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IRA·FEOC 충격, K 배터리 이상없나

뉴스프리존 조회수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며 배터리 산업 재편을 강화함에 따라 한국 배터리 산업도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25년 이후 더욱 엄격해질 FEOC(해외우려기관) 규제가 이러한 변화를 가속화할 것으로 산업연구원은 전망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FEOC 제도의 주요 내용 및 배경

FEOC 제도는 IRA Section 30D에 포함된 공급망 정책으로 중국을 비롯한 특정 국가의 기업이 배터리 원자재 및 부품을 공급하는 경우 미국의 친환경차 세액공제(7500달러)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핵심이다.

미국 에너지부가 발표한 시행 지침에 따르면 중국, 북한, 러시아, 이란이 해외우려국으로 지정됐으며 이들 국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기업이 생산한 광물 및 배터리 부품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된 이 제도는 2025년 이후에는 더욱 엄격한 기준이 적용될 전망이다.

특히 미국이 FEOC 기업을 정의하는 기준으로 △해외 우려국에서 설립 또는 소재한 경우 △해외 우려국 정부의 소유, 통제 또는 지시를 받는 경우 △25%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경우 등을 적용하고 있어 중국 기업과 협력 관계가 있는 글로벌 배터리 기업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FEOC의 구체적 정의 및 판별 기준

해외우려기관(FEOC)은 다음 기준에 따라 정의된다

해외우려기관(FEOC) 정의

▶ 해외 우려국에서 설립 또는 소재하거나 주요 사업장을 두고 있는 경우

▶해외 우려국 정부에 의해 소유, 통제 또는 지시를 받는 기관

이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외 우려국’, ‘해외 우려국 정부’, ‘소유, 통제 또는 지시’ 등의 의미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①해외 우려국

중국, 북한, 러시아, 이란이 해외 우려국으로 지정된 바 있다. 다만 배터리 관련 규제 대상국은 사실상 중국이 유일하다.

②해외 기관

해외 정부, 미국 시민이 아닌 자연인, 외국법에 따라 조직된 법인 또는 조합이나 미국 내 설립됐지만 해외 우려국 정부의 통제를 받는 법인이 해당한다.

③해외 우려국 정부

중앙 및 지방 정부, 정부 기관 및 기구, 집권 정당, 고위 정치인 및 직계 가족이 포함되고 중국의 경우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등의 전·현직 위원이 포함된다.

④소유, 통제 또는 지시

해외 우려국 정부가 해당 기관의 의결권, 지분의 25% 이상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보유한 경우 FEOC로 간주된다. 또 간접적인 누적 보유(Cumulative Held)도 FEOC 판정 기준에 포함되고 모기업이 자회사 지분의 50% 이상을 보유하면 동일 기업으로 간주된다.

FEOC 여부 판정 사례 예시

1. 해외 우려국 정부가 기업 B의 지분 25%를 보유하고, 기업 B가 C의 지분 50%를 보유하면 B와 C 모두 FEOC로 간주

☞사례1번 해설 :우려국 정부가 기업 B의 지분을 25% 이상 직접 보유한 경우에 해당돼 B는 FEOC이다. FEOC인 기업 B가 기업 C의 지분 50%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업 B와 C가 동일법인으로 간주돼 기업 C 역시 FEOC다.

2. 해외 우려국 정부가 B의 지분 50%를 보유하고, B가 C의 지분 25%를 보유하면 C 역시 FEOC로 판단

☞사례2번 해설 : 우려국 정부 A와 기업 B의 지분 50% 이상 보유한 경우에 해당돼 A와 B는 동일한 기관로 간주되어 FEOC이다. 기업 C는 우려국 정부와 동일한 법인으로 간주받는 모기업 B의 지분율이 25% 이상이므로 FEOC이다.

3. 해외 우려국 정부가 B의 지분 25%를 보유하고, B가 C의 지분 40%를 보유한 경우, C는 FEOC가 아님

☞사례 3번 해설 : 우려국 정부가 기업 B의 지분을 25% 이상 직접 보유한 경우에 해당돼 B는 FEOC이다. 다만 기업 B는 기업 C의 지분을 25% 이상 직접적으로 보유하고 있지만, 기업 B는 FEOC이기는 하나 우려국 정부와 동일 법인은 아니기 때문에, 기업 C는 우려국 정부의 소유, 통제 또는 지시를 받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FEOC가 아니다

◈글로벌 산업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한국 배터리 산업 영향과 대응 전략 (산업연구원)

LG에너지솔루션 미국 미시건주 전기차 배터리 공장 (사진=연합뉴스)
LG에너지솔루션 미국 미시건주 전기차 배터리 공장 (사진=연합뉴스)

SK온, 21.3%의 조달 물량 중국 기업 의존

현재 한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는 미국 시장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IRA 시행 이후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미국에서의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해 2023년 117GWh에서 2026년까지 635GWh로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FEOC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서 한국 기업들이 조달하는 원자재와 부품이 FEOC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기대했던 세액공제 혜택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블루오벌 SK 켄터키 공장 (사진=연합뉴스)
블루오벌 SK 켄터키 공장 (사진=연합뉴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한국 배터리 3사의 미국 내 생산거점에서 조달하는 양극재의 5.3%가 중국 기업으로부터 공급되고 있으며 SK온의 경우 중국산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배터리 산업의 미국 생산 거점에서의 양극재 조달 물량 중 66.6%가 LG화학, 에코프로 등 한국 기업에서 공급되고 있다고 했다.

