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퍼블릭=김미희 기자]결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전쟁’을 본격화 되는 분위기다. 미국 내에서도 ‘자해조치’라는 비판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전면적으로 부과키로 하면서 이들 국가 간 관세 전쟁이 격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도 일부 고통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면서 불퇴 의지를 피력한 가운데 중국에 이어 캐나다는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방침을 밝혔고, 멕시코는 3일 구체적 대응 계획 발표를 예고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피해가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역적으로는 유럽연합(EU)으로, 부문별로는 반도체·철강·석유 등으로 각각 관세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어 한국도 조만간 트럼프발 관세 폭풍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어가는 게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응해 캐나다는 미국 제품에 대해 25%의 맞대응 관세를 부과키로 했으며 멕시코는 3일 구체적인 대응 방침을 밝힐 예정이다.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 제소와 반격 조치 등 대응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세계가 관세 전쟁을 치를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보편 관세’를 공약한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 관세를 부과키로 결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관세 부과 시 상대국은 물론 미국 경제도 적지 않은 피해가 발생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미국, 캐나다, 멕시코는 자유무역협정을 통해 경제가 사실상 통합돼 있어서 3국 모두 관세 및 맞대응 관세로 작지 않은 타격이 이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이유로 일각에서는 4일 관세 시행 전에 관세 부과가 전격적으로 보류되거나 실제 부과돼도 일시적인 조치에 그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 이번 조치에 대해 “협상용이 아니다”라며 선을 그은 바 있다.
이러한 가운데 3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멕시코(사진)에 진출한 국내 기업은 삼성전자·LG전자·기아·포스코·HL만도 등 525사(작년 상반기 기준)다. 이 매체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일본에 이어 아시아 국가 중 둘째로 많이 멕시코에 투자하고 있는 국가다.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작년 1~9월 한국의 대(對)멕시코 투자액은 12억700만달러(1월 31일 환율 기준 1조7602억원)에 달한다. 한국의 국가별 대외 투자 순위 8위 국가로서, 우리가 중국에 투자한 금액보다 많았다.
재계 관계자는 “한국 기업들이 멕시코에 투자를 확대한 건 온전히 미국 때문”이라며 “미국의 대중 무역 제재가 본격화하면서 미국으로 들어갈 때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임금이 낮은 멕시코를 생산 기지로 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도 비슷하다. 이 매체에 따르면 니켈·코발트 등 배터리용 핵심 광물이 풍부한 데 이어 대미 수출 무관세가 적용됐던 캐나다에 투자한 기업들도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트럼프 대토령이 이들과 논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지만 실제로 성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이 매체 보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완성차 기업 스텔란티스의 배터리 합작 기업 ‘넥스트스타에너지’는 작년 10월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 배터리 모듈 양산을 시작했다. 또 포스코퓨처엠은 양극재 공장을 조성 중이고, 한온시스템은 자동차 부품 공장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시선이 쏠린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