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수입차 시장, 8년 만에 흔들
국산 브랜드, 프리미엄 시장에서 자리 잡을까
경기 침체와 법인차 규제 강화로 인해 고급 수입차 시장이 위축됐다. 하지만 국산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반대로 성장세를 기록하며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가고 있다.
2024년 고가 수입차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해 1억원 이상 수입차 판매량은 6만2520대로 전년 대비 20.1% 감소했으며, 이는 2016년 이후 처음으로 하락세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2022년 전체 수입차 시장에서 28.9%를 차지했던 1억원 이상 차량의 비중이 2023년에는 23.7%로 축소되며 5.2%p 감소했다.
브랜드별로 보면 BMW가 2만4543대로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고, 메르세데스-벤츠(1만9529대)와 포르쉐(8254대)가 뒤를 이었다. 한편, 초고가 브랜드인 벤틀리는 810대에서 400대로 절반 가까이 줄어들며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법인차 규제 강화, 수입차 시장에 영향
법인차 구매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연두색 번호판 도입이 꼽힌다.
지난해부터 8000만원 이상 법인차에 의무적으로 적용된 이 제도는 행정적 절차 증가와 추가 비용 부담으로 인해 법인 고객들의 소비를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 전문가는 “법인차 규제의 본래 목적은 투명한 사용을 위한 것이지만, 가격을 기준으로 일괄 적용하는 방식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일부 소비자들은 1억원 이상의 차량을 8000만원 이하로 할인받아 구매하는 편법을 활용하기도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국산 프리미엄 브랜드,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다
고급 수입차 시장이 위축되는 동안, 현대자동차의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시장에서 더욱 강한 존재감을 보였다. 지난해 제네시스의 국내 판매량은 13만674대로 전년 대비 3.2% 증가하며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같은 기간 BMW(7만3754대), 메르세데스-벤츠(6만6400대), 아우디(9304대) 등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들의 판매량은 모두 감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제네시스가 고급 브랜드로 자리 잡으면서 기존 수입차 소비층 일부가 국산 브랜드로 이동하는 모습이 포착된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제네시스의 성과는 두드러진다. 지난해 미국 판매량은 7만5003대로 전년 대비 8.4% 증가했고, 전 세계적으로는 22만1000대가 판매되며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제네시스가 미국 시장에 처음 진출한 2016년(6948대) 이후 불과 10년이 되지 않은 시점에서 10배 이상 성장한 수치다.
제네시스의 선전은 다양한 모델 라인업 덕분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G80, G90 등 대형 세단뿐만 아니라 GV70, GV80 같은 SUV와 전기차 모델 GV60까지 여러 차종에서 고른 판매량을 보이며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올해는 고성능 모델 ‘마그마’와 대형 SUV GV90 출시가 예정되어 있어 더욱 기대를 모은다.
전기차 중심의 변화, 수입차 시장 회복 가능할까?
한편, 업계에서는 경기 침체와 법인차 규제 등의 영향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모델을 중심으로 반등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한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유럽 프리미엄 브랜드들이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시장에 집중하며 전환을 추진 중이다. 새로운 고급차 수요가 창출된다면 올해 하반기부터 판매 회복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올해 고급 수입차 시장이 다시 활력을 찾을지, 아니면 국산 프리미엄 브랜드가 더욱 강세를 보일지는 자동차 시장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댓글0