중국 기업으로부터 조달받는 양극재 물량도 일부 존재하는데 기업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기 업으로부터의 조달 비중이 1.6%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삼성SDI의 경우 중국으로부터의 조달 물량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SK온의 경우 21.3%의 조달 물량을 중국 기업으로부터 의존하고 있어 FEOC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산업연구원)
(자료=산업연구원)

국내 배터리 산업 투자 위축 우려

중국 배터리 기업들은 대부분의 원자재 및 부품을 중국 기업으로부터 조달하고 있어 FEOC 시행에 따른 영향이 더욱 클 것으로 전망된다.

FEOC가 본격 시행될 경우 중국 배터리 기업은 양극재 대부분을 자국 기업으로부터 조달받고 있기 때문에 FEOC 위반 가능성이 매우 높다.

최근 중국 기업이 IRA 배터리 요건을 충족해 세액공제 혜택을 최대한 누리기 위한 방편으로 중국 외 기업에 대한 인수합병 또는 기술합작 등의 방식을 적극 추진 중인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중국 기업 AESC가 일본 기업 닛산을 인수하고 CATL이 테슬라를 포함한 주요 완성차 기업들과 기술 라이선스 방식을 통해 미국시장 진출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제3국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중국 측 지분율이 25%만 넘으면 FEOC로 간주되기 때문에 인수합병이나 기술합작의 방식으로 FEOC를 회피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한국 배터리 산업 측면에서는 FEOC 제도가 시행될 경우 위반 가능성이 높은 중국에 비해 상대적인 반사 이익을 누리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LG화학과 화유코발트가 1조 2000억 원을 투자해 2028년까지 연산 10만 톤 규모의 전구체 공장을 설립하려 했으나 FEOC의 중국 자본 25% 제한 지침으로 인해 무기한 연기된 바 있다면서 FEOC 제도로 인해 중국 기업들의 투자가 연이어 중단되는 상황에 대해서는 우려했다.

뉴스프리존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尹 대통령 국민변호인단, 모집 하루 만에 7000명 돌파
  • "팁스 이후 성과는…" 스타트업 대표들 팁스타운에 모인 이유
  • 역대급 추운 입춘: 그러나 행운의 '8글자'를 읽고 나니 내 마음속 화로가 활활 지펴진다
  • 李 ‘반도체법 토론회’ 직접 진행... “노동계 불신 해소하면 ‘몰아서 일하기’ 문제되지 않아”
  • [센서스 100년]① 인구 세는 것으로만 알았던 이 조사… 모아보니 ‘대한민국 발전史’였다
  • [SNUH 건강정보]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과 관리 방법 소개

[뉴스] 공감 뉴스

  • 동아일보 논설실장 “이재명은 무엇을 걸 것인가”
  • 한국은행, 지난해 손상화폐 4억7489만장 폐기
  • 노동진 수협 회장, 수산 현안 대응 올해 첫 현장 경영
  • 딥시크에 놀란 오픈AI, 한국기업에 구애...카카오와 '동맹' 전격 발표
  • 이재용 '불법합병·회계부정 혐의' 항소심도 무죄...재판 시작 4년5개월 만
  • 반민주적 언론 행태 비판하고 내란 국면 유튜브 뉴스 소비 짚어주길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감옥 가기 싫다고 이런 짓까지?” 법원에 위조 진단서 제출한 음주운전범
  • “532km 달리는 대형 전기 SUV” 현대차 아이오닉9 사전 계약 시작, 보조금 얼마?
  • “캐스퍼에서 BMW로 인생 역전” 이미주, 8천 만원 전기차 BMW iX3 공개
  • “음주운전보다 위험한데 막을 법이 없다?”심신미약 주장하는 예비 살인자들
  • “캐스퍼 차주들 오열” 이 차 나오면 무조건 바꾼다 선언!
  • “오토바이 싹 다 난리” 정부, 이제 오토바이 제대로 잡겠다 선언!
  • “쉐보레 스파크가 돌아왔다!” 전기 SUV로 변모한 스파크의 근황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경질 카운트다운'…EPL 레전드 점쟁이 '2년차 감독 경질 날짜 정해졌다' 예언→2월7일 컵대회 패배→2월10일 FA컵 탈락하면 '끝'

    스포츠 

  • 2
    '피안타율 0.077' 명품 커브 장착→ERA 2.23→부상 시즌 아웃…불펜 에이스, 올해는 KS서 '독도킥' 보여줄까

    스포츠 

  • 3
    “다저스 세계최강” 김혜성 감탄, 안 그래도 강한데 더 강해졌다…디퍼만 10억달러? WS 우승으로 보상

    스포츠 

  • 4
    “인공지능아, 내 미래를 알려줘”… 사주풀이도 AI 시대

    차·테크 

  • 5
    유일성·미식 경험 추구…와디즈가 꼽은 올해 7대 펀딩 트렌드는?

