실상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면서 중도층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2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향해 “민생에 진심이라면 여야정 협의체부터 복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번 추경의 원칙은 분명하다”며 “정치 논리를 배제하고, 취약계층을 지원하며, 식어가는 경제 동력을 살리는 데 집중해야 한다. 무차별 삭감된 민생 예산의 원상 복구가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권 원내대표는 “어떤 분야에, 어느 정도 규모의 추경이, 왜 필요한지 논의하기에 여야정협의체의 테이블은 충분히 넓다”며 “협의체에서 일단 정책위의장들 선에서 논의를 시작해보자고 제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AI 분야도 챙기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반도체 특별법 통과가 우선이라는 입장을 더했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3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인공지능(AI) 추경’ 제안에 대해 “반도체 특별법을 통과시키는 모습을 보여야 이 대표의 진정성이 어느 정도 인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철강, 반도체 등에 대한 부문별 관세 부과 방침을 예고한 바 있어 긴장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당장 우리나라가 표적이 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미국의 사정권안에 있는 이상 국내 경기 또한 이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충격에 국내 주가를 떠받쳐온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한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
이에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반도체 특별법’을 통과시켜야 ‘AI 추경’의 진정성이 인정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권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반도체특별법 제정에는 반대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연구인력의 ‘주 52시간 원칙’에 대한 예외를 특별법에 반영하자는 주장에 대해 해당 논의는 근로기준법 논의로 미루자고 주장하고 있다”며 “과연 이 대표가 AI와 반도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권 원내대표는 세계 AI 업계에 충격을 준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AI 모델을 거론하며 “최근 딥시크를 개발한 량원평을 비롯한 연구개발 인력이 과연 주 52시간 근로를 했는지 물어봐 달라. 주 52시간 연구 근로로는 딥시크를 개발하려야 할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