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야가 2월 임시국회에서 정국 주도권을 둘러싼 격돌을 이어간다. 여야 모두 조기 대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민생·경제 행보를 통해 중도층 지지를 끌어내겠다는 전략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고조되는 대내외 경제위기 속에 처리가 시급한 ‘첨단에너지 3법’ 등 주요 민생 법안이 국회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여야는 3일 2월 임시국회 개회식을 연 뒤 10~11일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진행한다. 먼저 10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우클릭 행보를 ‘말 바꾸기’로 몰아세우며 강공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에 맞서 이 대표는 11일 연설을 통해 내란 극복과 민생·경제 회복 의지를 다지며 민주당의 수권 능력을 보여주겠다는 구상이다. 이어 12일 정치·외교·안보·통일 분야를 시작으로 13일 경제 분야와 14일 교육·사회·문화 분야에 대한 대정부 질문도 진행된다.
여야가 평행선을 달려온 주요 민생 법안들이 임시국회에서 성과를 낼지도 관심이다.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촉발한 ‘인공지능(AI) 쇼크’로 그 어느 때보다 민생·경제 법안 처리 요구가 커진 상황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31일 국무회의에서 국회를 향해 전력망확충 특별법과 해상풍력 특별법, 고준위방폐장법 등 ‘첨단에너지 3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등의 조속한 입법을 촉구했다. 국민의힘 역시 첨단에너지 3법을 반도체 특별법과 함께 ‘미래 먹거리 4법’으로 규정하며 야당을 압박하고 있다. 에너지 3법의 경우 설 연휴 전 여야 정책위의장 회동을 통해 의견 접근을 이룬 만큼 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22대 국회 출범 후 사실상 중단된 연금 개혁 논의가 급물살을 탈지도 주목된다. 이 대표는 지난달 31일 “초당적이고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연금 개혁이 일부나마 시행됐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신속히 모수 개혁부터 2월 안에 매듭짓기를 바란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를 구성한 뒤 모수·구조 개혁을 동시에 추진하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