    차·테크 

[뉴스] 인기 뉴스

  • 尹 대통령 국민변호인단, 모집 하루 만에 7000명 돌파
  • "팁스 이후 성과는…" 스타트업 대표들 팁스타운에 모인 이유
  • 역대급 추운 입춘: 그러나 행운의 '8글자'를 읽고 나니 내 마음속 화로가 활활 지펴진다
  • 李 ‘반도체법 토론회’ 직접 진행... “노동계 불신 해소하면 ‘몰아서 일하기’ 문제되지 않아”
  • [센서스 100년]① 인구 세는 것으로만 알았던 이 조사… 모아보니 ‘대한민국 발전史’였다
  • [SNUH 건강정보]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과 관리 방법 소개

지금 뜨는 뉴스

  • 1
    '냉부해' 손석구, 최강록 입도 열게 한 남심 폭격기 [TV온에어]

    연예 

  • 2
    '게임체인저는 아니었지만 흥미로운 선수'…양민혁, QPR 데뷔전서 긍정적 임팩트 남겼다

    스포츠 

  • 3
    어차피 사사키는 다저스였나…'ML 342홈런' SD 간판타자는 알고 있었다? "이미 결정한 것 같았다"

    스포츠 

  • 4
    ‘인어공주’ 할리 베일리 아들, “엄마랑 똑같이 생겼네”[해외이슈]

    연예 

  • 5
    상남자 티모시도 푹 빠진 미니백의 매력

    연예 

[뉴스] 추천 뉴스

  • 동아일보 논설실장 “이재명은 무엇을 걸 것인가”
  • 한국은행, 지난해 손상화폐 4억7489만장 폐기
  • 노동진 수협 회장, 수산 현안 대응 올해 첫 현장 경영
  • 딥시크에 놀란 오픈AI, 한국기업에 구애...카카오와 '동맹' 전격 발표
  • 이재용 '불법합병·회계부정 혐의' 항소심도 무죄...재판 시작 4년5개월 만
  • 반민주적 언론 행태 비판하고 내란 국면 유튜브 뉴스 소비 짚어주길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감옥 가기 싫다고 이런 짓까지?” 법원에 위조 진단서 제출한 음주운전범
  • “532km 달리는 대형 전기 SUV” 현대차 아이오닉9 사전 계약 시작, 보조금 얼마?
  • “캐스퍼에서 BMW로 인생 역전” 이미주, 8천 만원 전기차 BMW iX3 공개
  • “음주운전보다 위험한데 막을 법이 없다?”심신미약 주장하는 예비 살인자들
  • “캐스퍼 차주들 오열” 이 차 나오면 무조건 바꾼다 선언!
  • “오토바이 싹 다 난리” 정부, 이제 오토바이 제대로 잡겠다 선언!
  • “쉐보레 스파크가 돌아왔다!” 전기 SUV로 변모한 스파크의 근황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추천 뉴스

  • 1
    '경질 카운트다운'…EPL 레전드 점쟁이 '2년차 감독 경질 날짜 정해졌다' 예언→2월7일 컵대회 패배→2월10일 FA컵 탈락하면 '끝'

    스포츠 

  • 2
    '피안타율 0.077' 명품 커브 장착→ERA 2.23→부상 시즌 아웃…불펜 에이스, 올해는 KS서 '독도킥' 보여줄까

    스포츠 

  • 3
    “다저스 세계최강” 김혜성 감탄, 안 그래도 강한데 더 강해졌다…디퍼만 10억달러? WS 우승으로 보상

    스포츠 

  • 4
    “인공지능아, 내 미래를 알려줘”… 사주풀이도 AI 시대

    차·테크 

  • 5
    유일성·미식 경험 추구…와디즈가 꼽은 올해 7대 펀딩 트렌드는?

    차·테크 

지금 뜨는 뉴스

  • 1
    '냉부해' 손석구, 최강록 입도 열게 한 남심 폭격기 [TV온에어]

    연예 

  • 2
    '게임체인저는 아니었지만 흥미로운 선수'…양민혁, QPR 데뷔전서 긍정적 임팩트 남겼다

    스포츠 

  • 3
    어차피 사사키는 다저스였나…'ML 342홈런' SD 간판타자는 알고 있었다? "이미 결정한 것 같았다"

    스포츠 

  • 4
    ‘인어공주’ 할리 베일리 아들, “엄마랑 똑같이 생겼네”[해외이슈]

    연예 

  • 5
    상남자 티모시도 푹 빠진 미니백의 매력

    연예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